종합(Solar energy 1).jpg

지난 8월 19일(금) 호주 날씨는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대체적으로 화창했다. 이날 점심시간 무렵 약 30분가량, 태양광 에너지 소비가 석탄 전력 사용량을 앞선 것으로 기록됐다. 전문가들은 평상시, 일시적으로 재생에너지 사용이 많아지는 현상을 자주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 : Aus Solar Energy Group

 

화석연료 에너지 뛰어넘어... 전문가들, “에너지 사용의 미래 모습 보여준다” 진단

 

태양전지판을 활용하여 만들어낸 에너지 사용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지난 8월 19일(금) 한낮, 약 30분간의 호주 전국 전력시장은 재생에너지로 구동되는 미래가 어떤 모습인지를 보여주었다는 진단이다.

이날 호주 전역은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대체로 화창한 날씨가 이어졌다. 시드니 지역 또한 봄의 시작을 알리는 듯한 풍경을 보여주었다. 이런 날씨 상황에서, 이날 약 30분에 걸쳐 서부호주(Western Australia) 외 모든 주와 테러토리(State and Territory)에서 사용된 전력은 석탄으로 만들어낸 것에 비해 태양광 전력 사용이 더욱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물론 이런 사례가 이날 처음은 아니지만 전문가들은 ‘상대적으로 정상적인’ 조건에서 발생한 것은 이날(19일)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이는 석탄 화력의 부족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연중 햇볕이 가장 잘 드는 시간에 발생한 때문이다.

에너지 컨설팅 사인 ‘Energy Edge’의 조슈아 스테이블러(Joshua Stabler)씨는 이에 대해 “특히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특별한 상황이 아닌 평상시의 일정 기간 동안 석탄이 제1의 연료 공급원 자리를 잃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석탄은 종종 시장에 공급되는 에너지 양의 80~90%를 차지한다. 이런 점에서 그는 이날의 상황에 대해 “하나의 큰 사건임을 뜻한다”고 말했다.

이날의 ‘태양광 전력 소비 1위’는 점심시간 대에 발생했다. 이 무렵 태양광 에너지 사용은 호주 전역에서 약 40%였으며 석탄으로 만들어낸 전력 사용이 38% 비중이었다.

이어 풍력 발전을 이용한 전력이 세 번째로, 전체적으로 보면 재생에너지가 전체 전력의 60%를 차지했던 것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일어난 상황을 보여주는 분명한 신호”라고 말했다.

 

햇볕 많은 봄 시즌,

태양광 에너지 생산 높아져

 

스테이블러씨는 아직은 석탄 전력에 많이 뒤쳐져 있는 태양광 에너지 소비가 순간적으로 많아지는 이런 순간들이 올해에는 더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종합(Solar energy 2).jpg

현재 석탄을 이용해 만들어낸 전력 사용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앞으로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은 빠르게 늘어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한결 같은 말이다. 사진은 NSW 주의 한 석탄 광산. 사진 : Aus Solar Energy Group

   

태양광 에너지를 생산하는 완벽한 조건으로 “풍성한 햇볕과 비교적 온화한 기온”이라고 설명한 스테이블러씨는 “지난 8월 19일은 이 같은 조건 중 처음일 뿐”이라며 “봄 시즌에 우리가 많은 햇볕을 가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앞으로 우리는 9월과 10월, 그리고 3월과 4월 기간에 태양광 에너지가 전력 시장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사례가 더 자주 나타나는 일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호주의 재생에너지는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가 아닌, 각 개인 주택 또는 기업체 건물 옥상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에서 나온다. 석탄연료를 이용한 전력은 태양광 에너지 생산이 불가능한 저녁 피크 시간, 전력 시장을 지배한다.

이런 가운데 호주의 진보적 싱크탱크 중 하나인 호주연구소(Australia Institute)의 리치 머지안(Richie Merzian) 연구원은 에너지 그리드(energy grid)의 전반적인 변화를 통해 이를 뒤바꿀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우리는 각 개인 주택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고, 더 많은 대규모 재생에너지를 연결할 수 있지만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저장장치가 필요하다”는 그는 “만약 우리가 올바른 설정을 하게 된다면 재생에너지가 그 격차(화석연료 전력 사용 사이의)를 메우고 더 저렴한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머지안 연구원은 ‘연방정부의 국가 에너지 그리드에 대한 200억 달러 투자’를 “바람직한 시작”이라고 평가했다. 머지안 연구원 또한 현재로서는 재생에너지가 낮 시간대, 일시적으로만 더 많이 공급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재생에너지가 한낮에도 석탄 전력 사용량과의 격차를 메우고 있음을 보고 있다”면서 “현재 NEM(National Electricity Market)의 연간 총 발전량 중 30%에 불과한 재생에너지는 계속해서 극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Solar energy 1).jpg (File Size:118.0KB/Download:16)
  2. 종합(Solar energy 2).jpg (File Size:278.6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651 호주 RBA, 내년 2월 통화정책 회의까지 현 4.35%의 기준금리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6650 호주 ‘Shockingly poor’... 호주 학교들의 과학 커리큘럼 학업성과 ‘실패’ 원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6649 호주 향후 40년 사이 호주인구 4천 만 명 넘어설 듯... 멜번, 최대 도시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6648 호주 사이버 범죄자들, ‘가짜’ 은행 로그인 페이지 유포... 금융정보 빼내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6647 호주 생활비 압박 반영한 ‘Cozzie Livs’, 매콰리 사전의 ‘올해의 단어’에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6646 호주 2021 센서스 자료 분석, 시드니 주택 4분의 1 이상 ‘여분의 침실’ 2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6645 호주 호주에서 가장 복잡한 지하 교차로, ‘Rozelle Interchange’ 개통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6644 호주 시드니 일부 유명 사립학교, 내년도 학비 인상 전망... 최대 9%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6643 호주 시드니의 크리스마스 트리, “뉴욕 록펠러 센터의 그것에는 없는 ‘뭔가’가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6642 호주 RBA가 우려하는 호주의 생산성 둔화, 단지 근로자의 게으름 때문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6641 호주 NSW 최고 의료책임자, “병원 외 서비스-예방치료에 더 많은 투자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6640 호주 ‘Christmas Homecoming’... CB 카운슬, ‘Carol in the Park’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6639 호주 NSW 재부장관, “시드니 동부지역에 더 많은 주택건설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6638 호주 주택시장 성장 둔화 보이지만... 10월까지 대부분 교외지역 가격 ‘치솟아’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6637 호주 10월 호주 실업률, 3.7%로 소폭 상승... 공식 실업자 수 2만7천 명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6636 호주 9월 분기 임금 상승 1.3%... ABS의 ‘Wage Price Index’ 사상 가장 큰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6635 호주 전 세계 국가, 올해 10월까지 1년 사이 기록상 ‘가장 심한 무더위’ 경험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6634 호주 일자리 광고 수치, 빠르게 감소... NSW-Victoria 주, 가장 큰 폭 ‘급감’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6633 호주 호바트, 유네스코 ‘문학 도시’로 ‘Creative Cities Network’에 이름 올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6632 호주 길어진 기대수명과 자녀의 ‘상속 조바심’으로 ‘노인학대’ 사례 더욱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6631 호주 호주 임대주택 시장, 높은 수요 비해 공급은 제자리... 임차인 ‘고통’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6630 호주 기후변화 관련 사망 증가... 관련 차트, ‘미래 여름의 끔찍한 예측’ 드러내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6629 호주 RBA 기준금리 4.35%... 1990년대 이후 ‘mortgage affordability’ 최악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6628 호주 앤드류 가일스 이민부 장관, “주택공급 위해 해외 숙련인력 유치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6627 호주 NSW 주 정부의 ‘현금 없는 포키게임’ 시범운영 신청, ‘10배 이상’ 달해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6626 호주 2022년 HSC 결과, 경제학-역사 등 대부분 과목서 여학생 성적 ‘우세’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6625 호주 호주 ‘Golden Visa’ 제도, “전 세계 부정자금 끌어들인다” 지적 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6624 호주 호주 부동산 시장 회복세... 광역시드니 대부분 교외지역 주택가격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6623 호주 “NSW 주 정부는 ‘주택공급 목표’ 위한 야심찬 계획, 단념해선 안 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6622 호주 시드니 시, 도시 가로수 주종 이루는 플라타너스 ‘단계적 교체’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6621 호주 ‘e61 Institute’ 보고서, “직종 전환 감소가 호주 경제 발목 잡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6620 호주 호주 중앙은행, 5개월 만에 기준금리 인상 단행... 모기지 보유자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6619 호주 인공지능 설비 연결 자동차, 도로상의 여러 사고 방지-생명 구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6618 호주 City of Canterbury-Bankstown, 학교 앞 횡단보도 업그레이드 완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6617 호주 주택부족 해결의 한 방안으로 ‘파라마타-빅토리아 로드’ 재개발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6616 호주 ‘NSW Young Liberals’, 당에 ‘Z세대 주택구입 능력 정책 우선’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6615 호주 Where to find the best craft beer in Hunter Valley, NSW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6614 호주 경매 통한 주택구입, 지금이 적기? 올해 봄 시즌, 입찰경쟁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6613 호주 시드니 일부 지방의회, 건축-개조 신청 거부 가능성 최대 6배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6612 호주 “인구 증가-검은색 계열의 지붕이 도시 중심가 ‘열섬’ 만들어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6611 호주 탄력 받고 있는 ‘build-to-rent’ 주택, 임대위기 완화에 도움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6610 호주 팬데믹 당시 ‘고용 보장’ 위한 ‘JobKeeper 프로그램’, 중요한 역할 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6609 호주 호주, 中 관계회복 속도내나…총리 방중 앞두고 문화재 반환 라이프프라자 23.10.26.
6608 호주 호주 억만장자, Trump "미국의 외교 비밀 공개" 라이프프라자 23.10.23.
6607 호주 호주 총리, 중국 방문 라이프프라자 23.10.23.
6606 호주 호주인구의 지속적 성장으로 높은 기준금리, 더 오랫동안 이어질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6605 호주 시드니 inner-south west 30개 이상 교외지역 ‘하이스쿨 선택 구역’ 개편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6604 호주 ‘Voice to Parliament’의 국민투표 패배, 그 결과의 잔인한 진실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6603 호주 2023년, 전 세계 1억 달러 이상 자산 보유한 ‘슈퍼리치’ 2만8,420명천 명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6602 호주 지방 지역으로 이주한 이들, 소유한 부동산 손실판매 가능성 높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