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fwV1byao_63f2b34a5b96e126

국산 백신인 스카이코비원 접종 첫날인 5일 오전 광주 북구보건소에서 감염병예방팀 직원들이 관내 의료기관에 나눠줄 스카이코비원 백신 수량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오미크론 변이 대비 모더나 백신 사용 승인에 따라

한국 최초 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 접종 개시

 

연방보건부가 모더나의 오미크론 변이에 효과가 있다는 백신에 대한 사용 승인을 하는 것을 비롯해 가을 본격적인 감기철이 돌아오면서 BC주정부도 다시 백신 접종 확대를 위한 대책을 내놓고 있다.

 

BC주 보건당국은 6일 오후에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독려 캠페인에 대한 발표를 할 예정이다.

 

2차 접종 때까지 높은 접종률을 보였던 BC주는 3차 부스터샷 접종이 시작된 이후로 접종률이 크게 높아지지 않았다. 백신 2차 접종을 마치고도 돌파 감염이 되면서 백신의 예방 효과에 대한 불신감이 생겼기 때문이다. 

 

또 델타 변이로 인한 확진자 수가 급증했고 이어 오미크론 변이로 또 한 번 대유행을 맞이 했으나 중증이나 사망 등 치명률이 높지 않으면서 오히려 백신 접종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델타와 오미크론 때는 감염 의심자가 급증 했으나, 보건당국이 다 검사를 할 수 없어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무료로 나눠주며 자가 검사를 유도하는 등 사실 감염 확산에 방관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 상당수의 감염자들이 증상이 미약하거나 나타나지 않아 스텔스 확산이 되면서 감염에 대한 경각심도 낮아졌다.

 

보건당국은 백신 접종이 중증으로 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며 부스터샷 접종을 권고했다. 또 연방보건부는 오미크론을 겨냥해 나온 모더나의 새 백신을 사용 승인했다.

 

감기나 독감처럼 추운 날씨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리기 때문에 주 당국은 독감 주사를 맞듯 백신 접종을 적극적으로 독려하고 나서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국산 1호 코로나19 백신인 ‘스카이코비원멀티주(이하 ‘스카이코비원’)’ 현장 접종이 5일부터 시작됐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한 스카이코비원은 지난 6월 29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허가를 거쳐 8월 26일 출하 승인이 마무리됨에 따라 8월 30일 60만 9000회분이 출하됐다.

 

한국 보건당국은 임상시험 결과 AZ보다 감염 위험을 억제하는 중화항체 값이 2.9배 증가했고 항체가 만들어지는 비율도 10% 이상 높았다. 변이주에 대한 면역반응도 AZ 보다 델타주에는 27배, 오미크론주는 10배 이상 높다는 입장이다.

 

아직 ‘스카이코비원’에 대한 캐나다 정부에 대한 사용 승인 신청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397 캐나다 재개발 위해 토지 매각된 저층 아파트 주민들, "이사 안 간다" 시위 밴쿠버중앙일.. 16.07.13.
8396 캐나다 코퀴틀람, 가정집에서 약물 과다복용 의식잃은 사람 5명 발견 밴쿠버중앙일.. 16.07.13.
8395 미국 불면증엔 강박관념부터 없애야 코리아위클리.. 16.07.15.
8394 미국 2016 플로리다 공립학교 ‘A스쿨’ 감소 코리아위클리.. 16.07.16.
8393 미국 플로리다 기업 퍼블릭스, 마이애미서 식품 배달 서비스 코리아위클리.. 16.07.16.
8392 미국 올랜도 서쪽 오렌지밭 동네, 도시 개발 급물살 코리아위클리.. 16.07.16.
8391 미국 플로리다 4개 도시서 쿠바행 항공 노선 운행 코리아위클리.. 16.07.16.
8390 캐나다 $15.9 million달러를 들여서 Shouldice Athletic Park (SAP) 재개발 file 앨버타위클리 16.07.18.
8389 캐나다 2016 캘거리 스템피드 퍼레이드 file 앨버타위클리 16.07.18.
8388 캐나다 글로벌 캘거리 TV의 유명인의 소송 file 앨버타위클리 16.07.18.
8387 캐나다 반창고 크기의 이식장치가 당뇨병 환자들을 도울 수 있게 되었다 file 앨버타위클리 16.07.18.
8386 캐나다 우리 아이들을 다시 놀이터로 돌려 보냅시 file 앨버타위클리 16.07.18.
8385 캐나다 캘거리 스탬피드는 연중 계속되는 이벤트를 찾고 있다 file 앨버타위클리 16.07.18.
8384 캐나다 캘거리에 페스티벌 시즌이 돌아왔다 file 앨버타위클리 16.07.18.
8383 미국 [현장르뽀] 트럼프 대관식 개막..공화당 전당대회 file 뉴스로_USA 16.07.19.
8382 미국 뉴욕 다리 크레인붕괴 아찔…5명 경상 그쳐 file 뉴스로_USA 16.07.21.
8381 미국 한인女의사 ‘트럼프 대관식’ 찬조연설 화제 file 뉴스로_USA 16.07.22.
8380 미국 건강 위협하는 플로리다 벌레들 코리아위클리.. 16.07.22.
8379 미국 플로리다 '백투스쿨' 세금공휴일 8월5일 시작 코리아위클리.. 16.07.22.
8378 미국 비행기서 중간 좌석은 누구나 ‘노!’ 코리아위클리.. 16.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