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지역 10% 미만 떨어질 확률 20~34%
 

 

mimi.jpg
▲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지역 집값이 크게 떨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사진은 마이애미 다운타운 지역 콘도 모습.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마이애미 지역에서 주택을 사려는 사람들 가운데 일부는 가격이 하락할 수도 있다는 희망으로 주택 시장을 관망해 왔다. 오르기만 하던 집값이 최근들어 소폭이나마 전국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이제 기회가 온 것일까.

부동산 데이터 및 분석 제공업체인 코어로직(CoreLogic)이 새로 발표한 확률에 따르면, 주택 구매자들은 적어도 다음 해에도 운이 따르지는 않을 듯하다. 마이애미 지역의 주택 가격이 상당 폭으로 하락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기 때문이다.

설령 집값이 하락한다 하더라도 전반적으로 집값을 하락시킬 만큼 큰 폭이 되지않을 것이란 예측이 아직은 많다.

소폭이나마 남부 플로리다 지역에서 주택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코어로직이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포트 로더데일, 폼파노 비치, 디어필드 비치 지역의 집값이 떨어질 확률이 50%에 이르는 반면, 마이애미, 미아미 비치, 켄달 지역은 반절 수준인 24%이다. 그런가 하면 웨스트 팜 비치, 보카 라톤, 딜레이 비치 45%의 확률을 갖고 있다.

코어로직은 플로리다 전역 대도시 지역의 집값 하락 가능성에 순위를 매겼다. 코어로직 연구진은 향후 1년간 집값 하락 확률을 측정하기 위해 인구 증가, 주택 공급, 신규 건설 프로젝트, 소비자 신뢰도, 주택담보대출 금리 등 몇몇 핵심 지표를 분석했다. 그 결과 가까운 미래에 가격 하락 가능성을 예측해 냈다.

연구진은 가격 하락폭과 상승폭이10% 이상이나 이하가 될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도 살펴서 가격 하락 확률을 더욱 세분화했다.

포트 로더데일 지역의 경우, 가격 하락폭이 10% 이상일 가능성이 16%, 가격 하락폭이 10% 미만일 가능성이 34%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웨스트팜비치와 마이애미의 경우 가파른 가격 하락 가능성은 더욱 희박했다. 가령, 웨스트팜비치는 가격 하락이 10% 이상일 확률이 12%, 10% 미만 가격하락 확률은 33%였다. 반면 마이애미 지역은 10% 이상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3% 미만, 10% 미만의 가격 하락 가능성이 21%에 달한다.

코어로직의 리서치 및 인사이트 담당 임원인 셀마 헵은 "플로리다는 지난 몇 달 동안 거의 30%의 증가율로 상위권을 차지해 왔다. 10%를 할인하더라도 여전히 20%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라면서 "거대한 계획으로 볼 때, 그것은 큰 변화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남부 플로리다의 키즈(Keyes) 회사의 부사장인 크리스티나 파페즈는 "남부 플로리다의 수요는 너무 크고 공급은 너무 적다. 시장에서 기다리는 구매자들은 아마도 그들이 찾고 있는 가격 하락을 당분간 보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격이 하락하려면 적어도 1년치 재고가 있어야 가격 하락을 볼 수 있다"라면서 "우리는 약 두 달 반의 재고를 가지고 있다. 구매자들로부터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느려지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 |
  1. mimi.jpg (File Size:80.5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77 캐나다 한국 입국전 PCR 검사 폐지, 에어캐나다 탑승 거부 일시 혼선 file 밴쿠버중앙일.. 22.09.03.
1176 캐나다 가을을 재촉하는 빗속에 코퀴틀람에서 펼쳐진 한인문화 공연 file 밴쿠버중앙일.. 22.09.07.
1175 캐나다 BC주 가을맞이 코로나19 백신 접종 독려 캠페인 file 밴쿠버중앙일.. 22.09.07.
1174 캐나다 다시 자이언트스텝으로 오른 캐나다 기준 금리 file 밴쿠버중앙일.. 22.09.09.
1173 캐나다 BC 2023년 렌트비 인상 상한선 2%로 묶어 file 밴쿠버중앙일.. 22.09.09.
1172 캐나다 차세대 무역 창업 행사 성공에 한인신협•에어캐나다 후원이 밑거름 file 밴쿠버중앙일.. 22.09.09.
1171 캐나다 2041년 캐나다의 한인 인구는 최대 60만으로 추산 file 밴쿠버중앙일.. 22.09.10.
1170 캐나다 BC 오미크론 대응 백신 가을부터 접종 개시 file 밴쿠버중앙일.. 22.09.10.
1169 캐나다 메트로밴쿠버 공기의 질 여전히 저질 상태-13일부터 나아진다는 전망 file 밴쿠버중앙일.. 22.09.13.
1168 캐나다 2041년 메트로밴쿠버 한인 수는 13.8만 명으로 추산 file 밴쿠버중앙일.. 22.09.13.
1167 캐나다 BC 한인회 제2기 청소년 한국문화사절단 출범 file 밴쿠버중앙일.. 22.09.13.
1166 캐나다 19일 연방은 공휴일, 그럼 BC주는? file 밴쿠버중앙일.. 22.09.15.
1165 캐나다 살인사건 후 용의차량 화재...살인의 공식 file 밴쿠버중앙일.. 22.09.15.
1164 캐나다 7월 BC주 불법마약류 사망자 최소 192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09.16.
1163 캐나다 에어캐나다, 아시아 커뮤니티 여행사 초청 추석행사 열어 file 밴쿠버중앙일.. 22.09.16.
1162 캐나다 한인실협인협회 창업세미나, 요식업이 창업 대세 확인 file 밴쿠버중앙일.. 22.09.16.
1161 미국 미국 초등학생 학업 성취 능력, 팬데믹 기간에 크게 떨어져 file 코리아위클리.. 22.09.16.
1160 미국 탬파 3세 아이, 다섯달 유아에 총쏴 병원행 file 코리아위클리.. 22.09.16.
1159 미국 영양실조로 아들 죽게한 채식주의 엄마에 종신형 file 코리아위클리.. 22.09.16.
» 미국 마이애미 지역 집값 하락세... 얼마나 떨어질까? file 코리아위클리.. 22.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