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통령, 인증변경 권한 없다'... 선거인단 투표 이의제기 요건 크게 강화
 
capitol.jpg
▲ 지난해 의사당 난입 사태 이후 자극을 받은 연방 의회가 ‘선거개표법’ 개정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사진은 미국연방의사당 전경.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지난해 1월 6일 의사당 난입 사태 이후 자극을 받은 연방 의회가 ‘선거개표법’ 개정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미 하원 민주당 소속 조 로프그렌 의원과 공화당 소속의 리즈 체니 의원이 ‘대통령선거 개혁법안(The Presidential Election Reform Act)’을 발의하는 등 1887년 이후 135년 동안 유지해온 선거개표법(Electoral Count Act) 개정을 위한 작업을 시작했다.

하원 규칙위원회는 20일 이 법안을 검토하고 빠르면 21일 본회의 표결을 위해 법안을 상정할 계획이다. 상원 규칙∙행정위원회 역시 이달 27일 하원 법안의 내용과 유사한 선거개표법 개정안에 대한 표결을 계획하고 있다.

미 의회가 선거개표법 개정에 나서게 된 이유는 작년 1월 6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지지자들의 의사당 난입 사건이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당시 마이크 펜스 전 부통령이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대선 결과를 인증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었는데, 트럼프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이를 저지하기 위해 의사당을 난입해 폭동을 일으켰다. 이후 의회에서는 1887년 선거개표법이 오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일었다.

1887년 선거개표법은 11월에 대통령 선거를 한 후 이듬해 1월 초에 상·하원 양원이 만나 각 주의 선거인단 결과를 인증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하지만 의사당 난입 사건 이후, 대통령 선거 결과를 인증하는 과정에서 부통령의 역할을 더 명확하게 명시할 필요가 있고, 선거 결과를 쉽게 뒤집을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선 선거개표법이 개정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게 됐다.

특히 하원에서는 의사당 난입 사건을 조사 중인 하원 특별위원회 소속 의원 두 명이 법안을 마련했다. 로프그렌 의원과 체니 의원은 법안 발의에 앞서 <월스트리트저널>에 기고한 글에서 사심으로 가득 찬 정치인들이 대통령 선거 결과를 빼앗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차후 대통령 선거에서 법치를 지켜내려는 의도”로 법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법안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원 법안은 우선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새로 선출된 대통령 인증 절차에서 부통령의 역할은 의례적이며, 인증을 유예하거나 뒤집을 권한이 없음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의사당 난입 사건 당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지지자들은 대선 결과가 사기라고 주장하며 펜스 전 부통령이 대선 결과 인증을 거부할 것을 압박했었다. 펜스 전 부통령은 자신에게 그럴 권한이 없다고 밝혔는데도 트럼프 전 대통령은 펜스 전 부통령이 "대선 승리 인증을 막을 용기가 없었다"며 비판했다.

이같은 상황을 막기 위해 새 법안은 부통령의 역할을 분명하게 못 박았다. 법안은 또 연방 의원들이 각 주의 선거인단 투표 결과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기준도 크게 강화했다. 현행법에서는 상원의원 1명과 하원의원 1명의 서명을 받으면 상·하원 합동회의에 이의가 접수되고 합동회의는 중단될 수 있다. 하지만 하원의 새 법안은 하원 435명과 상원 100명의 3분의 1이 동참해야 이의를 제기할 수 있도록 했다.

새 법안에는 중요한 다른 내용도 담고 있다. 지난 2020년 대선 후 트럼프 전 대통령은 선거 다음 달인 2020년 12월 주요 경합 주의 선거인단을 교체해, 자신의 지지자들도 구성된 새 선거인단이 2020년 대선 결과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계획을 발표했었다. 새 법안은 각 주의 주법에 따라 선거를 실시하도록 명시했다.

해당 법안이 본회의를 통과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현재 상원과 하원 모두 민주당이 근소한 차이로 다수당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공화당의 지지를 끌어내기 위해 법안 내용이 다소 변경됐다. 앞서 하원에서는 민주당 주도로 우편투표 등 다양한 선거 절차 사용을 확대하고 선거 결과를 뒤집기 위해 지방 선거관리 직원을 위협할 경우, 더욱 강력한 처벌을 부과하는 내용의 법안을 마련해 통과시킨 바 있.

하지만 유사한 법안이 상, 하원에서 모두 통과하기 위해 해당 내용은 이번 법안에서 빠졌다. 민주당은 법안 내용이 완화된 만큼 공화당 의원들의 지지를 받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1. capitol.jpg (File Size:73.3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377 미국 총기난사 유가족들, 범인에 어떤 마음 품을까 코리아위클리.. 16.07.22.
8376 미국 올랜도는 명실공히 놀이 공원의 '수도’ 코리아위클리.. 16.07.22.
8375 미국 플로리다 일부 비치 녹조현상, 주정부 비상사태 선포 코리아위클리.. 16.07.22.
8374 미국 힐러리, 러닝메이트 팀 케인 낙점 file 뉴스로_USA 16.07.23.
8373 미국 美민주당 전당대회 D-1 file 뉴스로_USA 16.07.25.
8372 캐나다 캠프파이어 허가, 한층 더 즐거워진 캠핑 밴쿠버중앙일.. 16.07.28.
8371 캐나다 프레이져 보건부와 써리 시의회, 약물 과다복용 해결책 논의 밴쿠버중앙일.. 16.07.28.
8370 캐나다 이어지는 포켓몬 고 소식들, 열차 트랙에 뛰어들기도 밴쿠버중앙일.. 16.07.28.
8369 캐나다 불꽃축제 개막, 관객 다소 감소 그러나 축제 분위기 여전 밴쿠버중앙일.. 16.07.28.
8368 캐나다 폭력 조직 총격 계속, 지난 주말에는 사망자도 나와 밴쿠버중앙일.. 16.07.28.
8367 캐나다 스탠리 파크에 포켓몬 고 플레이어 수백 명 모여 밴쿠버중앙일.. 16.07.28.
8366 미국 팀 케인 부통령후보 수락…美민주 전대 file 뉴스로_USA 16.07.28.
8365 미국 오준대사 ECOSOC의장 임기마쳐 file 뉴스로_USA 16.07.29.
8364 미국 자동차 사고, 경찰이 늑장 부린다면? file 코리아위클리.. 16.07.29.
8363 미국 올랜도 백화점 고객들, 아웃렛몰로 몰린다 file 코리아위클리.. 16.07.29.
8362 미국 남부플로리다 주택가격 오름세 지속 코리아위클리.. 16.07.29.
8361 미국 플로리다 서남해안 베니스는 세계 상어 이빨의 '수도’ 코리아위클리.. 16.07.29.
8360 미국 플로리다, 의료용 마리화나 시판 시작 코리아위클리.. 16.07.29.
8359 캐나다 써리 총격 사망자, 무고하게 희생되었을 가능성 제기 밴쿠버중앙일.. 16.07.30.
8358 캐나다 올해 프라이드 위크 개막, 내부 갈등 몸살 밴쿠버중앙일.. 16.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