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kP30LwuX_9380f841dddf9df6

 

 

UBC에 새로 88개의 인턴 자리 마련

10월 14일부터 약사 처방 권한 확대

해외 의료 인력 유치 장애물 제거도

 

항상 의료 인력 부족을 겪고 있는 BC에서, 주정부가 혁신적인 개혁안을 들고 나와 의사 수를 늘리고, 약사의 처방 권한을 확대하는 등 개선안을 내놓았다.

 

BC보건부와 공등교육직업훈련부는 공동으로 88개의 UBC 인턴 자리 추가를 비롯해 의료 시스템 개선을 위한 혁신안을 29일 발표했다. 

 

이번 계획 안에는 내년부터 UBC에 40개의 학부의 의료 교육(medical doctor undergraduate program, MDUP) 정원을 늘리고, 88개의 레지던트 자리도 증원하는 것이 포함된다. 항상 가정의를 비롯해 의사부족에 시달리던 BC주에 보다 많은 새 의사들이 육성할 수 있는 의대생과 인턴이 될 기회를 높이겠다는 뜻이다.

 

이렇게 되면 UBC에서 의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학생 총 수가 328개로 늘어나게 되는 셈이다.

 

각 보건소별 MDUP 배정인력을 보면, 밴쿠버-프레이저 의료교육 프로그램에 16명, 북부 의료교육 프로그램에 8명, 남부 의료교육 프로그램에 8명, 그리고 밴쿠버섬 의료교육 프로그램에 8명이 늘어난다.

 

10월 14일부터는 약사들에게 더 많은 약품과 조건을 통해 처방전은 받고 갱신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주사나 코로 투약 할 수 있는 약의 종류도 많아지는 등 할 수 있는 영역이 넓어진다. 현재 주정부는 처방전의 유효기간을 2년으로 늘려 가정의 등 의사를 찾는 횟수를 줄이려는 작업을 하고 있다. 

 

주정부는 약사협회(College of Pharmacists of BC)와 협조를 통해 약사들이 경미한 질환이나 피임약 등을 내년 봄까지 직접 처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작업 중이다.

 

이번에 약사의 처방이나 주사를 할 수 있는 권한이 늘어나지만 추가적인 재교육을 받을 필요가 없어, 당장 의사의 업무 일부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BC주에는 현재 6500명 이상의 약사가 등록되어 있다.

 

새 규정에는 응급처치요원들이 응급구조 때 보다 폭 넒게 나은 응급처치를 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내용도 있다.

 

또 해외의 의료 인력 유치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관련 장애 요소를 축소해 보다 많은 젊은 관련 인력을 수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많은 의료인력이 의료 현장에 남아 있을 수 있도록 개선을 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의료 시스템을 최적화 하는 방안도 구축하기 위해 신기술도 도입하게 된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777 캐나다 작년 소득격차는 줄었지만 저소득층은 더 가난해졌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4.01.
8776 미국 플로리다 비치 8개, 미국 '25 베스트 비치'에 선정 file 코리아위클리.. 23.03.30.
8775 미국 탬파,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 명소' 올랐다 file 코리아위클리.. 23.03.30.
8774 미국 플로리다 '전체 학생에 장학금 제공' 법안, 주 하원 통과 file 코리아위클리.. 23.03.30.
8773 미국 플로리다 초강력 허리케인 여파... "홍수 보험 개혁해야" file 코리아위클리.. 23.03.30.
8772 미국 코로나 팬데믹 기간 임산부 사망률 급증... 60년 만에 최고 file 코리아위클리.. 23.03.30.
8771 미국 바이든 대통령, 애틀랜타 총격 시간 2주년 추모행사에 서한 file 코리아위클리.. 23.03.30.
8770 캐나다 작년, 가계최종재정지출 10.2%나 증가 한 1조 9천억불 file 밴쿠버중앙일.. 23.03.29.
8769 캐나다 한인 코로나19 감염되도 항체형성 비율 낮을수도 file 밴쿠버중앙일.. 23.03.28.
8768 캐나다 캐나다인, "많이 벌수록 벌금 더 내는 것 당연" file 밴쿠버중앙일.. 23.03.25.
8767 캐나다 UBC, 캐나다에서 자연과학 분야에서 최고 file 밴쿠버중앙일.. 23.03.25.
8766 캐나다 1월 영주권을 신청한 한국 국적자는 131명 file 밴쿠버중앙일.. 23.03.25.
8765 캐나다 현 자유당 연방정부 치과보험에 따라 존폐 달려 밴쿠버중앙일.. 23.03.24.
8764 캐나다 BC주만이 1월 전달 대비 유일하게 실업급여자 증가 file 밴쿠버중앙일.. 23.03.24.
8763 캐나다 캐나다 사회주의 국가답게 돌봄사회에 더 안전한 국가로 인식 file 밴쿠버중앙일.. 23.03.24.
8762 캐나다 OECD, 주요 국가에 비해 캐나다 성장률 올해도 내년도 암울 file 밴쿠버중앙일.. 23.03.21.
8761 캐나다 한국보다 캐나다에서 살면 행복 17%P 높지만, 그래도... file 밴쿠버중앙일.. 23.03.21.
8760 캐나다 캐나다인 당장 먹고 사는게 제일 큰 걱정거리로 file 밴쿠버중앙일.. 23.03.21.
8759 캐나다 한-캐 의원친선협회 캐나다방문 국회 대표단의 달라진 모습 file Hancatimes 23.03.20.
8758 캐나다 중국의 캐나다 선거 개입 정치적 긴장 및 인종차별 유발 우려 file Hancatimes 23.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