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문화원).jpg

퀸즐랜드(Queensland) 주의 대규모 문학 이벤트인 ‘Brisbane Writers Festival’ 측이 내년도 행사를 준비하면서 한국을 ‘중점 국가’(Country of Focus)로 선정했다. 사진은 이를 기해 오는 29일 시드니한국문화원과 브리즈번 작가 축제 주최측이 마련한 중점 국가 발표회 이미지. 사진 : 시드니한국문화원

 

QLD 대규모 문학 이벤트... 시드니한국문화원, ‘Country of Focus’ 발표 예정

 

내년도 ‘브리즈번 작가 축제’(Brisbane Writers Festival)를 준비하는 ‘주디스 라이트 아트센터’(Judith Wright Art Centre)가 이벤트 중점 국가(Country of Focus)로 한국을 선정했다.

이에 따라 해외문화홍보원(원장 김장호)과 주시드니한국문화원(원장 김지희, 이하 ‘문화원’)은 오는 29일(토) 브리즈번 소재 주디스 라이트 아트센터에서 중점 국가 발표 행사를 갖는다.

지난 1962년 시작돼 올해로 60주년을 맞는 브리즈번 작가 축제는 매년 5월 경 개최되는 브리즈번의 대규모 문학 축제로, 퀸즐랜드 주정부 기관인 ‘아트 퀸즐랜드’(Arts Queensland)의 지원을 받아 개최된다. 한국 작가로는 지난 2011년 축제에 ‘엄마를 부탁해’의 신경숙 작가가 초청받은 바 있다. 올해 이벤트는 25개 장소에서 200개 이상의 세부 행사가 진행되었으며, 2021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압둘라자크 구르나(Abdulrazak Gurnah)씨를 포함, 총 42명의 해외작가가 참가했다.

브리즈번 작가 축제는 올해부터 인도-태평양 지역 중 한 국가를 그 해 ‘중점 국가’로 선정하여 해당 국가 작가들을 초청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최하고 있으며, 내년도 행사의 중점 국가로 한국이 선정된 것이다.

오는 29일 계획된 ‘중점 국가 선정’ 발표 행사는 단편집 ‘저주토끼’로 인터내셔널 부커상(International Booker Prize) 후보에 오른 정보라 작가를 온라인으로 연결, 호주 작가 미카엘라 칼로스키(Michaela Kalowsky)씨와 함께 하는 ‘작가와의 대화’가 진행된다.

아울러 ‘문학’ 이외에 한국문화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여기에는 태권도진흥재단 소속 시범단 공연과 태권도 워크숍, 한국문화재재단과 문화원이 공동으로 마련한 ‘조선왕실 등 만들기 워크샵’(2022연 ‘세계로 궁온’ 행사 일환)이 포함된다.

브리즈번 작가 축제를 진행하는 사라 런시(Sarah Runcie) 최고경영자는 “한국문화원 및 한국문학번역원과 협력하여 2023년 축제에서 브리즈번에 한국문학의 매력을 선보일 수 있게 되어 기대가 크다”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런시 CEO는 “다양한 한국문학이 영문 번역 도서로 출간되어 호주 국내에서 한국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올해 인터내셔널 부커상 후보에 정보라, 박상영 등 2명의 한국 작가가 이름을 올린 것은 한국문학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계 작가들의 활발한 활동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는 그녀는 “한국계 이민진 작가의 ‘파친코’는 호주 독자들로부터 오랜 기간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으며 소설을 원작으로 제작된 방송 드라마도 좋은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면서 “이런 여러 가지 부분을 고려해 내년도 행사에 한국을 ‘중점 국가’로 선정하게 되었다” 밝혔다.

김지희 문화원장은 “호주 내 여러 작가 축제나 문학 행사에 한국 또는 한국계 작가들이 초청된 적은 있었으나, 호주 최대 문학 이벤트 중 하나인 브리즈번 작가 축제에서 한국이 중점국가로 선정된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며 “이번 중점국가 선정 발표 행사와 내년 5월 개최되는 브리즈번 작가 축제를 통해 호주 문학 관계자 및 일반 독자들이 한국의 저명 작가들과 직접 교류하고 한국문학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2023 브리즈번 작가 축제

중점 국가 선정 기념행사

-일정: 2022년 10월 29일(토) 오후 2:00~4:30

-장소: 주디스 라이트 아트센터(Judith Wright Art Centre)

-관련 웹사이트: https://www.koreanculture.org.au/country-of-focus-for-2023-launch-event/

 

■ 2023 브리즈번 작가 축제

-일정: 2023년 5월 10일~ 5월 14일, 총 5일간

-장소: 브리즈번 도심(CBD) 퀸즐랜드 주립도서관, 퀸즐랜드 박물관, 퀸즐랜드 아트갤러리, 온라인 등

-관련 웹사이트: https://bwf.org.au/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문화원).jpg (File Size:138.4KB/Download:4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163 호주 동포기업 ‘가스펠 피아노’, 올해 시드니 국제 피아노 경연 우승자 ‘격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3162 호주 시드니서 소개하는 한국 현대미술의 오늘과 내일, ‘대한민국 예술원 특별전’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3161 호주 “한국 ‘인삼’의 영어 명칭, ‘Ginseng’ 아닌 ‘Insam’으로 표기해 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3160 뉴질랜드 사단법인 재뉴질랜드 대한체육회 회장 이. 취임식 “소통과 화합” 제15대 유광석 회장 취임 일요시사 23.07.19.
3159 뉴질랜드 뉴질랜드 민주평통, 골든벨행사 성황리에 마쳐 일요시사 23.07.19.
3158 뉴질랜드 오클랜드 제17대 한인회장선거 '홍승필 당선' 일요시사 23.07.19.
3157 뉴질랜드 오클랜드 한인회관 알박기 절대 불허한다. 일요시사 23.07.19.
3156 뉴질랜드 뉴질랜드 태권도의 대부 이정남 회장 所天 이민사회 '교민장'으로 장례 진행 일요시사 23.07.19.
3155 호주 “높게 강하게 도전하라”... 여자 월드컵 한국대표팀, 시드니서 마지막 담금질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3154 호주 스토리 메이커이자 화가가 던지는 ‘나는 누구이고 어디에서 왔는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3153 호주 후쿠시마 핵오염수 투기, “국제 해양법 재판소에 즉각 제소하라” file 호주한국신문 23.07.06.
3152 호주 동포 비즈니스 중심 이스트우드, 시드니 전역 20개 이상 ‘Nightlife’ 핫스폿에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3151 호주 “여름 대표 보양식... 금산의 자랑, 인삼 가득 정성 담은 삼계탕 준비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3150 호주 한국전 정전 70년... 우리는 어떻게 호주 참전용사들을 기억해야 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3149 호주 한국문화원, ‘시드니영화제’ 협력으로 일련의 한국문화 행사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3148 호주 “긍정적 사회 변화를 위한 활동의 중요한 경험 중 하나... 기대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3147 호주 올해 최고 수준의 K-Pop 커버 호주 댄스팀은? 채스우드 콩코스서 경합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3146 호주 “오월의 정신을, 오늘의 정의로!”... 시드니 한인 동포들, ‘5.18’ 의미 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3145 호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WONDER: Wordless Picture Books’ 전시회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1.
3144 호주 한국 외교부, 인천에 재외동포청 설치... 통합민원실은 서울(광화문)로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