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istics Canada Twitter

캐나다 통계청이 26일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퀘벡주에서 프랑스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는 이민자 비율이 몇 년 동안 계속 감소했다.

 

가장 최근 인구조사 수치에 따르면 2016년에서 2021년 사이에 해당 지역에 정착한 신규 이민자 중 이들의 비율은 75.8%로 이는 지난 인구조사에서 이루어진 신규 이민자와 같은 조건에서 약 5% 하락한 수치이다.

 

이전 인구조사에서 해당 비율은 각각 80.7%(2016년), 80.8%(2011년), 77.7%(2006년)이었다.

 

캐나다 통계청 인구통계센터의 에릭 카론 말렌팬트 부소장은 인터뷰에서 해당 비율에는 영어와 프랑스어를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신규 이민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중 대다수는 프랑스어나 영어가 아닌 다른 모국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현실은 퀘벡주 뿐만 아니라 캐나다 다른 지역에서도 나타나는데 최근 이민자의 69.4%가 또 다른 모국어를 사용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응답자의 60% 이상이 집에서 정기적으로 하나 또는 다른 공용어를 같이 사용한다고 답했다. 특히 프랑스어를 집에서 주기적으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비율은 4.5%에 불과했다.

 

또한 그는 퀘벡주에서 프랑스어를 공식 언어로 쓰는 비율도 감소했다고 언급했다. 2016년에는 60.5%에서 2021년 인구조사에서는 54.5%만이 프랑스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했다. 해당 비율은 2011년에는 58.8%, 2006년에는 54.2%였다.

 

퀘벡주에서 영어만을 공식 언어로 사용한 비율은 25.5%였으며 14.7%는 영어와 프랑스어를 모두 사용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카론 말렌팬트 부소장은 시간이 지나면서 해결될 문제는 아니라고 예상하고 있다.

 

그럼에도 캐나다 통계청은 해당 자료를 발표하면서 “대부분 이민자는 영어나 프랑스어를 알고 있거나 잘 구사할 수 있다고 해도 사적 영역보다는 공공 영역에서만 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라고 언급하며, 직장 내에서 쓰이는 언어에 대한 자료가 11월에 발표되면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Statistics Canada Twitter

또한 신규 이민자(영주권자 혹은 캐나다 시민권자)가 캐나다 인구의 23%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연방 역사상 가장 높은 비율이며, 이는 G7 국가 중 가장 높은 이민자 비율을 나타내기도 한다.

 

정부 기관은 이에 최근 입국자의 절반 이상이 경제적 이민자라고 지적했으며, 캐나다 통계청은 신규 이민자들이 주와 준주의 노동력 부족 현상을 메울 수 있다고 추정했다.

 

반면, 캐나다 통계청은 캐나다 통계청은 몬트리올이 2021년에 더 적은 비율로 이민자를 받았다고 밝혔으며(이전 인구조사 연도인 12.2%), 이는 캐나다 3대 도심 중 가장 큰 감소 폭이다.

 

또한 오타와와 가티노 지역과 같은 주요 도심 외곽에 이전보다 더 많은 새로운 사람들이 정착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하지만 최근 이민자들이 캐나다 농촌 지역에 정착한 비율은 전체의 3.2%에 불과했다.

 

2016년에서 2021년 사이에 입국한 신규 이민자의 60% 이상이 아시아에서 왔으며, 가장 많은 신규 이민자가 온 국가는 인도이며, 필리핀이 2위를 차지했다. 필리핀은 저번 인구조사에서 해당 부분 1위를 차지했었다.

 

캐나다 통계청의 엘렌 마외(Hélène Maheux) 수석 분석가는 퀘벡주만이 이와 다르게 프랑스, 알제리, 시리아 등 아프리카 국가에서 태어난 이민자가 다른 지역보다 많다고 언급했다.

 

또한 전국적으로 새로운 이민자 중 3분의 1 이상이 영주권 취득 전에 임시직 근로자, 유학생 등 다른 이유로 캐나다에 이미 머물러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카론 말렌팬트 부소장은 이러한 이민 배경이 장단기적으로 프랑스어와 영어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기 위해서는 더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몬트리올 한카타임즈

  • |
  1. FfxmC_CXwAMg2Yo-min-696x696.jpg (File Size:65.0KB/Download:30)
  2. Ff_1CZgXkAQE27W-min-2048x2048.jpg (File Size:308.9KB/Download:3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837 미국 올랜도 주택시장 봄 판매 시즌 맞아 기지개 file 코리아위클리.. 23.05.11.
8836 미국 플로리다 '6주후 낙태 금지법' 시행...강간 등은 예외 file 코리아위클리.. 23.05.11.
8835 미국 허리케인 이언, 플로리다에 1095억 달러 피해 file 코리아위클리.. 23.05.11.
8834 미국 브레바드 & 탬파 동물원 미국 ‘최고 동물원’ 상위 차지 file 코리아위클리.. 23.05.11.
8833 미국 플로리다 교육장학금 프로그램 집행에 공립학교 '초긴장' file 코리아위클리.. 23.05.11.
8832 캐나다 세계 청소년도 함께 즐기는 한국 전통예술 한마당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0.
8831 캐나다 캐나다 신생아 이름 중 가장 인기 있는 이름은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0.
8830 캐나다 지금 BC주민에게 제일 중요한 것은... 주택, 의료, 범죄 순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0.
8829 캐나다 4월 고용증가 모두 파트타임 취업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6.
8828 캐나다 BC주정부, "필요인력 교육에 지원 아끼지 않겠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6.
8827 캐나다 밴쿠버 비 내리지만, BC 내륙 사상최고 기온 기록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6.
8826 캐나다 밴쿠버 '방황하는 네덜란드인' 오페라 공연 김우경 교수 출연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5.
8825 캐나다 코로나19 정부지원금 환수 관련 불만 있다면 주목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5.
8824 캐나다 BC주로 총기 밀수하다 걸려 30개월 징역형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5.
8823 캐나다 2021년 캐나다 가구의 중간 소득은 6만 8400달러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4.
8822 캐나다 4월 메트로밴쿠버 지역 집값 다시 상승 반전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4.
8821 캐나다 19일 세계적 한국 클래식기타리스트 밴쿠버 공연 file 밴쿠버중앙일.. 23.05.04.
8820 캐나다 한국 1분기 대 캐나다 승용차 수출액 전년대비 55.3% 증가 file 밴쿠버중앙일.. 23.04.29.
8819 캐나다 캐나다인, 트뤼도나 보일리에브나 '건방지다' 생각 file 밴쿠버중앙일.. 23.04.29.
8818 캐나다 주정부, 써리 시경찰 체제 유지를 지지 file 밴쿠버중앙일.. 23.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