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5차 접종 1).jpg

정부에 백신 관련 자문을 제공하는 ATAGI는 아직까지 5차 접종은 권장하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오미크론 하위 계보가 등장, 감염자가 늘어나면서 5차 접종이 권장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사진 : WA Health

 

한 전문가, “현재 권장되는 백신접종 통해 적격 대상자 관리 중점 두어야...” 강조

 

COVID-19 감염 사례와 입원이 전국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백신을 원하는 이들에 대한 추가 보호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연방 보건 당국은 “아직은 5번째 추가접종을 권장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이달 둘째 주 보건부는 정부에 백신 관련 자문을 제공하는 ‘Australian Technical Advisory Group on Immunisation’(ATAGI)가 5차 접종을 받아야 하는지에 대한 조언을 상원위원회에 제시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현재 ATAGI는 30세 이상 연령에게는 4회 접종을, 5세에서 29세의 경우 3회, 5세 미만은 2회 접종을 권장하고 있다. 다만 면역체계가 심하게 손상된 성인의 경우에는 5차 접종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오미크론’(Omicron) 변이 바이러스의 하위 계보들이 속속 나타나고 감염자가 늘어나면서 일각에서는 추가 옵션이 있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호주의 백신접종률은= 호주에서는 일부 방역 의무와 백신경제 조치로 첫 두 차례의 접종 비율은 크게 높았지만 3차 및 4차 추가 접종률은 그렇지 않다. 16세 이상 호주인 중 약 97.3%가 COVID-19 백신 1회 접종을, 그리고 95.9%가 2차 접종을 받았다. 하지만 3차 접종 인구는 69.2%, 4차 접종을 받은 이들의 비율은 24.4%에 불과하다.

이는 보다 엄격해진 자격 요건으로 설명될 수 있다. 4차 접종의 경우에는 30세 이상 또는 16세 이상으로 면역력이 크게 떨어진 이들에게만 제공된다. 이 용량은 세 번째 접종 또는 COVID-19 감염 후 최소 3개월 후에만 권장되고 있다.

ATAGI는 현재 30세 미만의 건강한 성인에게 두 번째 ‘겨울’ 추가 접종 제공을 지원하지 않는다.

 

종합(5차 접종 2).jpg

현재 16세 이상 호주인 중 약 97.3%가 COVID-19 백신 1회 접종을, 그리고 95.9%가 2차 접종을 받았다. 하지만 3차 접종 인구는 69.2%, 4차 접종을 받은 이들의 비율은 24.4%에 불과하다. 사진은 NSW의 한 백신접종 허브.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 추가접종에 대한 더 많은 수요가 있나= 백신접종 통계에서 알 수 있듯 백신을 투여받는 이들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시드니대학교 사회과학자 줄리 리스크(Julie Leask) 교수가 ‘정체 상태’(stagnation)라고 표현한 추세라 할 수 있다.

리스크 교수는 “추가 접종자가 줄어든 것은 사람들이 코로나바이러스에 익숙해진 것”이라며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질병에 대해 좀 더 느긋한 경향을 보인다”고 말했다.

최근 멜번(Melbourne)에서 발행되는 타블로이드 일간지 ‘Herald Sun’ 보도에 따르면 ATAGI는 2023년 1월에 5차 추가접종을 ‘거의 확실하게’ 권고할 것이라 밝혔지만 리스크 교수는 현재 권장되는 백신접종을 통해 적격 호주인을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녀는 “65세 이상 인구 중 4분의 1은 4차 접종을 받지 않았다”며 “또한 30세 이상 원주민의 경우 4차 접종을 받은 비율은 34%에 불과한 상태”라고 말했다.

 

▲ 부스터는 새로운 변이에 효과적인가= 새 변이 바이러스의 진화와 함께 이에 대한 기존 백신의 효능에 의문이 가는 것은 당연하다.

영국에서 주간(weekly)으로 발생되는 의학저널 ‘The Lancet’에 발표된, 화이자-바이오앤텍(Pfizer-BioNTech) 백신의 효능에 관한 2022년 10월 연구에 따르면 “2차 접종 후 BA.4, BA.5에 대한 백신효과는 마지막 접종 이후의 결과와 시간에 관계없이 50% 이하였다.

 

종합(5차 접종 3).jpg

시드니대학교 사회과학자 줄리 리스크(Julie Leask. 사진) 교수. 그녀는 추가접종 비율이 낮은 것에 대해 “사람들이 코로나바이러스에 익숙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진 : University of Sydney

 

모더나(Moderna) 사의 콤비네이션 부스터 ‘Spikevax Bivalent Original/Omicron’은 18세 이상 호주인을 위해 지난 10월 출시됐다. 이 백신의 예비 결과는, ATAGI가 “오미크론 하위 변이체 BA.1, BA.4 및 BA.5에 대한 면역 반응에서 ‘약간의 추가적 효능’(a small incremental benefit)”이라 언급한 것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바이러스의 빠른 진화 속도는 ‘오미크론 COVID 부스터’ 조합도 곧 유행하는 새 균주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호주 전역에서는 현재 BA.5 균주가 여전히 우세하지만 새로운 BQ.1 및 XBB 변이가 이를 대체하기 시작한 상황이다.

 

▲ 정부, “백신공급은 차질 없다”= ATAGI가 5차 백신접종(30세 미만의 경우 4차)을 권고한다면 정부는 모든 이들에게 충분한 백신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호주 정부는 COVID-19 백신 공급에 5개의 개별 계약을 체결한 상태이다.

이 같은 노력을 통해 호주는 화이자(Pfizer),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노바백스(Novavax), 모더나(Moderna) 및 COVAX Facility를 통해 총 2억5천만 도스를 확보할 수 있다.

보장된 공급량 가운데 지금까지 호주에서는 총 6,390만 도스가 투여됐다. 공급망 제약으로 인해 모더나와 같은 일부 회사의 일부 백신 공급은 2023년도로 연기됐지만 연방 보건 및 Aged Care부는 호주인들에 대한 백신 제공이 이 같은 글로벌 공급망 문제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말했다.

보건부 대변인은 ABC 방송에서 “정부는 (접종) 자격을 갖춘 모든 호주인들이 추가접종을 받을 수 있도록 충분한 백신을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취약한 이들의 생각은= 멜번 교외지역에 거주하는 데이빗 크리스텐슨(David Christensen)씨는 최근 몇 주 동안 5차 접종을 받고자 노력했다. 그는 면역 저하로 간주되지 않는 제2형 당뇨를 앓고 있으며, 이미 4회의 접종을 받은 상태이다. 크리스텐슨씨는 “늘 COVID-19 백신을 먼저 받고자 노력해 왔다”고 말했다.

정부 방침이 나오는 대로 접종을 받으려는 그의 의도는 그러나 5차 접종 권장을 기다리는 동안, 이전에 접종받은 백신의 보호기능이 약해지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했다.

 

종합(5차 접종 4).jpg

정부는 추가접종이 권장되더라도 백신을 공급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을 것임을 자신한다. 사진 : Texas Children's Hospital

   

그는 “4차 접종의 효과가 떨어지기 시작했는데도 정부는 5차 접종을 승인하지 않고 있다”며 초조함을 감추지 않았다.

크리스텐슨씨의 상황은 아이러니하게도 마지막 부스터를 투여받은 후 7개월이 지난 현재, COVID 감염과 싸우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없고, 다만 ATAGI가 어떤 결정을 내놓을 것인지 기다리는 것”이라고 토로했다.

 

▲ 우리는 매년 접종받는 상황으로 가는 것일까= 리스크 교수는 ATAGI가 5차 접종 권장 결정을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을 것이라면서도 그 과정에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ATAGI는 호주인들에게 추가 용량을 도입했을 때의 위험 또는 이점에 대한 광범위한 증거를 확인하게 된다”는 그녀는 “특정 인구의 압력으로 검토를 서두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5차에 이어 6, 7, 8차 또는 매년 접종을 받아야 하는 상황으로 갈 것인지에 대해 리스크 교수는 “아직 확신하기에는 너무 이르다”면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과 같은 연례 COVID 부스터 체제가 될지에 대한 결정은, COVID 감염 파동의 패턴이 진정되고 위험을 더 분명하게 판단할 수 있을 때까지는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5차 접종 1).jpg (File Size:43.6KB/Download:39)
  2. 종합(5차 접종 2).jpg (File Size:62.6KB/Download:40)
  3. 종합(5차 접종 3).jpg (File Size:58.8KB/Download:37)
  4. 종합(5차 접종 4).jpg (File Size:66.6KB/Download:3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51 뉴질랜드 인구 500만명 시대까지 앞당긴 ‘코로나 19’ NZ코리아포.. 20.05.18.
5150 뉴질랜드 오클랜드 역사상 가장 가뭄 심한 상황, 물 사용 제한 NZ코리아포.. 20.05.18.
5149 뉴질랜드 아던 총리도 카페 밖에서 줄 서서 대기 NZ코리아포.. 20.05.18.
5148 호주 서호주의 새로운 관광레저 산업 구제책 file 퍼스인사이드 20.05.13.
5147 뉴질랜드 COVID-19 5월 10일 오후, 새로운 감염자 2명 총 누적확진자 1,494명 일요시사 20.05.11.
5146 뉴질랜드 COVID-19 5월 8일 오후, 새로운 감염자 2명, 총 감염자 1,490명 (확진자 1,141명 + 의심 확진자 349명… 일요시사 20.05.11.
5145 뉴질랜드 COVID-19 ,4월 30일 1:00PM 브리핑 요약 일요시사 20.05.11.
5144 뉴질랜드 COVID-19 4월 23일 오후,추가 감염자 3명 ,사망 2명,총 누적확진자 1451명 일요시사 20.05.11.
5143 호주 호주인 태운 비행기 네 대 이번 주 퍼스 도착, 확진자 수 급증 가능성 있어 file 퍼스인사이드 20.04.28.
5142 호주 서호주 실내외 모임 최대 10명까지 허용 file 퍼스인사이드 20.04.28.
5141 호주 개개인 이동경로 파악 ‘앱’ 활용시 수개월 이내 ‘제한조치’ 해제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40 호주 ‘Coronavirus shutdown’ 해제 또는 완화, 세 가지 조건 충족돼야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9 호주 Coronavirus pandemic... 호주인 삶은 어떻게 바뀔까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8 호주 공공보건 명령 위반의 다양한 사례들,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7 호주 SARS보다 덜 치명적인 COVID-19, 사망자 많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6 호주 NSW 주 정부, 4억4천만 달러의 ‘임차인’ 지원 방안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5 호주 ‘Coronavirus shutdown’... 각 부문별 구인광고, 크게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4 호주 시드니대학교, COVID-19로 4억7천만 달러 손실 추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3 호주 2019-20 여름 시즌 산불, 5건의 수치로 보는 피해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2 호주 실내 공간에서 COVID-19는 얼마나 퍼져나가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1 호주 COVID-19 영향으로 전 세계 5억 명 ‘빈곤층’ 전락 위기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0 호주 L-plater의 운전 교습, ‘Coronavirus shutdown’ 단속 대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9 호주 호주 전역 도시의 여름, 겨울 비해 두 배 길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8 호주 공개 경매 이외 각 국가의 보편적인 주택 매매 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7 호주 시드니 경매서 가장 많이 거래된 매물은 2개 침실 주택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6 호주 NSW 주정부, $4억4000만 세입자 지원 대책 발표 톱뉴스 20.04.15.
5125 호주 부활절 연휴, ‘사회적 격리’ 범칙금 30만 달러 발부…법조계 ‘흠결 투성이 규정’ 지적 톱뉴스 20.04.15.
5124 호주 해외 호주 교민 단체 입국 쇄도...우루과이 해상, 인도, 캄보디아 등 750여명 톱뉴스 20.04.15.
5123 호주 도로시 헨더슨 요양원 집단 감염 사태, 시드니 서부서 ‘재연’ 톱뉴스 20.04.15.
5122 호주 호주 실업률 급상승…기업 신뢰도 급락 톱뉴스 20.04.15.
5121 호주 호주, 코로나19 확진 곡선 완만….15일 NSW 신규 확진자 16명 톱뉴스 20.04.15.
5120 뉴질랜드 정부,대학생들을 위한 학생 융자 지원책 진행 예정 일요시사 20.04.15.
5119 뉴질랜드 15일 (수) 오후 1시 40분, 51초동안 크라이스처치 테러 공격 희생자 추모하는 묵념 예정 일요시사 20.04.15.
5118 뉴질랜드 관광업계 6개월 이후에도 회복이 어려우면서 120억 달러 이상의 매출 손실 예상 일요시사 20.04.15.
5117 뉴질랜드 국제시장 상품가격 하락, 뉴질랜드 달러 약세로 완화 일요시사 20.04.09.
5116 뉴질랜드 경찰 ,부활절 휴가 기간 이동하는 사람들 단속할 것 일요시사 20.04.09.
5115 뉴질랜드 아던 총리, 모든 입국자 들에게 강제적 14일간 격리 수용 예정 일요시사 20.04.09.
5114 뉴질랜드 관광업계 6개월 이후에도 회복이 어려우면서 120억 달러 이상의 매출 손실 예상 일요시사 20.04.09.
5113 뉴질랜드 오클랜드 필 고프 시장, 레이트 3.5% 인상할 것... 일요시사 20.04.09.
5112 뉴질랜드 뉴질랜드,1,000명 이상의 코비드19 확진자에 1명의 사망자를 낸 유일한 국가 일요시사 20.04.09.
5111 뉴질랜드 모든 뉴질랜드 입국자들에게 강력한 의무 자가격리 방침 발표 예정 일요시사 20.04.09.
5110 호주 범죄현장같이 변한 서호주 공원과 놀이터 file 퍼스인사이드 20.04.09.
5109 호주 서부호주(Western Australia) 호주 내의 다른 주와의 경계지역 차단 file 퍼스인사이드 20.04.09.
5108 호주 NSW ‘사회적 격리’ 조치 최소 석달 지속 전망… ‘6개월 불가피설’ 부인 톱뉴스 20.04.09.
5107 호주 호주 내 임시 이민자, 코로나19 직격탄…생활고 ‘점입가경’ 톱뉴스 20.04.09.
5106 호주 COVID-19 데이터... 양성 진단 환자들에게서 나타난 증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5 호주 유학생들, “오라 할 때는 언제고, 이제는 돌아가라고?”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4 호주 ‘Coronavirus shutdown’... 소형 항공기로 피자 배달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3 호주 COVID-19 위험, 당뇨-심장 질환자들에게 더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2 호주 ‘Coronavirus shutdown’ 관련, 가장 많은 검색 포털 질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