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강압통제법 1).jpg

가족-가정 폭력의 한 형태인 ‘강압적 통제’(coercive control)를 ‘범죄 행위’로 명시한 NSW 주의 새 법안이 의회에서 승인됐다. 다만 이 법은 강압 대상을 현재 또는 이전의 파트너로 한정했다. 사진 : Pixabay / geralt

   

처벌 대상은 파트너로 한정, 통제 목적의 반복적 학대행위에 최대 7년 징역형 가능

 

가족-가정폭력의 한 형태인 ‘강압적 통제’(coercive control)를 ‘범죄 행위’로 명시한 NSW 주의 새 법안이 의회에서 승인됐다. 이로써 NSW 주는 호주 정부관할 구역 가운데 이를 범죄로 규정한 최초의 주(State)가 됐다. 다만 이 법은 ‘강압’ 대상을 현재 또는 이전의 파트너로 한정했다.

‘강압적 통제’는 그 대상인 피해자-생존자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부정하려는 행동 패턴 등을 포함하는 가정폭력의 한 형태이다.

새 법은 강요하거나 통제할 의도로 파트너(현재 또는 이전의)에게 행하는 반복적 학대를 ‘범죄’로 규정하는 내용으로, 최대 7년의 징역형을 선고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다.

이달 셋째 주, 법안이 의회에서 통과한 뒤 도미닉 페로테트(Dominic Perrottet) 주 총리는 “여성의 안전, 가족-가정폭력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NSW 주는 국가를 선도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이 교활한 형태의 가정폭력으로부터 주민을 보호하고자 획기적 개혁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으며, 이제 우리는 친밀한 파트너 관계에서 강압적 통제를 범죄로 규정함으로써 그 약속을 이행하게 됐다”고 말했다.

NSW 주 여성부 브로니 테일러(Bronnie Taylor) 장관은 “주 정부는 피해 생존자와 그 가족, 비극적으로 목숨을 잃은 이들의 가족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이 교활한 학대를 규탄한다”면서 “NSW 정부는 여성, 아동 및 우리 지역사회 모든 구성원의 삶이 더 안전해지도록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법무부 마크 스피크만(Mark Speakman) 장관은 이 법에 대해 “이 획기적 개혁은 지난 2년 반 이상 최소 8차례의 논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낸 전례 없는 협의의 산물”이라고 표현했다.

주 법무부에 따르면 이 법안 마련 과정에서의 광범위한 협의에는 2020년 공개토론 문서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강압적 통제 법안을 위한 위원회인 ‘Joint Select Committee on Coercive Control’이 진행한 것으로 의회 조사, 거의 200건에 달하는 서면 제출, 수집된 초안에 대한 대상자 협의, 각계 30여 명의 이해관계자 원탁회의 등이 그것이다.

스피크만 장관은 “이 전례 없는 참여를 통해 우리는 강압적 통제에 대처하는 최상의 법안을 만들고 신중하게 조정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종합(강압통제법 2).jpg

NSW 여성안전 및 가정폭력방지부 나탈리 워드(Natalie Ward. 사진) 장관. 법안 초안 마련을 위해 구성된 ‘Joint Select Committee on Coercive Control’ 의장을 맡았었다. 사진 : Twitter / Natalie Ward

   

이어 법무장관은 “가정폭력은 단순히 물리적 폭행에 관한 것만이 이니다”고 전제한 뒤 “가정폭력 가해자는 파트너에게 상처를 주고 통제하고자 신체적-성적-심리적-재정적 학대를 사용하기도 한다”면서 “슬프게도 이런 행동은 가정폭력으로 인한 사망의 전조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이 법안을 마련하기 위해 구성된 ‘Joint Select Committee on Coercive Control’ 의장을 맡았던 여성안전 및 가정폭력방지부의 나탈리 워드(Natalie Ward) 장관은 이 법안은 신중하게 조정된 방식으로 급진적 개혁을 만들어냈다고 평가했다.

장관은 “위원회에 증거를 제공함으로써 이 획기적 개혁을 만들어내는 데 도움을 준 용기 있는 모든 이들에게 감사한다”고 말하며 “이 법을 통해 우리는 가장 취약한 이들을 보호하고 필요한 이들에게 정의의 길을 제공하는 사회적 변화를 주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 정부는 이 법안이 의회에서 승인됨에 따라 교육, 자원조달, 훈련 및 지역사회 인식 제고를 위한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고자 최소 14개월에서 19개월의 시행기간을 둔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주 정부는 올해 예산에서 가정-가족폭력 피해자-생존자를 지원하고 법적 절차를 경험함으로써 갖게 되는 트라우마를 최소화하는 서비스 부문에 추가로 6,960만 달러를 투입하기로 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강압통제법 1).jpg (File Size:67.5KB/Download:38)
  2. 종합(강압통제법 2).jpg (File Size:61.8KB/Download:3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51 뉴질랜드 인구 500만명 시대까지 앞당긴 ‘코로나 19’ NZ코리아포.. 20.05.18.
5150 뉴질랜드 오클랜드 역사상 가장 가뭄 심한 상황, 물 사용 제한 NZ코리아포.. 20.05.18.
5149 뉴질랜드 아던 총리도 카페 밖에서 줄 서서 대기 NZ코리아포.. 20.05.18.
5148 호주 서호주의 새로운 관광레저 산업 구제책 file 퍼스인사이드 20.05.13.
5147 뉴질랜드 COVID-19 5월 10일 오후, 새로운 감염자 2명 총 누적확진자 1,494명 일요시사 20.05.11.
5146 뉴질랜드 COVID-19 5월 8일 오후, 새로운 감염자 2명, 총 감염자 1,490명 (확진자 1,141명 + 의심 확진자 349명… 일요시사 20.05.11.
5145 뉴질랜드 COVID-19 ,4월 30일 1:00PM 브리핑 요약 일요시사 20.05.11.
5144 뉴질랜드 COVID-19 4월 23일 오후,추가 감염자 3명 ,사망 2명,총 누적확진자 1451명 일요시사 20.05.11.
5143 호주 호주인 태운 비행기 네 대 이번 주 퍼스 도착, 확진자 수 급증 가능성 있어 file 퍼스인사이드 20.04.28.
5142 호주 서호주 실내외 모임 최대 10명까지 허용 file 퍼스인사이드 20.04.28.
5141 호주 개개인 이동경로 파악 ‘앱’ 활용시 수개월 이내 ‘제한조치’ 해제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40 호주 ‘Coronavirus shutdown’ 해제 또는 완화, 세 가지 조건 충족돼야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9 호주 Coronavirus pandemic... 호주인 삶은 어떻게 바뀔까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8 호주 공공보건 명령 위반의 다양한 사례들,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7 호주 SARS보다 덜 치명적인 COVID-19, 사망자 많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6 호주 NSW 주 정부, 4억4천만 달러의 ‘임차인’ 지원 방안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5 호주 ‘Coronavirus shutdown’... 각 부문별 구인광고, 크게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4 호주 시드니대학교, COVID-19로 4억7천만 달러 손실 추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3 호주 2019-20 여름 시즌 산불, 5건의 수치로 보는 피해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2 호주 실내 공간에서 COVID-19는 얼마나 퍼져나가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1 호주 COVID-19 영향으로 전 세계 5억 명 ‘빈곤층’ 전락 위기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30 호주 L-plater의 운전 교습, ‘Coronavirus shutdown’ 단속 대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9 호주 호주 전역 도시의 여름, 겨울 비해 두 배 길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8 호주 공개 경매 이외 각 국가의 보편적인 주택 매매 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7 호주 시드니 경매서 가장 많이 거래된 매물은 2개 침실 주택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5126 호주 NSW 주정부, $4억4000만 세입자 지원 대책 발표 톱뉴스 20.04.15.
5125 호주 부활절 연휴, ‘사회적 격리’ 범칙금 30만 달러 발부…법조계 ‘흠결 투성이 규정’ 지적 톱뉴스 20.04.15.
5124 호주 해외 호주 교민 단체 입국 쇄도...우루과이 해상, 인도, 캄보디아 등 750여명 톱뉴스 20.04.15.
5123 호주 도로시 헨더슨 요양원 집단 감염 사태, 시드니 서부서 ‘재연’ 톱뉴스 20.04.15.
5122 호주 호주 실업률 급상승…기업 신뢰도 급락 톱뉴스 20.04.15.
5121 호주 호주, 코로나19 확진 곡선 완만….15일 NSW 신규 확진자 16명 톱뉴스 20.04.15.
5120 뉴질랜드 정부,대학생들을 위한 학생 융자 지원책 진행 예정 일요시사 20.04.15.
5119 뉴질랜드 15일 (수) 오후 1시 40분, 51초동안 크라이스처치 테러 공격 희생자 추모하는 묵념 예정 일요시사 20.04.15.
5118 뉴질랜드 관광업계 6개월 이후에도 회복이 어려우면서 120억 달러 이상의 매출 손실 예상 일요시사 20.04.15.
5117 뉴질랜드 국제시장 상품가격 하락, 뉴질랜드 달러 약세로 완화 일요시사 20.04.09.
5116 뉴질랜드 경찰 ,부활절 휴가 기간 이동하는 사람들 단속할 것 일요시사 20.04.09.
5115 뉴질랜드 아던 총리, 모든 입국자 들에게 강제적 14일간 격리 수용 예정 일요시사 20.04.09.
5114 뉴질랜드 관광업계 6개월 이후에도 회복이 어려우면서 120억 달러 이상의 매출 손실 예상 일요시사 20.04.09.
5113 뉴질랜드 오클랜드 필 고프 시장, 레이트 3.5% 인상할 것... 일요시사 20.04.09.
5112 뉴질랜드 뉴질랜드,1,000명 이상의 코비드19 확진자에 1명의 사망자를 낸 유일한 국가 일요시사 20.04.09.
5111 뉴질랜드 모든 뉴질랜드 입국자들에게 강력한 의무 자가격리 방침 발표 예정 일요시사 20.04.09.
5110 호주 범죄현장같이 변한 서호주 공원과 놀이터 file 퍼스인사이드 20.04.09.
5109 호주 서부호주(Western Australia) 호주 내의 다른 주와의 경계지역 차단 file 퍼스인사이드 20.04.09.
5108 호주 NSW ‘사회적 격리’ 조치 최소 석달 지속 전망… ‘6개월 불가피설’ 부인 톱뉴스 20.04.09.
5107 호주 호주 내 임시 이민자, 코로나19 직격탄…생활고 ‘점입가경’ 톱뉴스 20.04.09.
5106 호주 COVID-19 데이터... 양성 진단 환자들에게서 나타난 증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5 호주 유학생들, “오라 할 때는 언제고, 이제는 돌아가라고?”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4 호주 ‘Coronavirus shutdown’... 소형 항공기로 피자 배달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3 호주 COVID-19 위험, 당뇨-심장 질환자들에게 더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
5102 호주 ‘Coronavirus shutdown’ 관련, 가장 많은 검색 포털 질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