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평통 아태지역).jpg

민주평통 아태지역회의가 해당 국가 한국전 참전용사들의 전쟁에 대한 기억을 영상으로 남기고자 제작한 디지털 회고전 다섯 번째 작업인 ‘Legacy of Little Tigers’(사진)가 공개됐다. 사진 : 민주평통 아태지역회의 제공

   

‘리틀 타이거즈의 유산’ 제목, 태국 참전용사들이 들려주는 전쟁의 기억

 

한국전 정전 70주년(2023년) 기념사업 일환으로 민주평통 아시아-태평양지역회의(부의장 이숙진)가 추진하는 다섯 번째 참전용사 디지털 회고전 영상이 제작됐다.

필리핀의 어거스토 플로레스 예비역 대령의 한국전 회고 인터뷰 동영상을 시작으로 다섯 번째 회고전인 이번 영상에서는 ‘리틀 타이거즈의 유산’이라는 제목으로 태국 한국전 참전용사들의 전쟁에 대한 기억을 담아냈다. 이번 영상은 동남아서부협의회(회장 강의종)와 공동으로 작업한 것이다.

정전 70주년을 앞두고 호주를 비롯해 한국전에 참전했던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 용사들의 육성 인터뷰 작업에 착수했던 평통 아태지역회의는 1편에서 필리핀 참전용사 영상을 제작한 데 이어 ‘호주 해군 UDT 전설’로 불리는 고 윌리암 핏츠제럴드씨(2편), 뉴질랜드 참전용사 다니엘 힐리히 예비역 장교의 회고 영상(3편), ‘호주한국참전용사협회’ 존 먼로 회장의 한국전 참전에 대한 기억(4편)을 제작해 선보인 바 있다.

영어와 한국어로 제작된 이번 영상은 유튜브(youtube.com) 아태지역회의 채널을 비롯해 아태지역회의의 디지털 기록관(www.puac.com.au)에서 시청할 수 있다.

이번 영상 제작과 관련해 이숙진 아태지역회의 부의장은 “한국전 당시의 모국, 그리고 현재의 한국에 대한 감회를 바탕으로, 노구의 한국전 참전용사들이 주는 따뜻한 메시지와 교훈을 많은 한인동포들이 공유해주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평통 아태지역).jpg (File Size:88.0KB/Download:4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203 호주 재외선거인 등록했다가 이후 국적 상실 또는 주민등록을 했다면...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
3202 호주 마이클 린드만 작가, 제10회 ‘한호예술재단 미술공모’ 상금 2만 달러 차지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3201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5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3200 호주 “문학 꽃잎 다섯 장 모여 무궁화 꽃마당 활짝 피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3199 호주 “22대 대한민국 총선 참여로 호주 재외국민 목소리 보여줄 때...”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3198 호주 호주 주요 정-재계 인사들, 하이스쿨 여학생들과 ‘커리어’ 공유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3197 호주 “장애를 가진 이들 또한 우리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이자 함께 하는 이웃...”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3196 호주 평통 호주협의회, 청년 자문위원 대상의 ‘통일 불씨 캠프’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3195 호주 ‘저버리지 못할 약속이여!’... 동포 청년들, 조국 위한 선열들 희생 추모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3194 호주 “세대를 아우르는 음악적 감동...” 두 번째 청소년 음악 콩쿨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3193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제22대 국회의원 재외선거 ‘국외부재자 신고’ 접수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3192 호주 ‘함께 하는 모두의 한인회’ 목표... 34대 시드니한인회 출범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3191 호주 “방한 연수로 한국 알았고, 보다 큰 세계를 보는 계기 됐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3190 호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PowerhouseLate’ 프로그램 통해 ‘한국문화’ 소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3189 호주 이민 칼럼- 호주 취업이민, ‘골품제’의 저주가 풀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3188 호주 서울 뉴욕 베이징의 신진작가들, ‘디아스포라 예술’의 다양성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3187 호주 시드니총영사관-Multicultural NSW, ‘다문화 보조금’ 설명회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3186 호주 호주 현지 한국어 과정 중등부 학생 대상, ‘한국어 말하기’ 대회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3185 호주 민간 복지단체 CASS, ‘지역사회 예방접종 인식 확대’ 프로그램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3184 호주 ‘시드니재외선거관리위원회’, 총선 앞두고 호주 재외국민 선거업무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