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주택시장 분석 1).jpg

올 한해 내내 이어진 주택시장 침체가 내년에는 어떻게 흘러갈까. 부동산 관계자는 물론 주택을 구입했거나 내집 마련을 꿈꾸는 이들의 공통적 관심사는 2023년도의 시장 흐름이다. 현재까지의 전망을 보면 시장 흐름은 올해보다 다소 긍정적일 것이라는 예상도 많다. 사진은 시드니의 한 주택경매 알림판. 사진 : ABC 방송 뉴스 프로그램 화면 캡쳐

 

‘SQM Research’ 분석 보고서, 기준금리 동결-인플레이션 하락시 내년도 상승세로

 

부동산 시장 침체가 거의 1년여 이어지는 가운데 현재 대다수의 관심사는 ‘2023년도의 주택시장 흐름’에 쏠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서 부동산 컨설팅 사 ‘SQM Research’가 몇 가지 시나리오를 분석, 눈길을 끈다.

이에 따르면, 우선 호주 중앙은행(RBA)이 금리 인상을 멈추고 인플레이션이 하락한다면 내년도 호주 주택가격은 다시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SQM의 이 분석은 12월 첫 주 화요일, RBA가 이자율을 0.25%포인트 인상하기 전에 나온 것이다). SQM이 내놓은 최근의 ‘Housing Boom and Bust Report’는 이 두 가지 조건을 전제로 호주 각 주 수도의 주택가격이 3~7%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SQM이 이번 보고서에서 제시한 기본 예측(base case)은, RBA가 4% 이상으로 이자율을 올리지 않고 인플레이션 수치가 5%로 하락하며 실업률 또한 5% 미만으로 유지되는 것에 달려 있다.

SQM의 루이스 크리스토퍼(Louis Christopher) 대표는 “만약 RBA의 목표 금리가 4% 미만으로 유지된다면 주택시장에서 강제 매각(어쩔 수 없는 판매)이 쇄도할 것 같지는 않다”고 진단했다.

현재 호주의 기준금리는 3.1%(12월 첫 주 화요일, RBA는 통화정책 회의에서 목표 금리를 2.85%에서 0.25%포인트 인상했다), 연간 인플레이션이 7.3%인 가운데 연말까지 물가상승은 8%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실업률은 3.4%라는 극히 낮은 수치에 머물러 있다. 이자율은 부동산 구입을 원하는 이들이 은행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대출금액에 영향을 주며, 이는 다시 주택가격에도 타격이 미치게 된다.

SQM 분석 보고서의 기본 시나리오는, 시드니의 경우 5~9%의 가장 큰 부동산 가치 상승을 보일 것으로 예측한다.

크리스토퍼 대표는 해외에서의 유입(장단기 근로자 및 유학생 등), 사무실로 복귀하는 근로자, 낮은 임대 공실률, 인지세와 토지세에 대한 NSW 정부의 정책 변경이 시드니 지역 주택시장 회복을 견인할 것으로 내다봤다.

서부호주, 퍼스(Perth, Western Australia)의 주택가격은 강한 고용증가, 다른 주에서의 인구 유입에 힘입어 최대 8%까지 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멜번(Melbourne)과 브리즈번(Brisbane, Qeensland)은 1%에서 5% 사이로 성장폭이 낮고 더디게 진행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이와 달리 호바트(Hobart, Tasmania)는 1% 하락하거나 최대 3%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캔버라(Canberra)는 3% 하락 또는 최대 2% 상승이 예상된다.

 

종합(주택시장 분석 2).jpg

2023년 부동산 시장 상황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기준금리가 어느 정도까지 상승할 것인가이다. 높은 인플레이션 수치를 잡고자 이자율 인상을 단행하지만 이는 다른 한편으로 부동산 시장 침체를 가속화할 수 있다. 사진은 마틴 플레이스(Martin Place)에 자리한 호주 중앙은행(RBA). 사진 : Nine Network 뉴스 화면 캡쳐

   

그런 한편 노던 테러토리(Northern Territory)는 내년도 호주 전역에서 가장 취약한 부동산 시장이 될 것으로 보이며, SQM은 최대 5%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크리스토퍼 대표는 지방 지역 주택가격도 다소 약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팬데믹 기간 동안 가격 상승이 높았던 일부 지방 지역에 투자한 이들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라고 말했다. “가격 성장세가 꺾였으며 침체가 오래 이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연착륙을 위한 줄타기

 

SQM의 이번 ‘Housing Boom and Bust Report’는 내년도 호주 부동산 시장에 대한 세 가지 시나리오를 모델링한다.

보고서가 분석한 최상의 경우 또는 ‘Goldilocks’ 시나리오를 보면 다윈(Darwin)과 캔버라를 제외한 모든 수도는 하락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합계 평균치 5%~9% 사이의 상승을 보일 것이라는 예측이다. 특히 시드니와 퍼스의 경우 두 자릿수 증가를 볼 수도 있다.

다른 ‘False Dawn’(헛된 기대) 시나리오에서는 퍼스와 브리즈번만이 주택가격 하락을 피하며 각 도시 합계 평균은 4%에 고정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이는 2023년 하반기 들어 이자율이 5% 이상 상승하고 인플레이션 수치 또한 10%로 가속화되는 가운데 실업률은 5% 미만으로 유지되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

그리고 최악의 시나리오인 ‘Recessionary Inflation’(불황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각 수도 주택가격이 최대 6%까지 하락할 수 있다. 이는 인플레이션이 7% 이상 유지되고 RBA가 기준금리를 4% 이상 인상하며 실업률 또한 5% 이상 높아지는 경우를 가정한 예측이다. 이 경우 퍼스는 가격 하락을 피하는 유일한 도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크리스토퍼 대표는 기본 사례 시나리오가 다른 세 가지 시나리오보다 약간 앞서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올해 그 기본 시나리오에 대해서는 확신하지 못한다”는 의견을 제시한 그는 “다만 우리는 여전히 개별 확률 측면에서 연착륙 시나리오가 실제로 약간 더 큰 확률을 갖는다고 믿는다”면서 “이는 다른 그 어느 시기보다 내년에 RBA가 어떤 결정을 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도 크리스토퍼 대표는 “RBA 입장에서는 매우 어려운 한 해가 될 터이지만 호주 경제 연착륙을 미룰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면서 “내년도, 우리가 줄타기와 연착륙을 할 수 있다면 지난해와 올해 하락된 가격대를 상당 부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진단했다.

지난 11월 28일(월), RBA 필립 로우(Philip Lowe) 총재는 자신이 “2024년까지 이자율이 낮게 유지될 것”이라고 한 이전의 발언에 대해 유감의 뜻을 표했다.

 

은행들의 전망,

“장밋빛 아니다”

 

SQM이 내년도 부동산 시장에 대해 어느 정도 밝게 보는 반면 호주 4대 메이저 은행들은 덜 낙관적이다.

웨스트팩(Westpac)은 내년 5월까지 기준금리가 3.85%로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하면서 하지만 부동산 시장은 2024년까지 회복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은행의 매튜 하산(Matthew Hassan) 선임 경제연구원은 “2023년의 단기 전망은 여전히 암울하다”는 의견이다. “부동산 경기 침체는 대부분의 시장에서 더욱 확고하게 자리 잡았고, 가격 중심의 구입 경제성 개선은 이자율 인상과 물가 및 노동시장에 대한 기대 악화로 인해 무효화되고 있다”고 설명한 그는 “전반적으로 앞으로 12개월 동안 더 가격 하락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2022년까지의 하락속도에 비해 상당히 완만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종합(주택시장 분석 3).jpg

호주 주요 은행의 내년도 주택시장 예상은 다소 부정적으로, 이자율이 현재 수준(2.85%)에서 1%포인트 높아질 경우 부동산 시장은 2024년까지 회복이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프로그램 화면 캡쳐

   

NAB 은행은 올해 각 수도 평균 7.3%, 내년에는 11.4% 하락을 예상하며, ANZ 은행 또한 2023년에도 주택가격 하락이 어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달리 주요 은행 가운데 커먼웰스 은행(Commonwealth Bank. CBA)은 가장 긍정적인 전망을 보인다. 주택가격이 4월 최고점에서 내년 중반 저점까지 15% 하락을 보일 것이라는 예상이다. 이 예측은 올해 말까지 기준금리가 정점인 3.1%로 높아지는 것을 전제로 한다.

CBA의 가레스 에어드(Gareth Aird) 호주 국내경제 담당 선임연구원은 “만약 RBA가 내년에도 이자율 인상을 계속한다면 주택가격 하락폭은 더 클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SQM Research의 상황별 주택가격 시나리오

(도시 : 예상 상승폭)

▲ Scenario 1- Rate on hold(Base case)

-기준금리가 4%를 넘지 않으며 인플레이션은 8%에서 정점을 찍은 뒤 다시 5%로 하락하며 실업률은 높아지지만 5% 미만을 유지하는 경우

Perth : +4%~+8%

Brisbane : +1%~+5%

Darwin : -5%~0%

Melbourne : +1%~+5%

Sydney : +5%~+9%

Adelaide : 0%~+5%

Hobart : -1%~+3%

Canberra : -3%~+2%

Capital City Average : +3%~+7%

 

▲ Scenario 2- Goldilocks

-기준금리가 최고 4%를 넘지 않는 가운데 2023년 하반기에 이자율을 인하하고, 인플레이션은 8%에서 정점을 찍은 뒤 5%로 떨어지며, 실업률은 상승하지만 5%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

Perth : +9%~+13%

Brisbane : +3%~+7%

Darwin : -4%~+1%

Melbourne : +2%~+6%

Sydney : +8%~+12%

Adelaide : +1%~+4%

Hobart : +0%~+4%

Canberra : -3%~+2%

Capital City Average : +5%~+9%

 

▲ Scenario 3- False dawn

-기준금리 상승은 3.1%~3.8% 사이에서 멈춘 뒤 하반기 5% 이상으로 상승하며, 인플레이션은 8%로 최고조에 이른 후 잠시 하락했다가 10%를 향해 가며, 다만 실업률은 5%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

Perth : +8%~+12%

Brisbane : +1% to +5%

Darwin : -4% to +1%

Melbourne : -4% to +1%

Sydney : 0% to +4%

Adelaide : -2% to +3%

Hobart : -3% to +2%

Canberra : -4% to +1%

Capital City Average : 0% to +4%

 

▲ Scenario 4- Recessionary inflation

-인플레이션 상황이 완고하게 7% 이상을 유지하고, 이자율은 4% 이상으로 계속 상승하며, 실업률도 6% 이상에 이르는 경우

Perth : +2% to +6%

Brisbane : -7% to -12%

Darwin : -6% to -13%

Melbourne : -5% to -9%

Sydney : -3% to -8%

Adelaide : -2% to +2%

Hobart : -5% to -10%

Canberra : -4% to -9%

Capital City Average : -3% to -6%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주택시장 분석 1).jpg (File Size:117.3KB/Download:14)
  2. 종합(주택시장 분석 2).jpg (File Size:58.1KB/Download:17)
  3. 종합(주택시장 분석 3).jpg (File Size:71.4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601 호주 The best places to watch the sunrise and sunset in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6600 호주 호주 작가 플레러 맥도널드, “미국 ‘Books3’가 작품 내용 도용” 제기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6599 호주 ‘Comedy Wildlife Photo Awards’, 올해의 수상 후보작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6598 호주 “2024년 Australia Dat Awards, 후보자 추천을 바랍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6597 호주 높은 생활비 압박 때문?... 지난 12개월 사이 NSW 소매점 절도, 47%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6596 호주 지난 3년간의 HSC 점수 기준으로 한 새로운 평가... 성적 우수 학교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6595 호주 “광역시드니 대부분 교외지역 주택가격, 일반 구매자 감당 어려워...”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6594 호주 이번 세기에 실시되는 첫 국민투표, ‘Voice to Parliament’의 모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6593 호주 NSW 공립 하이스쿨, 휴대전화 ‘금지’... 정신건강 전문가들, ‘우려’ 표명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6592 호주 Royal Australian Mint, 찰스 3세 왕 새긴 1달러 동전 디자인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6591 호주 싱가포르 당국, 창이 공항의 자동화된 출입국 심사 시스템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6590 호주 “Do not lose your licence!”... CB 카운슬, 학교 주변 ‘도로안전’ 캠페인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6589 호주 호주 대학들, 전 세계 순위에서 점차 밀려... 12개월 전 비해 ‘낮은 위치’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6588 호주 ‘The third places’ 측면에서의 시드니, “Probably more than you think...”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6587 호주 소셜미디어의 범죄 관련 게시물 영향, NSW 주 ‘자동차 절도’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6586 호주 이자율 상승-추가 인상 압력 불구, 전국 대도시 주택가격 상승세 ‘지속’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6585 호주 “2자녀 호주 가구의 보육비용, 대부분 OECD 국가에 비해 훨씬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6584 호주 미셸 불록 RBA 신임 총재, 첫 통화정책 회의서 ‘안정적 금리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6583 호주 부동산 시장 회복세라지만... 시드니 일부 지역 유닛, 5년 전 가격보다 낮아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6582 호주 '극단기후' 덮친 호주…빅토리아주 대형산불 후 이젠 홍수경보 file 라이프프라자 23.10.04.
6581 호주 기상청, 올 여름 ‘엘니뇨 선포’... 일부 도시들, 극심한 여름 더위 ‘위험’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6580 호주 연방정부, 구직자들에게 디지털 ID 제공하는 ‘국가 기술여권’ 시행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6579 호주 시드니 BTR 임대주택 건설, ‘높은 토지가격-실행 가능한 부지 부족’이 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6578 호주 각 주택의 확산되는 전기 생산 태양열 패널, 발전회사의 전기가격 ‘잠식’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6577 호주 ‘Voice to Parliament’ 국민투표 ‘가결’된다면, 호주 헌법 변경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6576 호주 이제는 ‘$2 million club’... QLD 남동부 해안 주택, 200만 달러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6575 호주 “호주 근로자들, 생산성 둔화로 연간 2만5,000달러의 ‘몫’ 잃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6574 호주 원자재 가격 강세-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연방정부, 220억 달러 ‘예산 흑자’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6573 호주 네 번째 감염파동 오나... ‘고도로 변이된’ COVID 변종, 호주 상륙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6572 호주 ‘현금 없는 사회’로의 전환... 개인정보 보호-안전 문제 ‘우려’ 제기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6571 호주 매일 2천 명, 입국 러시... 호주 인구, 역사상 최대 기록적 속도로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6570 호주 Age Pension-JobSeeker-Youth Allowance 등 정부 보조금 ‘인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6569 호주 연방정부의 100억 달러 ‘Housing Australia Future Fund’, 의회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6568 호주 NSW budget 2023-24; 올해 예산계획의 Winner와 Loser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6567 호주 NSW budget 2023-24; 늘어난 주 정부 세수, 올해 예산계획에 ‘반영’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6566 호주 8월 호주 노동시장, 6만5천 명 신규 고용... 실업률 3.7% ‘유지’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6565 호주 ‘Online Fitness to Drive’, 고령층 ‘운전면허 유지’ 결정에 도움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6564 호주 만성적 주택 부족 겪는 시드니, ‘매년 100억 달러의 경제적 타격’ 입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6563 호주 NSW 주 정부, 의료부문 인력 확보 위해 학생 대상 ‘보조금’ 대폭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6562 호주 NAPLAN 데이터, 학업성취 측면에서 단일성별 학교의 이점 ‘부각’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6561 호주 8월 시드니 주택경매 평균 낙찰률 72.1%, 전월대비 4.5%포인트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6560 호주 ‘Voice to Parliament’ 국민투표일 확정... 조기-우편투표 가능한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6559 호주 독립해야 할 나이의 호주 성인 남녀 40% 이상, ‘부모’와 함께 거주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6558 호주 전 세계 사무실의 업무용 데스크 3개 중 1개, 한 주 내내 ‘비어 있는’ 상태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6557 호주 ‘늘어난 기대수명-생활비 부담’으로 호주인들, 더 늦은 나이에 은퇴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9.08.
6556 호주 연방정부, 새 ‘wage theft laws’ 상정... 임금착취 고용주에 ‘엄벌’ 적용 file 호주한국신문 23.09.08.
6555 호주 주택공급 부족으로 인한 시장 압박, 6개월 연속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9.08.
6554 호주 연방정부의 ‘Pharmaceutical Benefits Scheme’, 이달 1일부터 시작돼 file 호주한국신문 23.09.08.
6553 호주 시드니 하버 ‘New Year's fireworks’ 관람 공공장소, 올해부터 ‘무료’로 file 호주한국신문 23.09.08.
6552 호주 RBA, 3개월 연속 기준금리 4.1%로 ‘유지’했지만... ‘추가 인상’ 배제 안 해 file 호주한국신문 23.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