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시장 비활성 시기와 맞물려, 가격 하락과 재고 증가도
 
open.jpg
▲ 미국에서 주택시장이 가장 비활성 시기인 연말에 접어들면서 올랜도 시장도 주택 가격의 하락과 재고 증가를 나타냈다. 특히 주택 판매는 4년 만에 거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미국에서 주택시장이 가장 비활성 시기인 연말에 접어들면서 올랜도 시장도 주택 가격의 하락과 재고 증가를 나타냈다. 특히 주택 판매는 4년 만에 거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올랜도지역부동산협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11월 주택 판매는 10월보다 26.5% 감소한 1996건을 기록, 2019년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전년도 11월보다는 45.5% 하락했다. 협회는 오렌지 카운티, 오세올라 카운티, 세미놀 카운티, 레이크 카운티의 매출을 조사한다.

부동산 중개인 존 실바는 "전화가 거의 울리지 않고 있다"라며 "많은 사람들이 집을 구입할 여력이 떨어진 만큼 판매자들은 현실을 직시하고 집값을 내려야 한다"라고 <올랜도센티널>에 전했다. 실바는 최근 75만 달러를 요구한 집주인이 결국 62만 달러 제안을 수락했다고 말했다. 실바는 적절한 가격대에 상태가 좋은 집은 여전히 잘 팔리지만, 지금은 확실한 '구매자 시장'이라고 지적했다.

주택이 시장에 머무는 기간은 전달 38일에서 5일이 늘어난 43일이었다. 주택 중위 가격(미디안)도 소폭 하락해 36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개월 전보다 5000달러 떨어진 수치이다.

재고는 9개월 연속 증가한 7197개로 증가, 3.61개월치 공급 분량에 도달했다. 전문가들은 시장의 공급 기간이 6개월일 때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에 균형이 잡혀 있다고 생각한다.

탄지 소더스트롬 협회장은 보도자료에서 "지금은 주택 시장이 어디로 향할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많은 시점"이라며, "올랜도 지역의 구매자들은 1년 전보다 두 배나 더 많은 주택들 앞에서 구매 여부를 고민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주택시장 열기가 식은 것은 금리 인상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인플레이션과 싸우기 위해 올해 금리를 공격적으로 인상했고, 주택 매수자들은 지난 2년간 치열했던 시장에서 물러나기 시작했다. 연준은 14일에도 0.5% 포인트의 금리 인상을 발표했다.

올랜도의 11월 모기지 금리는 평균 6.6%로 집계됐다. 10월보다는 하락한 수치이지만 지난해 11월보다는 2배 이상 올랐다. 부동산 조사업체 질로우의 10월 조사에 따르면, 올랜도는 월 모기지 납부액 증가율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았다.

한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7일자에서 팬데믹 기간에 치솟았던 주택시장 열기가 식었지만, 앞으로의 상황은 지난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는 다를 것으로 내다봤다. 2008년 이후 은행과 대출기관들은 대출 자격 심사를 까다롭게 만들었고, 정부는 금융개혁법을 통해 금융 위험을 줄인 만큼 같은 위기가 반복될 가능성은 적다는 것이다.

지난 2006∼2009년 사이 미국의 집값은 28%가 떨어져 1100만 가구가 '깡통주택' 혹은 '언더워터 모기지(집값이 대출 원금보다 낮은 상태)'로 불리는 상황에 처했다. 지금은 집값이 40∼45% 정도 폭락해야 같은 규모의 언더워터 모기지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10월 현재 언더워터 모기지는 전체 주택담보대출자의 0.96%인 것으로 나타났다. 
  • |
  1. open.jpg (File Size:110.3KB/Download:3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957 캐나다 평통 밴쿠버협의회 20기 마지막 정기회의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9.
8956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캐나다한국학교연합회 학술대회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9.
8955 캐나다 노인회도 둘? 한인회도 둘? 한인회관 화재까지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9.
8954 캐나다 장바구니 물가는 여전히 고통 수준 상승 이어가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8.
8953 캐나다 화마로 처참하게 무너진 밴쿠버 한인회관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8.
8952 캐나다 밴쿠버서 집이 있어도 걱정, 집이 없어도 걱정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4.
8951 캐나다 밴쿠버 영상산업과 한국의 K-콘텐츠 관심 갖겠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4.
8950 캐나다 "한국과 캐나다 미들파워이자 자유, 평화, 번영의 한편"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3.
8949 캐나다 2011년 이후 한인 이민자 주로 BC주 선택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3.
8948 캐나다 BC 인구대비 이민자 비율 전국 최고 수준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3.
8947 캐나다 비영주거주자 한국인 비중 3.1%로 국가순 8위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1.
8946 캐나다 캐나다 국적자, 한국 거소자면 입국시 자동심사대로 빠르게 밴쿠버중앙일.. 23.06.21.
8945 캐나다 캐나다, 한국의 해외순투자 대상국 중 2위 밴쿠버중앙일.. 23.06.21.
8944 미국 '리틀 트럼프' 디샌티스, '형님 트럼프' 이길 수 있을까 file 코리아위클리.. 23.06.20.
8943 캐나다 '트뤼도를 국가 수반으로 인정할 수 없다' 59%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0.
8942 캐나다 시경찰 문제로 주정부와 써리시 갈등 표면화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0.
8941 캐나다 메트로밴쿠버는 우중이지만, BC산불은 최악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0.
8940 미국 올랜도 지역 지난해 인구 6만5천명 늘어... 대도시 중 5번째 file 코리아위클리.. 23.06.19.
8939 미국 '1천만 달러' 주택들 사이의 모빌홈 단지, 가격은? file 코리아위클리.. 23.06.19.
8938 미국 플로리다 2개 대학, 미국대학협회 가입 초청받아 file 코리아위클리.. 23.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