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50대 대도시 중 15위로 높아 
 
tampa.jpg
▲ 탬파베이에서 고령 주택소유자 5분의 1 이상이 주택담보대출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탬파시 인근 플랜트시티에서 해마다 열리는 '딸기 축제' 장 모습.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미국 50대 대도시를 대상으로 최근에 나온 한 연구에 따르면, 탬파베이에서 고령 주택소유자 5분의 1 이상이 주택담보대출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정보 및 분석회사인 랜딩트리(LendingTree)는 미국 대도시 거주 65세 이상의 주택 소유자들 가운데 모기지를 안고 있는 사람들의 비율을 조사했다. 

따뜻한 날씨와 저렴한 비용으로 오랫동안 은퇴자들의 피난처로 여겨져온 탬파베이는 전국 11위를 차지했다. 또 노인 주택 소유자의 22%가 주택 담보 대출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전국 대도시 지역 평균 19%보다 약간 높은 수치이다.  

탬파베이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65세 이상 주택소유자의 월평균 주거비는 1307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주택담보대출은 미국인들이 보유하고 있는 가장 큰 부채이기 때문에 재정전문가들은 주택 소유자들이 은퇴하기 전에 대출을 다 갚도록 장려하고 있다.  

랜딩트리의 수석 경제학자 제이콥 채널은 "상당수는 나중에야 여유가 생겨 대출을 받을 수 있었거나, 혹은 더 빨리 대출을 갚을 수 없는 사람들"이라고 분석했다.   

 남편과 노후를 함께하고 있는 76세 고령자인 한 여성은 팜 하버와 더네딘에 집을 소유하고 있으며, 두 개의 모기지를 갚고 있다. 이들이 대출을 다 갚으려면 12년에서 20년 정도 더 걸린다. 그녀는 물가 상승 등 경제적 부담 속에 있지만, 자신들의 대출 상환 능력을 크게 걱정하지는 않는다. 자신들에게는 의료 응급 상황을 위해 저축해둔 자금이 있기 때문.  

그녀는 "만약 당신이 미망인이고, 소셜연금의 절반만 받고 있다면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여유가 없다"라며 이러한 경우는 은퇴 전에 대출금을 다 갚는 것이 현명한 처사라고 말했다.  

 그러나 제이콥 채널은 “은퇴 후에 모기지를 안고 있는 것이 반드시 위험한 것만은 아니다”라면서 “사전에 주의깊게 예산을 세우고, 고정금리로 대출을 받았다면 은퇴후에도 계속 잘 갚아나갈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주택을 소유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짐에 따라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수 있고, 앞으로 수십 년 동안은 심해질 수 있다"라고 전망했다.
  • |
  1. tampa.jpg (File Size:108.3KB/Download:3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957 캐나다 평통 밴쿠버협의회 20기 마지막 정기회의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9.
8956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캐나다한국학교연합회 학술대회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9.
8955 캐나다 노인회도 둘? 한인회도 둘? 한인회관 화재까지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9.
8954 캐나다 장바구니 물가는 여전히 고통 수준 상승 이어가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8.
8953 캐나다 화마로 처참하게 무너진 밴쿠버 한인회관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8.
8952 캐나다 밴쿠버서 집이 있어도 걱정, 집이 없어도 걱정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4.
8951 캐나다 밴쿠버 영상산업과 한국의 K-콘텐츠 관심 갖겠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4.
8950 캐나다 "한국과 캐나다 미들파워이자 자유, 평화, 번영의 한편"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3.
8949 캐나다 2011년 이후 한인 이민자 주로 BC주 선택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3.
8948 캐나다 BC 인구대비 이민자 비율 전국 최고 수준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3.
8947 캐나다 비영주거주자 한국인 비중 3.1%로 국가순 8위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1.
8946 캐나다 캐나다 국적자, 한국 거소자면 입국시 자동심사대로 빠르게 밴쿠버중앙일.. 23.06.21.
8945 캐나다 캐나다, 한국의 해외순투자 대상국 중 2위 밴쿠버중앙일.. 23.06.21.
8944 미국 '리틀 트럼프' 디샌티스, '형님 트럼프' 이길 수 있을까 file 코리아위클리.. 23.06.20.
8943 캐나다 '트뤼도를 국가 수반으로 인정할 수 없다' 59%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0.
8942 캐나다 시경찰 문제로 주정부와 써리시 갈등 표면화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0.
8941 캐나다 메트로밴쿠버는 우중이지만, BC산불은 최악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0.
8940 미국 올랜도 지역 지난해 인구 6만5천명 늘어... 대도시 중 5번째 file 코리아위클리.. 23.06.19.
8939 미국 '1천만 달러' 주택들 사이의 모빌홈 단지, 가격은? file 코리아위클리.. 23.06.19.
8938 미국 플로리다 2개 대학, 미국대학협회 가입 초청받아 file 코리아위클리.. 23.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