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2224만4823명… 1950년대보다 인구밀도 8배 높아져
 
wgarden.jpg
▲ 플로리다주 인구가 늘어나면서 인구밀도도 1950년대보다 8배가 높아졌다. 사진은 올랜도 외곽의 한 주택단지에 주택들이 빽빽히 들어선 모습.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미국 인구조사국의 추산에 따르면 플로리다주가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플로리다주가 인구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주로 꼽힌 것은 1957년 이후 65년 만이다.

2021년부터 2022년까지 플로리다의 인구는 1.9% 증가한 2224만4823명이다. 계절 이주자들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플로리다는 캘리포니아와 텍사스 다음으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주이기도 하다.

이전에 가장 빠르게 성장한 주인 아이다호는 메트로마 이애미의 브로워드 카운티 인구(189만3410명) 정도에 불과하다.

1950년대 에어컨 퍼지면서 인구 폭증

플로리다의 인구 증가는 1950년대에 본격화 되었다. 당시 에어컨이 광범위하게 퍼지면서 인구 증가에 큰 몫을 했다.

특히 1956년과 1957년 연이어 연 8% 이상의 증가율로 정점을 찍은 것을 필두로 1950년대 연평균 6.1%의 인구 증가율을 보였다. 이후 수 십 년 동안 플로리다 인구 증가율은 1.5%에서 2% 사이를 오가며 전국 평균보다 빠르게 성장했다.

플로리다의 인구 변화는 1950년대에 정점을 찍고 21세기로 갈수록 점점 느려졌다. 하지만 1960년부터 1989년까지 플로리다의 인구 증가율은 전국 평균의 두 배인 3%대를 유지하면서 강세를 유지했다.

코로나 팬데믹이 극성을 부린 2020년에는 약 0.5%로 최저점을 기록하기도 했다.

플로리다는 올해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한 주로 꼽히면서 평균 성장률이1.7%였던 1990년대와 2000년대 초와 비슷한 비율로 되돌아갈 조짐을 보이고 있다.

플로리다로 새로 이주해온 사람들이 급증함에 따라 플로리다의 인구 밀도는 지난 70여년 동안 무려 8배나 높아졌다. 미 전역에서 29번째로 인구 밀도가 높았던 1950년 1평방마일당 51.7명에서 2020년 1평방마일당 401.4명으로 변모했다.

플로리다 인구밀도 미국 10위... "뉴욕커들이 밀려든다"

현재 플로리다의 인구는 1946년의 9배이며, 10번째로 인구 밀도가 높은 주이다.

미국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낮은 주는 알래스카로 평방 마일당 1.3명이고, 가장 인구밀도 높은 주는 뉴저지로 평방 마일당 1263명이다.

플로리다 인구는 코로나19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0년에는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2021년과 2022년 신규 입주자가 대거 유입되면서 부동산 시장도 이 같은 변화에 힘입어 널뛰기를 계속했다.

Related/ISG 중개회사의 크레이그 스터드니키 대표는 "플로리다로 영구 이주하는 뉴욕커들의 수에 놀랐다. 그들은 세컨드홈을 사는 것이 아니었다. 내가 본 시장 중에서 가장 역동적이다"라면서 "저명 인사들이곳으로 영구적으로 이주하고 있다. 예전에 이같은 예들을 남부 플로리다에서조차 본 적이 없다"라고 말했다.

최근 플로리다 이주자가 늘면서 심각한 주택 부족 현상이 초래됐고 주택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 |
  1. wgarden.jpg (File Size:85.0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57 미국 탬파베이 주택 소유 노인 22%, 대출금 갚으며 산다 file 코리아위클리.. 23.01.03.
956 미국 한국계 '당구 여신' 자넷 리, < ESPN > 다큐멘터리 방영 file 코리아위클리.. 23.01.03.
955 미국 플로리다, 의료용 마리화나 면허 일괄처리 규정 발표 file 코리아위클리.. 23.01.03.
» 미국 픞로리다 인구 1년새 1.9% 늘어... 미국서 가장 빠른 증가세 file 코리아위클리.. 23.01.03.
953 미국 '좋은' 식품점이 있는 동네, 주택값도 오른다 file 코리아위클리.. 23.01.03.
952 미국 중앙플로리다 학생 9천여명, 길거리 노숙자 신세 file 코리아위클리.. 23.01.03.
951 캐나다 한국인 캐나다서 마약 투약 한국 가면 바로 처벌 대상 밴쿠버중앙일.. 23.01.04.
950 캐나다 작년 한 해 새 영주권자 43만 16455명 탄생 밴쿠버중앙일.. 23.01.04.
949 캐나다 2022년 밴쿠버 주택 거래량 전년 대비 34.4% 감소 file 밴쿠버중앙일.. 23.01.05.
948 캐나다 밴쿠버시 단독주택 평균 공시가 212만 5천 달러 file 밴쿠버중앙일.. 23.01.05.
947 캐나다 BC주민 새해 첫 달부터 정부 보조금이 입금된다는 희소식 file 밴쿠버중앙일.. 23.01.06.
946 캐나다 당뇨, 심부전, 혈전 환자에게 희소식 file 밴쿠버중앙일.. 23.01.06.
945 캐나다 작년 전체 영주권자 수 급증 불구 한인 수는 급감 file 밴쿠버중앙일.. 23.01.06.
944 캐나다 송강호·강동원·아이유 주연의 '브로커' 캐나다 개봉박두 file 밴쿠버중앙일.. 23.01.10.
943 캐나다 버나비, 불법 총기 위협에 노출 file 밴쿠버중앙일.. 23.01.10.
942 캐나다 목사, 아동 신도 성폭력 혐의로 체포 file 밴쿠버중앙일.. 23.01.10.
941 미국 연방 대법, 소소계 우대 정책 등 올해 판결 어떻게 될까 file 코리아위클리.. 23.01.11.
940 미국 쿠바인 500여명, 플로리다 최남단 섬으로 밀입국 file 코리아위클리.. 23.01.11.
939 미국 새해부터 달라지는 플로리다 법…꼭 알아둬야 손해 안 본다 file 코리아위클리.. 23.01.11.
938 미국 주택담보대출 금리 완화 조짐에 주택시장 '희색' file 코리아위클리.. 23.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