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리다에 반품 물건 처리 업소 '핫빈' 등장
 
bin.jpg
▲ 온라인 쇼핑이 날로 증가하면서 반품과 과잉제고에 따른 제품 폐기 문제도 심각해지고 있다. 사진은 반품 및 재고 처리 업소인 '핫빈' 웹사이트 화면.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온라인 쇼핑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상품 판매가 증가할 수록 제품 폐기 문제도 심각해지고 있다. 여기에는 물류센티 관리 문제에 더해 과잉재고 및 반품 처리 어려움이 한 몫한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에 따르면, 지난 몇 년간 폐기 물품이 1130만 톤으로 급증했으며 앞으로 폐기물의 양은 점점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은 반품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운 일이라고 말한다. 반품 물건 중 대부분을 신품으로 재판매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고객은 사기를 포함해 여러가지 이유로 반품한다. 특히 아마존은 반품을 쉽게 만든 자사 판매 전술이 제품 폐기에 영향을 미쳤다고 자인한다. 일례로 아마존에서 반품이 수월하다보니 어떤 고객은 한 상품에 대해 4가지 사이즈를 주문한 다음 가장 만족스러운 1개를 선택하고, 나머지 3개는 반품한다는 것이다.

판매자측에서는 상품을 재입고하고 재포장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노력으로 돈을 잃을 수 있다. 결국 폐기 처분을 택하는 경우가 늘어날 수 밖에 없게 된다. 지난해 영국의 한 방송사는 아마존이 영국의 24개 창고에서 매년 수백만 개의 미판매 제품을 폐기한다고 보도, 파장을 일으켰다.

제품 폐기 문제가 제기되자, 아마존을 비롯한 대형 온라인 소매유통기업과 의류기업들은 물품 폐기를 줄이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자체 중고거래 플랫폼 운영 등이 그것이다.

이같은 움직임 속에 최근에는 가족 사업체가 아마존의 반품 물건들을 사들여 재판매하는 전문 상점도 등장했다. 현재 플로리다주 레이크워스, 포트마이어스, 하이얼리어, 탬파, 타마락에 각각 1개씩 5개 지점을 두고 있는 '핫빈(Hotbins)'은 아마존에서 나온 반품과 과잉재고 물건을 구입해 할인 가격에 판매한다.

업소 웹사이트에 따르면, 이곳에는 아마존 외에 타겟, 월마트, 콜스 등 대형 브랜드 업소에서 나온 상품들도 있다. 무엇보다 업소의 판매 방식이 매우 특이해 소문이 퍼지고 있다.

업소는 우선 물품 진열을 위해 목요일에 휴업한다. 금요일 아침이 되면 고객들은 오전 6시 30분부터 줄을 서기 시작한다. 오전 9시 알람소리와 함께 업소 문이 열리면 고객들은 에어팟, 닌텐도, 네스프레소 기계와 같은 인기상품을 먼저 발견하고 카트에 담기 위해 업소 안으로 달려 들어간다. 마치 추수감사절 다음날인 '블랙 프라이데이'와 비슷한 풍경이지만, 물건 찾기 경쟁은 훨씬 더 치열할 수 있다. 모든 것이 12달러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업소 상품 가격은 토요일 10달러 일요일 8달러 월요일 6달러 화요일, 4달러 식으로 낮춰진다. 수요일에는 2달러까지 내려간다. 폐점 시간이 가까워질 무렵에는 상품을 가득 담은 작은 백을 10달러에 판다. 고객들은 가방이 미어 터지도록 마음껏 담을 수 있다. 업소는 고객이 많이 몰리는 금요일과 토요일에는 특정 시간에 재차 물품 진열에 나서기도 한다.

이곳만의 규칙도 있다. 상품을 확인하기 위해 고객 스스로 박스를 개봉하는 것을 금하는 것이다. 대신 업소는 물건을 보기를 원하는 고객에게 별도의 공간에서 손수 박스를 열어 물품의 전기가 작동하는 지 등을 확인시켜 준다. 반품 정책은 물론 없다.
  • |
  1. bin.jpg (File Size:67.5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597 캐나다 써리, 새벽의 주택 화재로 50대 남성 사망 밴쿠버중앙일.. 16.05.14.
8596 캐나다 PNE 페어, "변화하는 기후에 맞추어 2018년부터 일찍 시작" 밴쿠버중앙일.. 16.05.14.
8595 캐나다 고속도로 인근에서 새끼 곰에게 음식 주는 동영상 논란 밴쿠버중앙일.. 16.05.14.
8594 미국 “한국 유학생 70%가 마리화나 경험” file CHI중앙일보 16.05.17.
8593 캐나다 포트 맥머리 산불 피해 규모, 상상 초월하는 수준? CN드림 16.05.17.
8592 캐나다 BC 재정부, 두 가지 새 규정과 함께 밴쿠버 부동산 시장 관리 나서 밴쿠버중앙일.. 16.05.18.
8591 캐나다 위버 녹색당 당수, "투표 연령 16세로 낮춰야" 밴쿠버중앙일.. 16.05.18.
8590 캐나다 BC주 간호사 재계약 성사, 5.5% 임금 인상 등 포함 밴쿠버중앙일.. 16.05.18.
8589 캐나다 300명 뽑는 밴쿠버 트럼프 타워 채용에 1만 명 지원 밴쿠버중앙일.. 16.05.18.
8588 캐나다 코스코에서 판매된 냉동 치킨 볶음밥 제품 리콜 밴쿠버중앙일.. 16.05.18.
8587 캐나다 패툴로 브릿지 공사로 인한 첫번 째 불만, 델타 경찰이 제기 밴쿠버중앙일.. 16.05.18.
8586 캐나다 포트 무디, 2번 가결된 기후변화 경고 스티커 이번에는 부결 밴쿠버중앙일.. 16.05.18.
8585 캐나다 정원 급수 규정, 15일 부터 적용 밴쿠버중앙일.. 16.05.18.
8584 캐나다 밴쿠버 경찰, 키칠라노에서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 사라진 사건 조사 중 밴쿠버중앙일.. 16.05.18.
8583 캐나다 식품안전청, 살모넬라 감염 위험성 제기된 녹차 제품 리콜 밴쿠버중앙일.. 16.05.18.
8582 캐나다 킨더 모르간 반대 시위, '후대 위해 화석은 땅에 묻어두자' 밴쿠버중앙일.. 16.05.18.
8581 캐나다 노스밴, 야외 주차된 차량 41대 유리창 훼손 밴쿠버중앙일.. 16.05.20.
8580 캐나다 잉글리쉬 베이, 해변용 의자와 파라솔 대여 프로그램 시범 시행 밴쿠버중앙일.. 16.05.20.
8579 캐나다 밴쿠버, 27번가에서 총격으로 사망자 발생 밴쿠버중앙일.. 16.05.20.
8578 캐나다 MMBC, 다국적 기업 얌과 재활용 쓰레기 수거 계약 논의 중 밴쿠버중앙일.. 16.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