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여권 파워 1).jpg

호주 여권으로 비자 없이 방문이 가능한 전 세계 국가는 185개 국으로, 호주 여권 파워는 전 세계 199개 국가 가운데 8위로 집계됐다. 호주보다 상위에 있는 국가는 한국을 비롯해 21개 국이다. 사진 : AIVES Australia

 

‘Henley Passport Index’, 한국은 192개 국으로 일본(193개 국) 이어 두 번째

 

호주 여권 소지자가 전 세계 각국을 여행할 경우 입국사증(VISA) 없이 방문 가능한 국가는 팬데믹 이전에 비해 2개국이 늘어 185개국이 됐다. 이는 전 세계 국가의 ‘여권 파워’에서 8위에 해당하는 것이다. 한국 또한 전염병 사태 이전에 비해 3개 국가가 추가돼 192개 국가를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싱가포르와 함께 2위를 유지했다.

런던(London) 기반의 글로벌 이민 컨설팅 사로, 전 세계 25개 국가에 법인을 두고 있는 ‘Henley & Partners’가 최근 내놓는 ‘Henley Passport Index’에 따르면 가장 강력한 여권은 193개 국가를 비자 없이 방문할 수 있는 일본 여권이었다. 동 조사 결과 일본의 ‘여권 파워’ 1위는 올해로 6년째이다.

 

▲ 여권 순위는 어떻게 결정되나= ‘Henley Passport Index’는 해당 여권으로 비자를 받지 않고 방문할 수 있는 국가의 수를 기준으로 하지만 총 점수에는 여권 소지자가 방문 후 비자 또는 입국 허가증을 받거나 전자 여행허가를 받아야 하는 국가도 포함된다.

‘Henley & Partners’ 사는 대만과 같이 기술적으로는 국가로 분류되지 않은 지역 및 국가를 포함하는 227개 목적지를 기준으로 조사를 이어오며, 국제항공운송협회(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총 199개의 여권에 순위를 매긴다.

 

▲ 호주 여권 순위는= 올해 조사에서 호주인들이 무비자로 여행 가능한 국가는 총 185개 국가로, 전 세계 199개 국 가운데 8위에 올랐다. 이는 캐나다, 그리스, 몰타와 같은 점수로, 호주보다 더 강한 여권 파워를 가진 나라는 21개 국이다. 또한 지난 3년 연속 같은 수준을 이어오고 있는 것이다.

지난 2006년, ‘Henley Passport Index’가 발표되기 시작한 이래 호주가 가장 낮은 순위를 보인 해는 2006년, 2010년 및 2019년으로 모두 9위였다. 반면 가장 높은 순위로 집계됐던 해는 2012, 2013년 및 2015년으로 6위를 기록한 바 있다.

 

▲ 여권 파워 상위 10위는= 파워풀 여권 상위 10위에 포함된 29개 국가 여권 소지자는 전 세계 어느 국가이든 상당히 쉽게 여행을 할 수 있다. 그 순위를 보면,

1 Japan(193개 국)

2 Korea(South), Singapore(192개 국)

3 Germany, Spain(190개 국)

4 Finland, Italy, Luxembourg(189개 국)

5 Austria, Denmark, Netherlands, Sweden(188개 국)

6 France, Ireland, Portugal, United Kingdom(187개 국)

7 Belgium, Czech Republic, New Zealand, Norway, Switzerland, United States(186개 국)

8 Australia, Canada, Greece, Malta(185개 국)

9 Hungary, Poland(184개 국)

10 Lithuania, Slovakia(183개 국)

 

종합(여권 파워 2).jpg

호주 외교통상부가 운영하는 ‘Smartraveller’는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호주인들에게 각 국가 여행 정보와 함께 안전에 대한 조언을 제공한다. 사진 : smartraveller.gov.au

   

▲ 여권 파워 하위 10개 순위는=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 수가 많지 않다는 것은 사전에 비자를 받아야 하는 등 여행 옵션이 적음을 의미한다. 이들 국가를 보면,

100 Congo(Democratic Republic), Lebanon, Sri Lanka, Sudan(42개 국)

101 Bangladesh, Kosovo, Libya(41개 국)

102 North Korea(40개 국)

103 Nepal, Palestinian Territory(38개 국)

104 Somalia(35개 국)

105 Yemen(34개 국)

106 Pakistan(32개 국)

107 Syria(30개 국)

108 Iraq(29개 국)

109 Afghanistan(27개 국)

 

▲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Henley & Partners’ 자료에 따르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두 국가의 여권 순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현재 우크라이나 여권은 전 세계 144개 국가를 비자 없이 방문(36위) 가능하며, 러시아 여권으로 무비자 입국 가능한 국가는 118개 국(49위)이다. 하지만 실질적 측면에서는 차이가 있다.

‘Henley & Partners’는 보고서에서 “영공 폐쇄와 제재로 인해 러시아 시민은 주요 거점이 된 두바이와 이스탄불을 제외한 대부분 선진국 여행이 사실상 금지됐다”고 설명했다. 반면 우크라이나 국민들은 이번 세기 유럽 최대 난민 위기에 대응한 비상 계획에 따라 최대 3년 동안 ‘유럽 연합’(European Union)에서 거주하고 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았다.

‘Henley & Partners’는 이어 “만약 우크라이나가 성공적으로 유럽 연합에 가입하면 이 나라의 여권은 아마도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상위 10위에 포함될 것”으로 내다봤다.

 

▲ 여행자에 대한 ‘Smartraveller’의 조언은= 외교통상부가 운영하는 ‘Smartraveller’는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호주인들에게 해외에서의 안전 등 여행 전반에 대한 일반적 조언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여행 자제(Do not travel), △여행계획 재고(Reconsider your need to travel), △높은 수준의 주의 필요(Exercise a high degree of caution), △일반적인 안전 예방 조치 실행(Exercise normal safety precautions) 등 네 가지 범주의 조언이 있다.

현재 ‘Smartraveller’ 웹사이트(www.smartraveller.gov.au)에는 178개 국가에 대한 여행 조언이 있으며, 각 국가 정보는 전쟁이나 해당 국내 소요사태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대응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된다. 또한 각 국가에서 발생된 사건에 따라 여행권고도 달라진다.

가장 최근의 여행 안전 조언에 대한 업데이트는 지난 1월 11일에 나왔으며, 가장 오래된 업데이트는 2022년 6월 27일에 업로드 된 후 현재까지 변경 사항이 없는 것이다.

 

종합(여권 파워 3).jpg

호주 여권 소지자는 전 세계 대부분 국가를 무비자로 여행할 수 있지만 외교통상부는 여행을 계획할 때 해당 국가의 정보 및 안전 사항을 세심하게 확인할 것을 권하고 있다. 사진 : Pixabay / JoshuaWoroniecki​ 

 

지난 1월 14일(토) 현재, ‘Smartraveller’에 업로드 되어 있는 4개 범주의 여행 조언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안전 예방 조치를 실행해도 되는 국가(여행 안전 국가) : Mauritius, Seychelles, Zambia(이상 Africa), Argentina, Canada, United States of America, Uruguay(이상 Americas), Bhutan, Brunei, Darussalam, Cambodia, Japan, Laos, Malaysia, Mongolia, Singapore, South Korea (Republic of Korea), Taiwan(이상 Asia), Armenia, Austria, Bulgaria, Croatia, Czech Republic, Denmark, Estonia, Finland, Georgia, Greece, Hungary, Iceland, Ireland, Latvia, Lithuania, Malta, Netherlands, Norway, Poland, Portugal, Romania, Slovakia, Slovenia, Spain, Sweden, Switzerland(이상 Europe), Oman, Qatar(이상 Middle East), Cook Islands,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Fiji, French Polynesia, Guam, New Zealand, Palau, Samoa, Solomon Islands, Vanuatu(이상 Pacific)

 

△높은 수준의 주의가 필요한 국가 : Angola, Benin, Botswana, Cameroon, Djibouti, Eswatini, Gabon, Ghana, Guinea, Kenya, Liberia, Madagascar, Malawi, Morocco, Mozambique, Namibia, Rwanda, Senegal, Sierra Leone, South Africa, Tanzania, The Gambia, Tunisia, Uganda, Zimbabwe(이상 Africa), Belize, Bolivia, Brazil, Chile, Colombia, Costa Rica, Côte d'Ivoire (Ivory Coast), Cuba, Dominican Republic, Guatemala, Guyana, Honduras, Jamaica, Lesotho, Mexico, Nicaragua, Panama, Paraguay, Peru, The Bahamas, Trinidad and Tobago(이상 Americas), Bangladesh, China, Hong Kong, India, Indonesia, Kazakhstan, Kyrgyz Republic, Macau, Maldives, Nepal, Philippines, Sri Lanka, Tajikistan, Thailand, Timor-Leste, Uzbekistan, Vietnam(이상 Asia), Albania, Azerbaijan, Belgium, Bosnia and Herzegovina, Cyprus, France, Germany, Italy, Kosovo, Moldova, Montenegro, North Macedonia, Serbia, Türkiye, United Kingdom(이상 Europe), Bahrain, Israel and the Palestinian Territories, Jordan, Kuwait, United Arab Emirates(이상 Middle East), Marshall Islands, New Caledonia, Niue, Papua New Guinea, Tonga(이상 Pacific)

 

△여행계획 재고가 필요한 국가 : Algeria, Burundi,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Egypt, Eritrea, Ethiopia, Mauritania, Nigeria, Sudan(이상 Africa), Ecuador, El Salvador(이상 Americas), Pakistan, Turkmenistan(이상 Asia), Lebanon, Saudi Arabia(이상 Middle East)

 

△여행 자제 대상 국가 : Burkina Faso, Central African Republic, Chad, Libya, Mali, Niger, Somalia, South Sudan(이상 Africa), Haiti, Venezuela(이상 Americas), Afghanistan, Myanmar, North Korea(이상 Asia), Belarus, Russia, Ukraine(이상 Europe), Iraq, Syria, Yemen, Iran(이상 Middle East)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여권 파워 1).jpg (File Size:82.2KB/Download:8)
  2. 종합(여권 파워 2).jpg (File Size:44.6KB/Download:10)
  3. 종합(여권 파워 3).jpg (File Size:62.9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01 뉴질랜드 강창희 국회의장 주최 동포 초청 간담회 굿데이뉴질랜.. 14.03.11.
6800 뉴질랜드 더니든 남성 99글자짜리 이름으로 개명 성공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9 뉴질랜드 주오클랜드분관 청사 이전 안내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8 뉴질랜드 2014 한인의날 Korean Day 안내 (3월 15일)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7 뉴질랜드 제34회 한국어능력시험(TOPIK) 대비 오리엔테이션 및 문제해설 특강 (4주)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6 뉴질랜드 총선 끝난 후 ‘뉴질랜드 국기 교체 여부’ 국민투표 굿데이뉴질랜.. 14.03.12.
6795 뉴질랜드 청소년 백일장 우리말 글쓰기 예선 합격자 굿데이뉴질랜.. 14.03.13.
6794 뉴질랜드 A형 간염 주의보 ‘감염자 접촉 사과, 복숭아 리콜’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3 뉴질랜드 대한민국 하키 여자국가대표팀, 뉴질랜드 하키 여자국가대표팀과 공식 경기 예정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2 뉴질랜드 다음 정권은 9월 20일에 결판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1 뉴질랜드 기업체, 고유식별번호로 통합 관리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0 뉴질랜드 뉴질랜드, OECD중 단연 경제 성장률 높아 굿데이뉴질랜.. 14.03.18.
6789 뉴질랜드 웰링턴 박지관 교수, 여왕메달(QSM) 수여 굿데이뉴질랜.. 14.03.18.
6788 호주 시드니 대학들, 건물 증축에 수십억 달러 쏟아 부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7 호주 호주, 아동빈곤 늘어나고 자선단체 기부도 줄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6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총기 사건, 공원 주차장서 또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5 호주 NSW 주 재무장관, “경제 성장의 강한 탄력 확신...”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4 호주 총기공격 사건 수사 경찰, 펀치볼서 총기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3 호주 코만체로 조직원 총기살해 사건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2 호주 호주의 ‘Generation Y’, 그들의 젊음과 불안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1 호주 한류의 또 다른 바람 ‘한국의 후라이드 치킨’ file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0 뉴질랜드 2014 오클랜드 한인의 날 성공리에 개최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9 뉴질랜드 외국인 주택매매중 1/4은 중국인이 사들였다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8 뉴질랜드 뉴질랜드 낮은 실업률, 고용시장 안정화 국면 file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7 뉴질랜드 뉴질랜드 경제 상승곡선위에서 주춤주춤 굿데이뉴질랜.. 14.03.24.
6776 뉴질랜드 교육부, 학생성적에 따라 학교운영비 지원 추진 굿데이뉴질랜.. 14.03.24.
6775 호주 한국, 호주·오만·쿠웨이트와 조별리그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4 호주 메디뱅크 매각 추진..주식 공모 방식, 40억불 가치 추산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3 호주 “홈론 대출기준 완화하지 말라”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2 호주 한국인 박씨, 파경으로 약혼 비자 만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1 호주 권혜승 '나비부인' 데뷔로 올해 시즌 개막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0 호주 애보트 총리 “첫 방한 고대하고 있다”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69 뉴질랜드 혹스베이지역 돼지독감 발생, 주의보 발령 굿데이뉴질랜.. 14.03.28.
6768 뉴질랜드 한-뉴질랜드 경제공동위, 양국간 협력 강화 합의 굿데이뉴질랜.. 14.03.28.
6767 호주 72억불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약 완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6 호주 2000년 이후 이민자 설문조사 3%만 긍정 평가, 40% “1년간 차별 경험”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5 호주 송 한인회장, 스트라스필드시에 건의안 제출 계획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4 호주 애보트 총리, 영국 왕실 작위 부활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3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2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1 호주 AFC 아시안컵축구, 북한 중국 우즈베키스탄 C조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0 호주 애보트 총리 “봉쇄 작전 큰 효과” 선언 file 호주동아일보 14.03.31.
6759 호주 합참의장 출신.. 애보트 총리 측근 file 호주동아일보 14.03.31.
6758 호주 2.5%.. 호주달러 미화 93센트 육박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1.
6757 뉴질랜드 국민 3분의 1 "수입 격차 점점 벌어지고 있다" file 굿데이뉴질랜.. 14.04.02.
6756 호주 여야, 군소정당 총력전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5 호주 바이키단체 변호사 ‘명예훼손’ 보상 청구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4 호주 스트라스필드시 연방, 주정부 입장 청취 후 처리 방침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3 호주 BP, 필립모리스 "호주 생산 중단" 발표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2 뉴질랜드 유아교육은 뉴질랜드가 미국보다 앞서 굿데이뉴질랜.. 14.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