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7Wzq5bHa_9eeb87b63e0d12b0

연방통계청의 유색인종별 핵심거주빈곤 인구 비율 도표

 

서아시아인 19.5%에 이어 18.7%로 높아

캐나다 전체 7.7%, 유색인 11.3%와 비교

 

캐나다 한인들이 그 어느 민족에 비해서도 소득에 비해 주거비 부담이 매우 큰 것으로 나왔다. 특히 밴쿠버에 이민을 온 경우라면 최악인 것이다.

 

연방통계청이 2021년 인구센서스를 기초로 내놓은 핵심거주빈곤(core housing need) 분석자료에서 한인들이 서아시아인 다음으로 안 좋은 상황에 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거주빈곤이란 세전 소득의 30% 이상을 주거비로 지출하는 것과 같이 주거비 적절성(adequacy), 여유도(affordability), 또는 적합성 3가지 지표 중 하나라도 충족하지 못한 경우, 즉 하우스 푸어나 주거비 푸어를 의미한다.

 

2021년 기준 캐나다 전체로 핵심주거빈곤 인구는 7.7%, 그리고 유색인종은 11.3%이다. 각 소수민족별로 볼 때 서아시아인은 19.5%, 한인은 18.7%로 절대적인 1, 2위를 차지했다. 그 뒤로 아랍인이 14.9%, 흑인이 13.2%, 중국인이 12.9%, 라틴아메리카인 12.4%, 동남아시아인이 10.1%, 일본인이 9.4%, 그리고 남아시아인이 9.1%였다. 필리핀인이 5.1%로 유색인종뿐만 아니라 캐나다 평균보다도 낮았다.

 

2016년도에도 한인은 27.4%로 서아시아인의 30.8%에 이어 2번째로 높았다. 이때 캐나다 전체로 10.6%, 그리고 유색인종이 17.8%였다. 5년 사이에 전체적으로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렇게 핵심거주빈곤인구가 감소한 이유로 연방통계청은 코로나19로 정부 보조금이 나오면서 상대적으로 소득이 증가하는 기현상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그 근거로 2016년에 풀타임 노동자 중 가장 낮은 평균 소득이나 주급을 받던 민족이 바로 서아시아인, 한인, 그리고 흑인이었다는 점을 들었다. 

 

또 같은 유색인종 중에서도 이민을 온 경우가 캐나다에서 태어난 경우(보다 더 핵심거주빈곤층이 될 가능성이 11.4% 대 9.8%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2021년에 캐나다 전체로 자가 비율은 71.9%인 반면 유색인종은 64.7%였다. 한인은 63.9%로 중국인 84.5%, 동남아시아인 71.9%, 남아시아인 70.3%, 일본인 69.8%, 필리핀인 65.2%에 비해 낮은 편이었다. 서아시아인(57.8%), 라틴아메리카인(48.6%), 아랍인(48%), 그리고 흑인(45.2%)은 한인보다 낮았다.

 

각 대도시별로 핵심거주빈곤 소수민족 비율을 보면 핼리팍스가 16.1%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밴쿠버가 14.9%로 2번째로 높았다. 이어 온타리오주의 오타와-가티뉴 14.3%, 토론토 14.2%, 퀘벡주의 오타와-가티누가 12.9%였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997 캐나다 수학올림피아드 한국 3위, 그러면 캐나다 수준은? file 밴쿠버중앙일.. 23.07.13.
8996 캐나다 4월까지 새 시민권 취득 한인 633명에 불과 file 밴쿠버중앙일.. 23.07.12.
8995 캐나다 포르쉐 3대 과속으로 차량 운행 정지 file 밴쿠버중앙일.. 23.07.12.
8994 미국 인터폴 수배자 2명, 미국 경찰에 인계 라이프프라자 23.07.11.
8993 캐나다 BC 통제불능 산불 현재 195건이나 file 밴쿠버중앙일.. 23.07.11.
8992 캐나다 써리 9일 오후 총격 사망사건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3.07.11.
8991 미국 캠핑 도구 필요 없는 '글램핑', 중앙플로리다 전국 최고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9.
8990 미국 플로리다 병원들, 1일부터 환자 체류 신분 기재해야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9.
8989 미국 소수인종 대입 우대 철폐, 플로리다엔 영향 미치지 않는다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9.
8988 미국 플로리다 보건부, 주 전역에 말라리아 경보 발령 코리아위클리.. 23.07.09.
8987 미국 미국내 임산부 사망률, 20년 전 대비 2.4배 증가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9.
8986 미국 연방 대법, 바이든의 '학자금 대출 탕감 계획안' 무효화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9.
8985 미국 “동문 자녀 입학 우대하는 ‘레거시 입학’ 폐기하라”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9.
8984 캐나다 6월 실업률 작년 2월 이후 최고 file 밴쿠버중앙일.. 23.07.08.
8983 캐나다 BC항 파업 길어지면, 한인 식품물가 상승 우려도 file 밴쿠버중앙일.. 23.07.08.
8982 미국 디샌티스 "디즈니 연방 소송에서 나좀 빼줘!"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7.
8981 미국 플로리다 에버글레이즈 아시안 뱀장어는 애물단지!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7.
8980 미국 플로리다, 의학적 취약 아동 돌보는 가정에 급여 제공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7.
8979 미국 디샌티스의 새 이민정책?..."트럼프의 재탕에 불과"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7.
8978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 입학에 또다른 표준 시험 추가되나?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