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드니 거주 만족도 1).jpg

팬데믹 이후 시드니 거주민들은 삶의 만족도를 회복해가는 중이지만 근래 들어 크게 치솟은 생활비 압박에 대해서는 ‘우려’(85%)하거나 ‘크게 우려’(우려하는 이들 중 40%)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주말 오후, 시드니 도심 하이드 파크(Hyde Park)에서 체스를 즐기는 사람들. 사진 : 김지환 기자 / The Korean Herald

 

‘Committee for Sydney’ 조사... 37%, “COVID 대유행 이후 삶 나아지고 있다” 반응

‘외로움’은 런던-뉴욕-토론토 등 도시민과 유사, 다른 지역으로의 ‘이주 욕구’로 작용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을 겪은 지 3년이 지나고 있다. 그리고 이 전염병 사태는 지금도 진행 중이다. 다만 바이러스 출현 당시와 같이 방역 차원에서 시행된 엄격한 제한 조치는 대부분 해제된 상태이다.

그렇다면 현재 시드니 거주자들(Sydneysiders)의 삶은 어떠할까. 최근 나온 한 조사 보고서는 ‘삶의 만족도는 회복 중이지만 생활비 부담의 고통은 미지의 영역 또는 유례없는 대혼란(uncharted waters)’임을 보여준다.

물가상승지수가 30년 만에 최고치에 달하고 기준금리가 다시 빠르게 상승했으며, 높은 주택가격으로 인해 임대료 또한 치솟는 가운데 지난 해 12월, 설문조사에 참여한 시드니사이더들의 85%는 생활비를 ‘우려’하며, 이중 40%는 ‘매우 우려’한다는 답변이었다.

시드니 도시발전 싱크탱크인 ‘Committee for Sydney’가 여론조사 기관 ‘입소스’(Ipsos)에 의뢰, 실시한 이 조사에서는 높은 생활비 압박과 거주민들이 느끼는 외로움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는 게 확인됐다. 조사에 따르면 시드니사이더들은 비교 도시인 런던, 뉴욕, 캐나다 거주민들과 비슷한 비율로 외로움 또는 소외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

‘적어도 언젠가는 외로움을 느낀다’고 답한 이들 중 56%는 생활비에 대해 ‘매우 걱정’했다. 하지만 외로움을 전혀 느끼지 않은 이들 중에서도 ‘생활비 걱정’ 수치는 32%나 됐다. 보고서는 “논리적으로 늘어난 재정 압박은 누군가의 사회화 능력을 제한하게 마련”이라고 우려했다.

행복하지 않은 상태와 생활비를 걱정하는 이들 사이에서도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시드니에서의 삶에 만족하는 이들 중 3분의 1은 여전히 높아진 생활비에 대해 ‘매우 걱정’하지만 ‘만족하지 않는다’는 이들 가운데 생활비 걱정 비율은 83%에 달했다.

NSW 주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전 주 총리 당시 도시전략 책임자였던 ‘Committee for Sydney’의 에산 베이자데(Ehssan Veiszadeh) 최고경영자는 이전 조사에서 보아온 결과와 비교할 때 더 우려되는 내용이라고 말했다.

그는 “시드니사이더들의 생활비 문제는 거의 ‘미지의 바다’에 있는 상태”라며 “이런 문제가 전염병 사태에서 나온 모든 문제아 강하게 맞물린다는 사실은 놀라운 일”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 결과 시드니사이더들의 전만적인 삶의 만족도는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다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37%는 각자의 삶이 12개월 전에 비해 나아졌다고 답했으며, 반대로 더 악화됐다는 반응은 24%였다.

이는 비교 도시들, 특히 토론토(Toronto, Canada)이 비해 월등히 높은 결과이다. 토론토 거주민들의 경우 삶이 나아졌다는 답변은 15%에 불과한 반면 44%는 더 나쁘다는 반응으로, 삶의 만족도는 시드니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종합(시드니 거주 만족도 2).jpg

전염병 봉쇄에서 벗어나면서 도심 지역의 회사로 출근하는 이들이 다시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12월 조사 결과 재택근무를 지속하는 이들의 비율은 30%에서 12%로 감소했지만 주(weekly) 4일 이상 사무실로 나가는 이들의 비율은 42%에서 53%로 증가했다. 사진은 시드니 도심, 피트 스트리트 몰(Pitt Street Mall) 거리. 사진 : 김지환 기자 / The Korean Herald

 

베이자데 CEO는 “시드니는 다른 주요 도시에 비해 앞서 있지만 큰 특이점은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적정 가격의 주택 문제”라면서 “이는 우리(시드니)가 가진 핵심 생활방식(lifestyle)의 질을 떨어뜨리고 시드니사이더들로 하여금 이 도시를 떠나는 것을 고려하게 만들기 시작했다”고 우려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또 높은 주택비용 문제 해결 차원에서 더 많은 주택 건설에 대한 일관된 지원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조사 대상자들은 ‘정부가 각 교외지역의 녹지 및 개방 공간 보존을 내세운다면, 기차역 인근에 고밀도 주택을 지지하는가’라는 질문에 거의 60%가 ‘찬성한다’고 답했으며 ‘완전 반대’를 표명한 이들은 14%였다.

한편 도시민들의 직장 출근은 다시 늘어났지만 팬데믹 이전 수준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실로 전혀 출근하지 않고 재택근무를 지속하는 이들의 비율은 30%에서 12%로 감소했지만 주(weekly) 4일 이상 사무실로 나가는 이들의 비율은 42%에서 53%로 증가했다. 전체 직장인의 3분의 1은 주 5일, 사무실 근무를 하고 있다.

‘Committee for Sydney’의 이번 조사는 시드니 거주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실시됐으며 표본 대상자는 광역시드니 인구통계를 반영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40%는 향후 5년 이내 자동차를 구입할 의향이 있다는 반응이었으며, 이들 중 70%는 전기자동차 구입 가능성이 ‘다소’ 또는 ‘매우’ 높다고 답했다.

음주폭력에 대한 대응으로 지난 2014년 2월 도입(Mike Baird 정부 당시)된 ‘Lockup Laws’와 COVID 사태로 인해 크게 손상된 시드니 밤 문화에 대한 설문에서 응답자들이 보인 가장 큰 불만은 시드니 야간 경제 문제였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35%는 시드니 도심을 비롯한 일부 지역 유흥업소의 영업시간을 제한한 정책에 대해 ‘합리적’이라는 데 동의했으며 36%는 동의하지 않았다.

시드니의 야간 치안 문제에 대해서는 연령 및 거주지역에 따라 다른 반응이었다. 18세에서 34세 사이의 응답자 중 거의 70%는 시드니 밤 문화를 즐기는 데 안전하다는 반응이었지만 50세 이상 연령층에서 ‘안전하다’고 답한 이들은 절반이 안 되는 45%였다. 또 노스쇼어(north shore)와 시드니 동부(eastern suburbs) 거주자의 60%는 시드니의 밤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반면 시드니 서부 거주자의 이 같은 답변 비율은 42%로 떨어졌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시드니 거주 만족도 1).jpg (File Size:228.1KB/Download:16)
  2. 종합(시드니 거주 만족도 2).jpg (File Size:131.8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01 뉴질랜드 강창희 국회의장 주최 동포 초청 간담회 굿데이뉴질랜.. 14.03.11.
6800 뉴질랜드 더니든 남성 99글자짜리 이름으로 개명 성공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9 뉴질랜드 주오클랜드분관 청사 이전 안내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8 뉴질랜드 2014 한인의날 Korean Day 안내 (3월 15일)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7 뉴질랜드 제34회 한국어능력시험(TOPIK) 대비 오리엔테이션 및 문제해설 특강 (4주)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6 뉴질랜드 총선 끝난 후 ‘뉴질랜드 국기 교체 여부’ 국민투표 굿데이뉴질랜.. 14.03.12.
6795 뉴질랜드 청소년 백일장 우리말 글쓰기 예선 합격자 굿데이뉴질랜.. 14.03.13.
6794 뉴질랜드 A형 간염 주의보 ‘감염자 접촉 사과, 복숭아 리콜’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3 뉴질랜드 대한민국 하키 여자국가대표팀, 뉴질랜드 하키 여자국가대표팀과 공식 경기 예정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2 뉴질랜드 다음 정권은 9월 20일에 결판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1 뉴질랜드 기업체, 고유식별번호로 통합 관리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0 뉴질랜드 뉴질랜드, OECD중 단연 경제 성장률 높아 굿데이뉴질랜.. 14.03.18.
6789 뉴질랜드 웰링턴 박지관 교수, 여왕메달(QSM) 수여 굿데이뉴질랜.. 14.03.18.
6788 호주 시드니 대학들, 건물 증축에 수십억 달러 쏟아 부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7 호주 호주, 아동빈곤 늘어나고 자선단체 기부도 줄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6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총기 사건, 공원 주차장서 또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5 호주 NSW 주 재무장관, “경제 성장의 강한 탄력 확신...”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4 호주 총기공격 사건 수사 경찰, 펀치볼서 총기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3 호주 코만체로 조직원 총기살해 사건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2 호주 호주의 ‘Generation Y’, 그들의 젊음과 불안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1 호주 한류의 또 다른 바람 ‘한국의 후라이드 치킨’ file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0 뉴질랜드 2014 오클랜드 한인의 날 성공리에 개최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9 뉴질랜드 외국인 주택매매중 1/4은 중국인이 사들였다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8 뉴질랜드 뉴질랜드 낮은 실업률, 고용시장 안정화 국면 file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7 뉴질랜드 뉴질랜드 경제 상승곡선위에서 주춤주춤 굿데이뉴질랜.. 14.03.24.
6776 뉴질랜드 교육부, 학생성적에 따라 학교운영비 지원 추진 굿데이뉴질랜.. 14.03.24.
6775 호주 한국, 호주·오만·쿠웨이트와 조별리그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4 호주 메디뱅크 매각 추진..주식 공모 방식, 40억불 가치 추산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3 호주 “홈론 대출기준 완화하지 말라”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2 호주 한국인 박씨, 파경으로 약혼 비자 만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1 호주 권혜승 '나비부인' 데뷔로 올해 시즌 개막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0 호주 애보트 총리 “첫 방한 고대하고 있다”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69 뉴질랜드 혹스베이지역 돼지독감 발생, 주의보 발령 굿데이뉴질랜.. 14.03.28.
6768 뉴질랜드 한-뉴질랜드 경제공동위, 양국간 협력 강화 합의 굿데이뉴질랜.. 14.03.28.
6767 호주 72억불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약 완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6 호주 2000년 이후 이민자 설문조사 3%만 긍정 평가, 40% “1년간 차별 경험”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5 호주 송 한인회장, 스트라스필드시에 건의안 제출 계획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4 호주 애보트 총리, 영국 왕실 작위 부활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3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2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1 호주 AFC 아시안컵축구, 북한 중국 우즈베키스탄 C조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0 호주 애보트 총리 “봉쇄 작전 큰 효과” 선언 file 호주동아일보 14.03.31.
6759 호주 합참의장 출신.. 애보트 총리 측근 file 호주동아일보 14.03.31.
6758 호주 2.5%.. 호주달러 미화 93센트 육박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1.
6757 뉴질랜드 국민 3분의 1 "수입 격차 점점 벌어지고 있다" file 굿데이뉴질랜.. 14.04.02.
6756 호주 여야, 군소정당 총력전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5 호주 바이키단체 변호사 ‘명예훼손’ 보상 청구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4 호주 스트라스필드시 연방, 주정부 입장 청취 후 처리 방침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3 호주 BP, 필립모리스 "호주 생산 중단" 발표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2 뉴질랜드 유아교육은 뉴질랜드가 미국보다 앞서 굿데이뉴질랜.. 14.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