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법 개발, 조기발견 덕택... 췌장암, 식도암 여전히 생존율 낮아
 
mobil.jpg
▲ 지난 1991년 이후 30년 동안 미국 내 암 사망자가 약 380만 명 줄었다. 암 예방법 발달, 암 조기발견, 흡연율 저하가 암 사망을 줄이는 주요 요인들이다. 사진은 올랜도 다운타운 인근에 정차 중인 '유방암 검진' 이동 자동차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미국에서 암 때문에 목숨을 잃는 사람이 과거보다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암협회(ACS)는 최근 ‘임상의를 위한 암 저널(CA)’에 게재한 보고서에서, 지난 1991년 이후 30년 동안 미국 내 암 사망자가 약 380만 명 줄었다고 밝혔다. 비율로 따지면 무려 33%가 줄어든 셈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내 암 사망자는 1991년 이후 해마다 꾸준히 줄어들었다.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된 지난 2019년~2020년 사이에도 암 사망자 수는 1.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정기 검진을 받기 위해 병원을 찾는 사람이 줄어들면서 일부 전문가는 암 조기 진단을 놓칠 수 있다고 우려했었다.

미국암협회의 최고경영자(CEO) 캐런 크누드슨 박사는 사망자가 이렇게 크게 줄 수 있었던 이유를 암 예방법을 찾아내고, 암의 조기 발견과 함께 치료법도 개선됐으며, 흡연율이 떨어진 것도 암 사망률을 줄이는 원인이 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보고서는 HPV백신이 사망률 감소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다. HPV 백신은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의 감염을 예방하는 백신이다. 인유두종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여성의 경우 자궁경부암과 질암, 남성은 음경암, 남녀 모두에서 인두암 등을 유발할 수 있다. HPV 백신을 맞으면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갖게 돼 관련 암의 90% 이상을 예방할 수 있다. 보고서는 지난 2012년~2019년 사이, 20대 초반 여성의 자궁경부암 사망률이 65%나 줄었는데, 이는 HPV 백신이 보급된 시점과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폐암 사망자가 많이 줄어든 것 점도 언급하고 있다. 폐암은 남녀를 불문하고 가장 사망률이 높은 암 가운데 하나다. 지난 30년간 남성 암 사망자는 260만 명, 여성 암 사망자는 120만 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사망자가 두 배 이상 줄어든 것이다. 하지만사망자가 크게 줄었음에도 각종 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다.

보고서는 2023년 한 해 약 200만 건의 새로운 암 사례가 발견될 것으로 예측했다. 또 암으로 인한 사망자는 60만 명이 좀 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1년 전 예측보다 증가한 수치다.

암은 미국인의 사망 원인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지난 2020년 미국인의 사망원인 1위는 심장질환이었고, 2위가 암, 3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모든 암에서 5년 생존율이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970년대 암 진단을 받은 환자 가운데 5년 이상 생존한 비율은 49%에 그쳤지만, 2012년~2018년 사이 암 진단을 받은 사람의 5년 생존율은 68%에 달했다.

생존율이 가장 높은 암은 갑상선암으로 생존율이 98%에 달했다. 그 뒤를 이어 전립선암이 97%, 고환암이 95%,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의 생존율은 94%였다. 반대로 생존율이 가장 낮은 암은 췌장암으로 생존율이 12%에 그쳤고, 폐암과 식도암 생존율도 21%에 머물렀다.
  • |
  1. mobil.jpg (File Size:98.7KB/Download:2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037 캐나다 BC주 연휴의 가뭄, 산불, 바람, 엎친데 덮친데, 또 엎친 격 file 밴쿠버중앙일.. 23.08.04.
9036 캐나다 버나비 평화의 사도에서 배우는 한국전 역사 file 밴쿠버중앙일.. 23.08.04.
9035 캐나다 7월 메트로밴쿠버 주택 벤치마크 가격 상승 file 밴쿠버중앙일.. 23.08.04.
9034 캐나다 한국 예비교사, 밴쿠버에서 한국전쟁 역사 배운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8.02.
9033 캐나다 한국 방문 때 원숭이두창 여전히 주의 file 밴쿠버중앙일.. 23.08.01.
9032 캐나다 쿠바 방문했다면 美 비자없이 입국불가 file 밴쿠버중앙일.. 23.08.01.
9031 미국 팜비치 랍비 "성경도 학교의 '금지 도서'에 포함하라!" file 코리아위클리.. 23.07.30.
9030 미국 세미놀 카운티, 식수에서 독성물질 검출 수년 동안 '쉬쉬' file 코리아위클리.. 23.07.30.
9029 미국 트럼프, 디샌티스에게 "헛일 하지 말고 경선 포기하라" file 코리아위클리.. 23.07.30.
9028 미국 에버글레이즈서 19피트 버마 비단뱀 발견, 기록 갈아치워 file 코리아위클리.. 23.07.30.
9027 미국 6월 메트로올랜도 주택 가격, 전달보다 상승 file 코리아위클리.. 23.07.30.
9026 미국 잦은 항공편 지연 결항, 여행객들의 대처 방안은? file 코리아위클리.. 23.07.30.
9025 미국 조지아 최고법원, 트럼프의 '대선개입 의혹 조사 중단' 요청 기각 file 코리아위클리.. 23.07.30.
9024 캐나다 캐나다, K-아이스크림 수출 증대 일조 file 밴쿠버중앙일.. 23.07.29.
9023 캐나다 한국 긍정평가 BC주 가장 높고, 온주 퀘벡주 가장 낮아 file 밴쿠버중앙일.. 23.07.29.
9022 캐나다 정전 70주년 기념 한국 방문 유엔참전용사 재방한 행사 file 밴쿠버중앙일.. 23.07.28.
9021 캐나다 5월 전국 평균 주간 임금 물가보다 더 올랐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7.28.
9020 캐나다 5월 누계 영주권 비자 받은 한인 3020명 file 밴쿠버중앙일.. 23.07.26.
9019 캐나다 밴쿠버 식품 물가가 서울보다 낮아 file 밴쿠버중앙일.. 23.07.26.
9018 캐나다 한국전 정전 및 참전용사 한국 재방문 기념식 file 밴쿠버중앙일.. 23.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