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인 96%가 남성, 총기공격 73%... 2/3는 범행전 우려되는 행동 보여줘
 
gunman.jpg
▲ 최근 미국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대규모 총격사건은 개인적 원한과 갈등 때문인 것으로 파악됐다. 사진은 로스앤젤레스 폭스 방송이 몬터러리 파크 총기 난사 사건을 보도하고 있는 폭스 방송사 웹사이트 화면 캡쳐. ⓒ fox11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최근 미국에서 총격 사건이 잇따라 발생한 가운데 '대규모 공격(massive attacks)'에 관한 보고서가 나왔다.

미국 비밀경호국(USSS) 국가위협평가센터(NTAC)가 지난 2016~2020년 발생한 대규모 공격 사건 173건을 분석한 결과 절반은 개인적인 원한이나, 가정, 직장에서의 갈등 등 주변과의 불화 때문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국가위협평가센터에 따르면 공격범을 제외한 3명 이상이 피해를 본 대규모 공격 사건이 발생한 장소는 주로 직장과 학교, 종교시설, 대중교통시설 등이었다. 이들 공격으로 인한 사망자는 총 513명, 부상자는 1234명이었다.

사건의 대부분은 1명이 저지른 단독 범행이었고, 범인의 96%는 남성이었으며, 연령은 14세에서 87세 사이였다. 또 총격에 쓰인 무기는 총기가 126건으로 약 73%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칼을 비롯한 흉기와 차량을 이용한 공격이 뒤를 이었다.

보고서는 공격자의 2/3는 범행 전에 "매우 우려되는 행동이나 의사소통을 보여주었다"며, 이런 모습을 나타났을 때 "즉각적으로 대응을 해야 했다"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이런 공격범의 우려 행동이 때때로 법집행기관이나 고용주, 학교 직원, 부모 등과 공유되기도 했지만, 1/5에 해당하는 경우는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도 전달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결국 대규모 공격이 발생하기 전에 공격범들이 보이는 일정한 경향이 있었다는 것이다.

리나 알라타리 센터장은 폭력에 대한 관심이나 이전 대규모 공격 사건에 대한 관심, 대규모 공격 사건에 관한 글을 게시하거나 주변 사람에게 이야기하는 것, 무기를 직장이나 학교에 가지고 오는 것 또는 불만 등이 사건마다 반복적으로 나타난다고 밝혔다.

공격범과 관련해서 또 다른 특징도 있었다. 보고서는 조사 대상이 된 공격범의 약 절반은 가정폭력이나 여성 혐오 전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여성 혐오적인 견해를 가진 모든 사람이 폭력적인 것은 아니지만, 여성을 적으로 묘사하거나 여성에 대한 폭력을 촉구하는 이들의 관점은 우려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보고서는 직장이나 이웃과의 불화 같은 개인적인 불만이 대규모 공격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주목했다. 대규모 공격의 절반은 개인이나 가정 또는 직장 문제와 관련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인식된 불만’에 의해 비롯됐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사업장들은 직장 폭력 예방 계획의 일환으로 위협 행동 평가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지역 법집행기관과 능동적인 관계를 구축해 폭력 우려가 있는 사건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최근 캘리포니아주에서 발생한 대형 총격 사건도 사건도 이같은 지적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21일 밤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의 소도시 몬터레이파크에서 발생한 총기 난사 사건은 중국계 이민자인 72세 남성 후 캔 트랜이 '스타 댄스 스튜디오’라는 춤 교습소에서 총을 난사한 사건으로 11명이 사망하고 용의자도 사건 이후 숨진 채 발견됐다.

LA 카운티의 로버트 루나 보안관은 25일 기자회견에서 "지금까지의 조사 결과, 용의자와 희생자들 사이 연관성을 찾아내지는 못했다"라고 밝혔다. 루나 보안관은 또 트랜이 얼마나 오랫동안 범행을 계획했는지도 분명하지 않다며, 수사 당국은 여전히 범행 동기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 중이라고 설명했다.

23일 해프문베이시 외곽의 농장에서 발생한 두 건의 총격 용의자는 먼저 버섯농장에서 총격을 가해 4명의 희생자를 낸 후, 자신이 일하던 농장으로 이동해 또다시 총기를 난사해 3명이 더 목숨을 잃었다.

용의자인 67세 남성 춘리 자오의 경우 직장 내 불만에 따른 총격임을 보여준다고 수사당국이 밝혔다. 자오는 총격이 발생한 농장의 직원이었고 다른 직원들과 함께 농장 내 시설에서 거주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검찰 측은 자오의 범행동기가 무엇인지는 알고 있으나, 세부 내용을 공개하지는 않겠다고 밝혔다. 
  • |
  1. gunman (1).jpg (File Size:128.5KB/Download:3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037 캐나다 BC주 연휴의 가뭄, 산불, 바람, 엎친데 덮친데, 또 엎친 격 file 밴쿠버중앙일.. 23.08.04.
9036 캐나다 버나비 평화의 사도에서 배우는 한국전 역사 file 밴쿠버중앙일.. 23.08.04.
9035 캐나다 7월 메트로밴쿠버 주택 벤치마크 가격 상승 file 밴쿠버중앙일.. 23.08.04.
9034 캐나다 한국 예비교사, 밴쿠버에서 한국전쟁 역사 배운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8.02.
9033 캐나다 한국 방문 때 원숭이두창 여전히 주의 file 밴쿠버중앙일.. 23.08.01.
9032 캐나다 쿠바 방문했다면 美 비자없이 입국불가 file 밴쿠버중앙일.. 23.08.01.
9031 미국 팜비치 랍비 "성경도 학교의 '금지 도서'에 포함하라!" file 코리아위클리.. 23.07.30.
9030 미국 세미놀 카운티, 식수에서 독성물질 검출 수년 동안 '쉬쉬' file 코리아위클리.. 23.07.30.
9029 미국 트럼프, 디샌티스에게 "헛일 하지 말고 경선 포기하라" file 코리아위클리.. 23.07.30.
9028 미국 에버글레이즈서 19피트 버마 비단뱀 발견, 기록 갈아치워 file 코리아위클리.. 23.07.30.
9027 미국 6월 메트로올랜도 주택 가격, 전달보다 상승 file 코리아위클리.. 23.07.30.
9026 미국 잦은 항공편 지연 결항, 여행객들의 대처 방안은? file 코리아위클리.. 23.07.30.
9025 미국 조지아 최고법원, 트럼프의 '대선개입 의혹 조사 중단' 요청 기각 file 코리아위클리.. 23.07.30.
9024 캐나다 캐나다, K-아이스크림 수출 증대 일조 file 밴쿠버중앙일.. 23.07.29.
9023 캐나다 한국 긍정평가 BC주 가장 높고, 온주 퀘벡주 가장 낮아 file 밴쿠버중앙일.. 23.07.29.
9022 캐나다 정전 70주년 기념 한국 방문 유엔참전용사 재방한 행사 file 밴쿠버중앙일.. 23.07.28.
9021 캐나다 5월 전국 평균 주간 임금 물가보다 더 올랐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7.28.
9020 캐나다 5월 누계 영주권 비자 받은 한인 3020명 file 밴쿠버중앙일.. 23.07.26.
9019 캐나다 밴쿠버 식품 물가가 서울보다 낮아 file 밴쿠버중앙일.. 23.07.26.
9018 캐나다 한국전 정전 및 참전용사 한국 재방문 기념식 file 밴쿠버중앙일.. 23.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