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통령 가운데 최장수 98세... 각계에서 헌사 이어져
 
carter.jpg
▲ 오랜 기간 투병 생활을 해온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이 의료 시설 치료를 중단하고 여생을 가족과 함께 보내기로 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2019년 미국 국영 국제방송 미국의 소리(voa) 와 인터뷰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은 방송사 웹사이트 화면 갈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오랜 기간 투병 생활을 해온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이 의료 시설 치료를 중단하고 여생을 가족과 함께 보내기로 했다고 밝혔다.

카터 전 대통령이 설립한 '카터센터'는 지난 18일 발표한 성명에서 카터 전 대통령이 병원 치료를 중단하고 자택에서 '호스피스 케어(hospice care)'를 받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호스피스 케어란 암 환자 등 중증 말기 환자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고통을 줄이면서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에 집중하는 것으로, 임종 간호 보살핌 서비스를 말한다.

카터 전 대통령은 이제 마지막 순간을 나고 자란 조지아주에서 여생을 보내게 된다. 카터재단은 성명에서 "카터 전 대통령은 그의 가족과 의료팀으로부터 전적인 지원을 받고 있다"라면서 "가족 측은 그를 응원해준 많은 분의 걱정에 감사하며 이 시기 사생활을 존중해 주길 요청했다"라고 덧붙였다.

1924년에 태어난 카터 전 대통령은 올해로 98세다. 역대 미국 대통령 가운데 가장 장수한 카터 전 대통령은 지난 2015년 간암 발병 소식을 알렸다. 당시에 치료를 잘 받았다고 밝혔지만, 이후 피부암의 일종이 '흑색종'에 걸렸고, 암세포가 간과 뇌에 전이됐다.

자택에서 호스피스 케어를 받을 것이라는 발표 후 각계에서 헌사가 이어졌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카터재단의 발표 하루 뒤인 지난 19일 트위터를 통해서 "어려운 시기에 보여준 강인함과 겸손함에 경의를 표한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품위와 존엄 속에 남은 여정을 이어가길, 신이 평화를 주길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목사 출신으로 조지아주를 대표하는 라파엘 워녹 연방 상원의원은 카터 전 대통령을 "위대한 믿음의 사람"이었다면서 "바르게 산 사람이었다"라고 말했다. 어떤 사람들은 주말 차를 타고 직접 조지아주 카터센터를 찾아 카터 전 대통령에 대한 경의를 표하기도 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1962년 고향인 조지아주에서 주 상원의원에 당선되면서 정치를 시작했다. 1971년 조지아 주지사에 당선됐고, 그로부터 5년 뒤인 1976년 대선에서 제럴드 포드 전 대통령을 누르고 39대 대통령으로 당선했다.

카터 전 대통령의 재임 시 국내외적 과제가 산적해 있었다. 국내적으로 미국 경제는 높은 인플레이션과 경제 성장 둔화라는 '스태그플레이션'을 겪고 있었다. 또 중동 국가들의 갈등으로 외교적으로 풀어야 할 과제도 많았다.

카터 전 대통령 재임 당시 손에 꼽는 업적도 바로 이 외교 관계에서 나왔다. 지난 1978년에 맺은 '캠프데이비드 협정'이 대표적이다. 이스라엘과 이집트 사이에 맺은 이 협상으로 이집트는 이스라엘을 독립 국가로 인정했는데, 바로 이 협정을 카터 전 대통령이 중재한 것이다. 하지만 이란 인질 사태 등 어려움을 겪으면서 결국 재선에는 성공하지 못했고 1981년 1월 임기를 마쳤다.

카터 전 대통령의 대중적 공헌은 사실 대통령직을 마친 뒤에 더 컸다. 그는 퇴임 후 아내인 로잘린 카터 여사와 함께 카터센터를 설립해 세계 인권운동에 크게 기여하며 많은 사람에게 영향력을 끼쳤다.

지난 2002년에는 여러 국제분쟁을 중재하고 인권을 신장하는 데 노력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지난 1994년 6월 북핵 문제와 관련해 당시 한국 김영삼 대통령과 만나 면담하고 16일에는 평양을 방문해 김일성 주석과도 만나 한반도가 위기를 벗어나는데 일조했다.
  • |
  1. carter.jpg (File Size:60.7KB/Download:3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977 미국 미국 농무부, 세포로 '키운' 배양육 닭고기 판매 승인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7.
8976 미국 2030년까지 미 전역에 초고속 인터넷망 깔린다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7.
8975 캐나다 밴쿠버 다시 찾은 가평군 인사, 참전군인에 감사 인사 file 밴쿠버중앙일.. 23.07.07.
8974 캐나다 밴쿠버에서 한바탕 신나게 놀아본 한국 줄타기 장인 file 밴쿠버중앙일.. 23.07.07.
8973 캐나다 4월까지 한인 새 영주권자 총 2565명 file 밴쿠버중앙일.. 23.07.05.
8972 캐나다 버퀴클람, 메트로밴쿠버의 새 우범지역이 되나 file 밴쿠버중앙일.. 23.07.05.
8971 캐나다 한국 해외긴급구호대 캐나다 도착 file 밴쿠버중앙일.. 23.07.05.
8970 미국 디샌티스, 올랜도 지역 홍수방지, 흑인 역사축제 예산 승인 거부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2.
8969 미국 올랜도 감귤 사업 본거지 '패킹 디스트릭트'에 공원 들어서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2.
8968 미국 올랜도 기반 다든 레스토랑 그룹, '루스 크리스' 인수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2.
8967 미국 탬파베이에 미국 최대 인공 라군 물놀이 공원 들어서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2.
8966 미국 대권 도전자 앤드류 양, 플로리다서 '포워드당(Forward Party)' 모임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2.
8965 미국 열 한번째 연방 공휴일로 지정된 '준틴스' 뭐지?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2.
8964 미국 미 연방법원, 트럼프에 기밀문서 유출 증거물 공개 금지 명령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2.
8963 미국 메디케이드 갱신 실패한 미국인 150만명 넘어... 플로리다 '최고' file 코리아위클리.. 23.07.02.
8962 캐나다 4월 전국 평균 주급1194.1달러 file 밴쿠버중앙일.. 23.07.01.
8961 캐나다 문어 먹는 한인, 앞으로 미국인 혐오 대상될수도 file 밴쿠버중앙일.. 23.07.01.
8960 캐나다 한국전자여행허가 유효기간 2년에서 3년으로 file 밴쿠버중앙일.. 23.06.30.
8959 캐나다 메트로밴쿠버 625 기념행사 file 밴쿠버중앙일.. 23.06.30.
8958 캐나다 국가평화 순위 한국 43위, 미국 131위, 그럼 캐나다는? file 밴쿠버중앙일.. 23.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