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w65J4RWx_ee0fa80ff345978d

 

 

중국계, 유색인종 중 가장 낮은 항체 형성

캐나다인, 2022년 4~8월 98% 항체 보유

한국·미국 독감처럼 매년 백신 접종 시사

 

작년 한 때 캐나다의 전국민이 거의 다 코로나19 항체를 갖고 있었지만, 세계적인 추세가 독감처럼 매년 백신 접종을 해야 한다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연방통계청은 작년 4월부터 8월 사이에 캐나다 국민의 98.1%가 코로나19에 대한 항체를 갖고 있었다고 27일 발표했다. 

 

연방통계청은 연방공중보건청(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PHAC)과 캐나다 코로나19면역대책본부(Canada's COVID-19 Immunity Task Force)와 공조해 코로나19 항체 관련 조사를 실시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를 통해 조사기간 내에 전국민 거의 다가 코로나19(SARS-CoV-2)에 대한 항체를 갖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항체는 백신 접종과 이전 감염, 또는 양자 모두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봤다. 

 

개인주거지에 살고 있는 캐나다 성인의 53.9%인 1640만 명은 항체가 형성됐는데 이는 이전에 코로나19에 감염이 됐기 때문이라고 봤다. 이 수는 2020년 11월부터 2021년 4월 사이에 2.6%였던 것에 비해 20배나 높았다. 

 

이는 사실 코로나19에 감염됐어도 자신이 감염됐는지 몰랐다는 뜻이다. 이때 스텔스 코로나19라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코로나19에 감염되고 치유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2022년 여름에 이전에 한 번 이상 코로나19 양성 결과를 경험한 환자는 47.9%였다. 반면 10.3%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됐지만 검사 결과 양성으로 판정을 받지 않은 경우다. 또 항체를 갖고 있는 41.7%는 양성 검사결과도 없었고, 감염을 의심도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보고서에서 젊을수록 과거 감염으로 인한 항체 형성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왔다. 또 인종적으로 유색인종이 과거 감염으로 항체를 형성한 비율이 60.1%로 유럽계 백인의 51.8%보다 높았다. 

 

하지만 유색인종 중 중국계는 53.2% 상대적으로 낮았고, 흑인이 80.7%, 아랍계가 78.1%, 필리핀계가 69.8%,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계가 64.6%였다. 같은 동아시아계인 한국도 상대적으로 낮았을 것으로 보인다.

 

각 주별로 보면 BC주는 이전 감염으로 인한 항체 형성 비율이 51.1%로 10개 주중에 7번째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777 캐나다 코퀴틀람과 써리 거주 30대 2인, 9건 강도 혐의로 체포 밴쿠버중앙일.. 16.03.26.
8776 캐나다 BC주 변호사들, 이슬람 혐오 '핫 라인' 지원 전화 개시 밴쿠버중앙일.. 16.03.26.
8775 캐나다 에비 MLA, '집 값 상승에 미치는 이민자 영향, 인종차별과 별개' 밴쿠버중앙일.. 16.03.26.
8774 캐나다 주정부, 다가구 주택 전기 자동차 충전 설치 비용 지원 밴쿠버중앙일.. 16.03.26.
8773 캐나다 밴쿠버의 벨기에인들, 아트 갤러리 앞에서 테러 희생자 추모 밴쿠버중앙일.. 16.03.26.
8772 캐나다 미국 군사기밀 해킹 혐의로 체포된 리치몬드 남성, 미 법정에서 혐의 인정 밴쿠버중앙일.. 16.03.26.
8771 미국 식품 방부제는 ‘식용 화학물질’, 건강 논란 여전 코리아위클리.. 16.03.26.
8770 미국 중국 요리가 맛있다고? 그러면 그렇지 코리아위클리.. 16.03.26.
8769 캐나다 사상 최대 재정적자 앞에 무릎 꿇는 주정부 CN드림 16.03.30.
8768 캐나다 프레이져 보건부, 칠리왁에서 이콜리 박테리아 발견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7 캐나다 BC취업부 본드 장관, "올 봄, 최저 임금 인상하겠다"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6 캐나다 크게 줄어든 지자체 부담, 도로 및 다리 유료화 가능할까?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5 캐나다 주정부 주택부, 메이플 릿지의 노숙인 보호시설 재논의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4 캐나다 밴쿠버 관광업계, "4월 호황 기대 중"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3 캐나다 노스밴, 린 캐니언 브릿지에서 다이빙한 10대 사망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2 캐나다 써리, 'L' 운전자가 피트니스 클럽 들이받는 사고 발생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1 캐나다 메트로 지역 곰 전문가들, "곰의 인가 출현 잦아지는 중"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0 캐나다 UBC 교수 회의, 이사진 불신임 투표 '불신임' 과반 넘어 밴쿠버중앙일.. 16.04.01.
8759 캐나다 밴쿠버, "새 스카이트레인 역 개발 회사가 짓는다" 밴쿠버중앙일.. 16.04.01.
8758 캐나다 학교 4 곳 폐교 위기 오카나간, 학부모 대규모 시위 벌려 밴쿠버중앙일.. 16.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