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lQL48y59_158e58fce9a08f38

연방통계청의 2022년도 가계실질최종재정지출 그래프

 

2008년 이후 최대폭 상승률 기록

인플레이션 압력과 경제 활동 탓

 

코로나19 대유행 직후 보복 소비도 늘어나고 동시에 인플레이션도 폭등하면서 작년 가계 지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연방통계청이 28일 발표한 가계실질최종재정지출(Household actual final consumption, HAFC) 자료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총 1754억 달러나 늘어나 총 10.2%의 증가율을 보엿다. 이는 2008년 이후 최대 상승률로 기록됐다.

 

작년 총 가계실질최종재정지출은 1조 9000억 달러에 달해, 2021년은 물론 대유행 이전 수준보다 높았다.

 

보고서는 이렇게 가계지출이 증가한 이유로 인플레이션 압력과 더불어 코로나19 관련 제한조치 이후 경제활동이 급증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이런 가계지출 증가와 동시에 사회보장, 주택관련 지원을 비롯해 의료건강, 교육 등을 위한 사회적 현물이전(social transfers in-kind, STiK)도 작년에 총 4288억 달러로 8.1%가 늘어났다. 

 

사회적 현물이전이란 무상복지가 대표적되는 무상교육, 의료, 보육, 공공임대주택 등과 같은 국가가 국민에게 현물로 제공하는 의료와 교육, 보육 등 상품과 서비스를 의미한다.

 

사회적 현물이전 중 의료보건 관련 총액은 2275억 달러로 전년에 비해 8.2%가 늘어났다. 이는 전체 사회적 현물이전 액의 53%에 해당한다. 그런데 2사분기에 의료보건 관련 사회적 현물이전이 감소하는 일이 발생했는데, 그 이유가 코로나19로 인한 입원환자수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사회적 현물이전 중 가장 빠르게 증가한 부분은 가계를 도와주는 비영리기관에 대한 지원 분야로 전년에 비해 11.5%가 증가한 403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렇게 가계 지출과 가계 지원 재정 지출이 늘어나는 속에서, 중간 소득 가계와 시니어들이 사회적 현물이전의 가장 큰 혜택을 받은 것으로 나왔다.

 

소득을 5분위로 나눌 때 상위 2분위 사회적 현물이전은 상대적으로 감소했고, 하위 2분위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런데 가장 중간인 3분위 가계는 전체의 22.1%에 해당하는 950억 달러로 가장 큰 몫의 지원을 받았다.

 

연령별로 65세 이상 시니어가 전체 사회적 현물이전의 26.8%의 몫을 지원 받아 가장 많은 혜택을 받았다. 이들은 주로 의료보건 관련 재화나 서비스에 더 많이 의존하기 때문이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777 캐나다 코퀴틀람과 써리 거주 30대 2인, 9건 강도 혐의로 체포 밴쿠버중앙일.. 16.03.26.
8776 캐나다 BC주 변호사들, 이슬람 혐오 '핫 라인' 지원 전화 개시 밴쿠버중앙일.. 16.03.26.
8775 캐나다 에비 MLA, '집 값 상승에 미치는 이민자 영향, 인종차별과 별개' 밴쿠버중앙일.. 16.03.26.
8774 캐나다 주정부, 다가구 주택 전기 자동차 충전 설치 비용 지원 밴쿠버중앙일.. 16.03.26.
8773 캐나다 밴쿠버의 벨기에인들, 아트 갤러리 앞에서 테러 희생자 추모 밴쿠버중앙일.. 16.03.26.
8772 캐나다 미국 군사기밀 해킹 혐의로 체포된 리치몬드 남성, 미 법정에서 혐의 인정 밴쿠버중앙일.. 16.03.26.
8771 미국 식품 방부제는 ‘식용 화학물질’, 건강 논란 여전 코리아위클리.. 16.03.26.
8770 미국 중국 요리가 맛있다고? 그러면 그렇지 코리아위클리.. 16.03.26.
8769 캐나다 사상 최대 재정적자 앞에 무릎 꿇는 주정부 CN드림 16.03.30.
8768 캐나다 프레이져 보건부, 칠리왁에서 이콜리 박테리아 발견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7 캐나다 BC취업부 본드 장관, "올 봄, 최저 임금 인상하겠다"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6 캐나다 크게 줄어든 지자체 부담, 도로 및 다리 유료화 가능할까?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5 캐나다 주정부 주택부, 메이플 릿지의 노숙인 보호시설 재논의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4 캐나다 밴쿠버 관광업계, "4월 호황 기대 중"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3 캐나다 노스밴, 린 캐니언 브릿지에서 다이빙한 10대 사망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2 캐나다 써리, 'L' 운전자가 피트니스 클럽 들이받는 사고 발생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1 캐나다 메트로 지역 곰 전문가들, "곰의 인가 출현 잦아지는 중"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0 캐나다 UBC 교수 회의, 이사진 불신임 투표 '불신임' 과반 넘어 밴쿠버중앙일.. 16.04.01.
8759 캐나다 밴쿠버, "새 스카이트레인 역 개발 회사가 짓는다" 밴쿠버중앙일.. 16.04.01.
8758 캐나다 학교 4 곳 폐교 위기 오카나간, 학부모 대규모 시위 벌려 밴쿠버중앙일.. 16.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