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00여 명 사망... 흑인 여성, 백인 여성보다 2.6배 높아
 
covid.jpg
▲ 코로나 팬데믹을 지나면서 지난 2021년 미국에서 임신 중 숨지거나 출산 직후 사망하는 여성의 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팬데믹 기간에 플로리다주 올랜도시 바넷 파크 입구에 놓인 코로나 테스트 안내판 모습.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을 지나면서 지난 2021년 미국에서 임신 중 숨지거나 출산 직후 사망하는 여성의 수가 급증, 임산부 사망률이 약 60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022년에는 사망률이 다시 감소세로 돌아선 것으로 확인됐다.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16일 내놓은 관련 수치에 따르면 2021년 한 해 미국에서 총 1200여 명의 임산부가 목숨을 잃었다. 이는 직전 연도인 2020년 사망한 임산부보다 40%나 많은 수치다. 인구당 비율로 따지면 미국의 임산부 사망률이 2019년 10만 명당 20명, 2020년 10만 명당 24명이었던 데서, 2021년에는 10만 명 당 33명이 사망했다. 이는 지난 1960년 대 중반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2022년 수치는 예비 데이터이긴 하지만 총 733명의 임산부가 사망했다. 최종 통계에서 사망자 수가 더 많아질 것으로 보이긴 하지만, 코로나 팬데믹 이전 수준에 근접할 것으로 CDC는 전망했다.

CDC는 임신 중이나 출산 중 그리고 출산 후 42일 안에 사망한 여성을 기준으로 집계했다. 사망한 여성의 주된 사인은 과다 출혈, 폐색전증, 감염 등이었다. 전문가들은 2021년에 임산부 사망이 급증한 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영향을 줬다고 지적했다. 임산부는 면역력이 떨어지지만, 심장은 더 활발히 작동해야 하는데 코로나 감염증은 이를 모두 약화시켰다는 것이다.

코로나가 임산부 사망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서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나온 정부 통계들도 보면 지난 2020년과 2021년 산모 사망의 4분의 1은 코로나 감염증과 관련된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이들 보고서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자체로 인한 피해도 있지만, 코로나 팬데믹이 의료 서비스에 미친 광범위한 영향도 임산부 사망률 증가에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했다. 또한 2021년 8월 CDC가 임신 혹은 수유 중인 여성에 백신 접종을 강력히 권고하기 전까지 코로나 백신에 대한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것도 임산부 사망률이 증가한 원인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이번에 나온 CDC 임산부 사망률에서 흑인 임산부의 사망률이 유독 높았다. 2021년 흑인 여성의 임산부 사망률은 백인 여성보다 2.6배 높았다. 또 중남미계 여성의 사망률은 전해인 202년에 비해 54% 증가하면서 역시 백인 여성보다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흑인들 사이에 백신에 대한 불신이 커 백신 접종률이 떨어진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다.
  • |
  1. covid.jpg (File Size:80.2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777 캐나다 코퀴틀람과 써리 거주 30대 2인, 9건 강도 혐의로 체포 밴쿠버중앙일.. 16.03.26.
8776 캐나다 BC주 변호사들, 이슬람 혐오 '핫 라인' 지원 전화 개시 밴쿠버중앙일.. 16.03.26.
8775 캐나다 에비 MLA, '집 값 상승에 미치는 이민자 영향, 인종차별과 별개' 밴쿠버중앙일.. 16.03.26.
8774 캐나다 주정부, 다가구 주택 전기 자동차 충전 설치 비용 지원 밴쿠버중앙일.. 16.03.26.
8773 캐나다 밴쿠버의 벨기에인들, 아트 갤러리 앞에서 테러 희생자 추모 밴쿠버중앙일.. 16.03.26.
8772 캐나다 미국 군사기밀 해킹 혐의로 체포된 리치몬드 남성, 미 법정에서 혐의 인정 밴쿠버중앙일.. 16.03.26.
8771 미국 식품 방부제는 ‘식용 화학물질’, 건강 논란 여전 코리아위클리.. 16.03.26.
8770 미국 중국 요리가 맛있다고? 그러면 그렇지 코리아위클리.. 16.03.26.
8769 캐나다 사상 최대 재정적자 앞에 무릎 꿇는 주정부 CN드림 16.03.30.
8768 캐나다 프레이져 보건부, 칠리왁에서 이콜리 박테리아 발견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7 캐나다 BC취업부 본드 장관, "올 봄, 최저 임금 인상하겠다"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6 캐나다 크게 줄어든 지자체 부담, 도로 및 다리 유료화 가능할까?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5 캐나다 주정부 주택부, 메이플 릿지의 노숙인 보호시설 재논의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4 캐나다 밴쿠버 관광업계, "4월 호황 기대 중"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3 캐나다 노스밴, 린 캐니언 브릿지에서 다이빙한 10대 사망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2 캐나다 써리, 'L' 운전자가 피트니스 클럽 들이받는 사고 발생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1 캐나다 메트로 지역 곰 전문가들, "곰의 인가 출현 잦아지는 중" 밴쿠버중앙일.. 16.03.31.
8760 캐나다 UBC 교수 회의, 이사진 불신임 투표 '불신임' 과반 넘어 밴쿠버중앙일.. 16.04.01.
8759 캐나다 밴쿠버, "새 스카이트레인 역 개발 회사가 짓는다" 밴쿠버중앙일.. 16.04.01.
8758 캐나다 학교 4 곳 폐교 위기 오카나간, 학부모 대규모 시위 벌려 밴쿠버중앙일.. 16.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