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1.jpg

개회식에서 인사말을 전하는 민주평통 호주협의회 회장 겸 호한문화예술재단 고동식 이사장. 고 회장은 한국전 정전 70주년을 기해 ‘평화, 통일’로 설정한 올해 행사 주제에 맞춰 한국전 참전 희생자들에게 경의를 표하며 이번 행사가 양국간 문화교류 일조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사진 : 김지환 기자 / The Korean Herald

 

호한문화예술재단-민주평통 호주협의회 주관... 한국 전통-대중문화 정수 선보여

 

시드니 도심 한복판에서 펼쳐지는 ‘한국’ 주제의 시드니한민족축제(Sydney Korean Festival)가 오랜 만에 현지인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지난 2012년 도심 피트 스트리트(Pitt Street)에서 시작된 시드니한민족축제는 올해로 9회를 맞으며 한인 커뮤니티 단체(호한문화예술재단. 이사장 고동식)가 선보이는 호주 현지 최대 한국문화 이벤트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인해 지난 2020년부터 개최되지 못했던 이 문화 행사는시드니 도심의 최대 엔터테인먼트 구역인 달링하버(Tumbalong Park, Darling Harbour)에서 4년 만에 개최가 확정돼 많은 기대를 모았었다.

지난 달 마지막 주 주말(4월 29-30일), 이틀 연속 이어진 올해 축제는 호주 우기의 막바지임을 보여주듯 이따금 비가 내리기도 했으나 호주 대중들에게 깊이 파고든 한국문화 주제라는 점을 알고 있는 듯 현지 젊은이는 물론 시드니를 방문 중인 전 세계 여행자들의 발길을 끌었다.

 

002.jpg

서울시 무용단이 선보인 특정 장르의 전통 무용은 특히 현지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오늘날 전 세계로 뻗어가는 K-대중문화는 한국의 오랜 예술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사진 : 호한문화예술재단 제공

 

003.jpg

달링하버, 텀발롱 파크(Tunbalong Park, Darling Harbour)의 The Sydney Korean Festival 현장. 현재 여러 시설 공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달링하버 관리 당국은 4년 만에 개최되는 한국 문화 이벤트를 위해 공간을 마련해 주었다. 사진 : 호한문화예술재단 제공

 

004.jpg

한국전 정전 70주년을 맞아 올해 행사 주제를 ‘평화, 통일’로 설정한 주최측은 이날 개막식에 맞춰 한국전 참전 호주 재향군인 또는 그 가족을 초청, 특별히 감사를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자리에는 참전용사 Ian Crawford 해군소장, Johny Bineham, James Reardon, Michele Menier(참전군인 James Reardon씨의 자녀 등이 참석했다. 사진 : 김지환 기자 / The Korean Herald

 

005.jpg

올해 행사장에 마련된 한국관광공사 시드니지사 홍보 부스. 한국 여행 안내 책자 및 기념품을 갖고자 하는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져 '문화 한국'의 저력이 '여행 한국'으로 이어지는 느낌이다. 사진 : 김지환 기자 / The Korean Herald

 

006.jpg

한국 대중문화 퍼포먼스로 올해 축제에서 가장 많은 시선을 사로잡은 호주 한인동포 및 현지 청년 공연팀. 사진 : 호한문화예술재단 제공

 

007.jpg

K-pop 댄스는 호주에서도 젊은이들에게 있어 확고한 대중문화이 한 장르가 됐다. 사진 : 호한문화예술재단 제공

 

008.jpg

정통 K-food와 함께 전 세계인의 입맛을 잡아가는 'Street food'의 하나인 한국식 핫도그는 여러 형태로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어 더욱 인기를 끈다. 행사장에 마련된 길거리 음식 스톨. 사진 : 김지환 기자 / The Korean Herald 

 

특히 올해는 한국전 정전 70주년이라는 점에서 민주평통 호주협의회 회장을 겸하는 호한문화예술재단 고동식 이사장은 평통 호주협의회를 공동 개최로 하고 행사 주제를 ‘평화, 통일’로 설정, 한국전쟁과 함께 가장 먼저 참전을 결정한 호주간 오랜 우정을 새기는 시간도 마련했다.

첫날 개회식에서 고동식 회장은 “이번 축제를 통해 한국전 정전 70년을 시드니에서 기념하는 것은 한국전쟁의 아픈 시간을 되새기고 한국-호주간 우호와 평화적 협력을 강조함은 물론 양국간 문화교류를 촉진하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한 뒤 “오늘 축제에 함께 하신 한국전 참전 호주 용사들에게 감사를, 또한 모든 참전용사들의 희생과 헌신에 깊은 경의를 표한다”고 인사했다. 

 

009.jpg

아련하면서도 은근하게 울림을 주는 한국 전통 악기 연주 또한 눈과 귀를 사로잡는다. 사진 : 호한문화예술재단 제공

 

010.jpg

K-pop 댄스가 세계 젊은이들을 사로잡는 요인은 대중음악 가사와 조화된 안무, 쉽게 흉내 내지 못하는 역동적 동작 때문일 터이다. 사진 : 호한문화예술재단 제공

 

011.jpg

대충(?) 입어도 우아함이 감추어지지 않는 한복의 자태는 결코 현지인들의 시선 밖에 있지 않다. 한복차림의 자원봉사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관람객들. 사진 : 김지환 기자 / The Korean Herald

 

012.jpg

때론 봄바람에 흐드러지듯. 때론 강한 바람에 맞서듯, 그러다 어느 순간 거센 파도가 밀려오는 것 같은 한국 무용의 춤사위에는 강한 힘이 담겨 있다. 사진 : 호한문화예술재단 제공

 

013.jpg

KFC(Korean Fried Chicken)는 이제 전 세계 어디서나 빼놓을 수 없는 K-food의 하나로 인식된 듯하다. 비가 내리는 오전 시간, 행사장을 찾은 젊은 한-호 커플. 김지환 기자 / The Korean Herald

 

014.jpg

근래 한국문화 축제에서 두드러진 것 중 하나는 현지 젊은이들로 구성된 K-pop 댄스팀이 늘어났으며, 이들의 공연 또한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사진 : 호한문화예술재단 제공

   

이어 시드니총영사관 이태우 총영사, 김현기 서울특별시 시의회 의장, 연방 베넬롱 지역구 제롬 락살(Jerome Laxale) 의원, 스콧 팔로우(Scott Farlow) NSW 주 의원(대리 축사), 시드니한인회 강흥원 회장, City of Sydney 로버트 콕(Robert Kok) 시 의원이 올해 축제에 축하 인사를 전했다.

또한 올해 행사에는 지난 3월 집권한 NSW 노동당 정부의 크리스 민스(Chris Minns) 주 총리가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민스 주 총리는 “올해 Sydney Korean Festival은 한국 최고의 전통 문화와 함께 K-pop과 댄스, 영화, 마샬아트(태권도), K-food 등 대중문화의 진수를 선사하는 이벤트로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멋진 이벤트”라며 “특별히, NSW 주의 다문화에 공헌하는 호한문화예술재단에 감사를 표한다”고 밝혔다.

 

015.jpg

올해 행사 프로그램 중 하나인 ‘K-pop World Festoval’ 무대 앞에 모인 관람객들. 사진 : 호한문화예술재단 제공

 

016.jpg

행사장 관람객들의 편의를 돕는 자원봉사자들. 모델급 자태로 행사장 도우미 역할보다는 관람객들의 사진 모델이 되어야 했다. 사진 : 김지환 기자 / The Korean Herald

 

017.jpg

한국문화 이벤트의 한 프로그램으로 추가된 드레스 패션쇼는 색다른 장면으로 현지 여성 관람객들의 시선을 잡았다. 사진 : 호한문화예술재단 제공

 

민스 주 총리와 함께 민주평통 김관용 수석 부의장, 민주평통 아시아-태평양협의회 이숙진 부의장도 축하 메시지를 통해 이날 행사의 의미와 정전 70년의 역사를 살폈다.

한편 올해 프로그램에는 한국의 백합예술단, 서울시 무용단 단원들이 시드니를 방문해 한복, 각 장르의 고전무용, 전통 악기연주 등을 소개했으며, 호주 현지 공연팀들의 K-pop과 댄스, K-pop 경연, 호주 시청자를 사로잡은 K-드라마 소개 등이 이어졌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006.jpg (File Size:108.9KB/Download:40)
  2. 007.jpg (File Size:100.2KB/Download:40)
  3. 008.jpg (File Size:128.9KB/Download:34)
  4. 009.jpg (File Size:123.9KB/Download:44)
  5. 010.jpg (File Size:82.9KB/Download:40)
  6. 011.jpg (File Size:130.7KB/Download:38)
  7. 012.jpg (File Size:112.0KB/Download:42)
  8. 013.jpg (File Size:105.5KB/Download:38)
  9. 014.jpg (File Size:114.8KB/Download:40)
  10. 015.jpg (File Size:144.5KB/Download:40)
  11. 016.jpg (File Size:87.8KB/Download:43)
  12. 017.jpg (File Size:97.9KB/Download:41)
  13. 001.jpg (File Size:117.4KB/Download:40)
  14. 002.jpg (File Size:99.7KB/Download:36)
  15. 003.jpg (File Size:156.0KB/Download:42)
  16. 004.jpg (File Size:96.5KB/Download:41)
  17. 005.jpg (File Size:110.9KB/Download:4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183 호주 ‘멋글씨가’ 강병인 작가, 예술작품으로써의 한글의 매력 선보여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3182 호주 호주 초-중등학교 교장단 한국 방문연수, 4년 만에 재개돼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3181 호주 “21세기 글로벌 리더로...” 동포자녀 청소년 대상 ‘민족캠프’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3180 호주 노동절 연휴의 주말 음악 이벤트 참석했던 한인 청년, ‘안타까운 죽음’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3179 호주 금산 세계인삼축제, ‘엄마 행복하세요’ 슬로건으로 10월 6일 개막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3178 호주 34대 시드니한인회, 오혜영-신정구 회장단 체제로... 여성 회장은 ‘첫 사례’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3177 호주 “본국 정부의 한반도 평화-통일 로드맵 등 평통 본연의 의무, 최선 다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3176 호주 “투표소, 꼭 가셨으면 합니다”... 내일, 34대 시드니한인회장단 ‘투표’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3175 호주 시드니 동포단체들, 22대 한국 총선 기해 재외 투표율 제고 ‘앞장’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3174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여권발급 기간 단축 시행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3173 호주 ‘디자인과 예술의 경계’를 만들어가는 작가 이광호, 시드니 관객과 만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3172 호주 21기 평통 호주협의회, “동포들과 함께 바른 통일 담론 만들어가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3171 호주 4개 팀의 34대 한인회장단 후보들, 공통된 공약은 ‘한인회관 확보’ file 호주한국신문 23.08.31.
3170 호주 올해 금산 세계인삼축제, ‘엄마 행복하세요’ 슬로건으로 인삼 효능 강조 file 호주한국신문 23.08.31.
3169 호주 한국어 채택 학교 학생들의 장기자랑... ‘문화경연대회’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3.08.25.
3168 호주 ‘마음의 고향’에서 ‘기생충’까지... 시드니서 즐기는 시대별 한국 영화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3167 호주 동포기업 ‘피다코’, 부동산 개발 이어 연어양식업으로 사업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3166 호주 호주서 발간되는 종합문예지 ‘문학과 시드니’, 디아스포라 우수문예지 선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3165 호주 ‘선핵’ 기조 유지하는 대북 전략, ‘비핵화의 실질적 이익 모델 제시’ 중요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3164 호주 “대한민국의 눈부신 성장 바탕에는 한국전 참전 용사들의 숭고한 정신이...”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