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영사관 사진전 1).jpg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호주용사 11명의 인물을 담은 사진전이 마련됐다. 주시드니총영사관과 NSW 보훈부가 공동으로 준비한 이번 사진전은 참전용사들의 희생과 헌신을 기억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사진은 지난 6월 2일 개막식 행사에서 기념사를 전하는 이태우 총영사. 사진 : 주시드니대한민국총영사관 제공

 

시드니총영사관, 참전용사 기리는 ‘Armistice in Korea 1953-2023’ 전시회 마련

NSW 보훈부 공동, ANZAC Memorial에서... 6월 1일 시작돼 다음 달 30일까지

 

한국전쟁에서 대한민국을 위해 싸운 호주 참전용사들을 기억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주시드니대한민국총영사관(총영사 이태우)은 NSW 보훈부와 공동으로 한국전 참전 호주용사 11명의 인물사진전 ‘Armistice in Korea 1953-2023, How Australian Veterans remember the Korean War’를 마련했다.

지난 1일(목) 개막된 이번 사진전은 오는 7월 30일까지 호주의 대표적 전쟁기념관 중 하나인 안작 메모리얼(ANZAC Memorial)에서 이어진다.

이번 사진전은 한국전 정전 70주년을 맞아 호주 참전용사들의 희생과 헌신을 기억하고 그 유산을 후세대에 전하기 위해 기획됐다. 주시드니총영사관 이태우 총영사는 지난 2일(금) 오후 5시, 안작 메모리얼에서 개최된 사진전 개막행사에서 “호주의 한국전 참전은 한호 양국간 우호관계의 튼튼한 토대가 되어 왔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이번 전시에 참여한 11명의 참전용사뿐 아니라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1만7,164명 참전용사 모두의 희생과 헌신을 영원히 기억할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비드 해리스 NSW 주 보훈장관은 “양국 정부가 공동으로 이번 전시를 개최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 이태우 총영사와 주시드니총영사관에 감사드린다”며 “이번 사진전과 참전용사의 디지털 스토리는 참전용사의 희생과 헌신을 후세대로 전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사진전 개막행사에는 전시된 사진의 주인공인 참전용사 11명 중 10명이 참석했다. 이날 참전용사를 대표해 연설한 레이먼드 버나드씨는 “전쟁의 폐허를 딛고 정치, 경제, 의료, 교육, 국방, 문화 등 모든 면에서 세계적 수준으로 발전한 대한민국의 현재 모습이 무척 자랑스럽다”며 “참전용사에게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진심으로 감사를 표하는 대한민국 정부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종합(영사관 사진전 2).jpg

이번 사진전에는 11명이 참전용사 인물이 소개됐으며 개막식에는 10명의 노병이 참석했다. 사진 : 주시드니대한민국총영사관 제공

   

주시드니총영사관은 코로나19의 여파가 지속되던 2022년, 6.25전쟁 호주 참전용사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는 안전한 방법으로 NSW 주에 거주하는 참전용사의 자택을 직접 방문하여 인물 사진을 촬영하고 그 중 한 점을 A3 크기로 현상하여 액자에 넣어 전하는 사업을 진행한 바 있다. 지난해 인물사진 촬영 사업에 참가한 호주 참전용사는 △육-해-공군 비율, △거주지역, △건강상태, △본인의 참여의사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해 선정하였으며, 이번 전시회는 당시 촬영한 사진을 활용해 꾸며졌다.

호주는 한국전쟁 당시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파병을 결정했으며, 호주 참전용사 총 1만7,164명 중 1,216명이 부상을 입었고 340명이 전사했다. 이번 사진전에 참여한 호주 참전용사 11명의 자세한 이야기는 사진전 기간과 무관하게 안작 메모리얼 홈페이지(www.anzacmemorial.nsw.gov.au/armisticeinkorea) 또는 첨부된 QR코드 스캔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영사관 사진전 1).jpg (File Size:142.9KB/Download:35)
  2. 종합(영사관 사진전 2).jpg (File Size:96.1KB/Download:39)
  3. 7 시드니총 영사관사관 사진전.hwp (File Size:15.0KB/Download:3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183 호주 ‘멋글씨가’ 강병인 작가, 예술작품으로써의 한글의 매력 선보여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3182 호주 호주 초-중등학교 교장단 한국 방문연수, 4년 만에 재개돼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3181 호주 “21세기 글로벌 리더로...” 동포자녀 청소년 대상 ‘민족캠프’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3180 호주 노동절 연휴의 주말 음악 이벤트 참석했던 한인 청년, ‘안타까운 죽음’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3179 호주 금산 세계인삼축제, ‘엄마 행복하세요’ 슬로건으로 10월 6일 개막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3178 호주 34대 시드니한인회, 오혜영-신정구 회장단 체제로... 여성 회장은 ‘첫 사례’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3177 호주 “본국 정부의 한반도 평화-통일 로드맵 등 평통 본연의 의무, 최선 다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3176 호주 “투표소, 꼭 가셨으면 합니다”... 내일, 34대 시드니한인회장단 ‘투표’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3175 호주 시드니 동포단체들, 22대 한국 총선 기해 재외 투표율 제고 ‘앞장’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3174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여권발급 기간 단축 시행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3173 호주 ‘디자인과 예술의 경계’를 만들어가는 작가 이광호, 시드니 관객과 만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3172 호주 21기 평통 호주협의회, “동포들과 함께 바른 통일 담론 만들어가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3171 호주 4개 팀의 34대 한인회장단 후보들, 공통된 공약은 ‘한인회관 확보’ file 호주한국신문 23.08.31.
3170 호주 올해 금산 세계인삼축제, ‘엄마 행복하세요’ 슬로건으로 인삼 효능 강조 file 호주한국신문 23.08.31.
3169 호주 한국어 채택 학교 학생들의 장기자랑... ‘문화경연대회’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3.08.25.
3168 호주 ‘마음의 고향’에서 ‘기생충’까지... 시드니서 즐기는 시대별 한국 영화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3167 호주 동포기업 ‘피다코’, 부동산 개발 이어 연어양식업으로 사업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3166 호주 호주서 발간되는 종합문예지 ‘문학과 시드니’, 디아스포라 우수문예지 선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3165 호주 ‘선핵’ 기조 유지하는 대북 전략, ‘비핵화의 실질적 이익 모델 제시’ 중요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3164 호주 “대한민국의 눈부신 성장 바탕에는 한국전 참전 용사들의 숭고한 정신이...”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