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여름을 기해 일본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의 핵오염수 해양 방류를 시작할 것으로 예정한 가운데 이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시드니 기반의 동포 사회단체 및 호주 현지 진보단체들이 연대한 핵오염수 반대 시위에서 촛불행동의 모니카 김 대표(사진 왼쪽)가 참여단체 회원들의 요구사항을 밝히고 있다. 사진 : 김지환 기자 / The Korean Herald
한인동포-호주 현지 사회단체 회원-정계 인사들, 한목소리로 일본정부 비난
지난 수년 동안 한국은 물론 전 세계 각국, 특히 환경단체들이 우려해 온 바가 현실이 되고 있다. 일본 정부가 끝내 후쿠시마 핵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실행한다는 방침 때문이다.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오는 방사성 물질을 포함한 오염수를 해양 방류하겠다고 공식 결정한 것은 지난 2021년 4월이었고, 그 실행 시점이 올 여름이 되면서 각국의 방한 비난이 일고 있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 당시 폭발사고가 난 제1원전 원자로 시설에 빗물과 지하수 등이 유입되며 하루 평균 140톤의 오염수가 발생해 왔다. 이 원전을 운용하는 도쿄전력은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이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처리해 원전 부지 내 저장탱크에 보관하고 있는데, 일본 정부가 해양 방류를 결정하던 2021년 3월 기준으로 약 125만844톤의 오염수가 보관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었다. 반면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에 세워진 탱크의 오염수 저장 용량은 총 137만 톤이기에 이 저장탱크가 거의 채워진 것이다.
일본이 바다로 방류할 핵오염수에는 삼중수소(트리튬)와 함께 세슘, 스트론튬 등 방사성 핵종 물질이 포함돼 있다. 이 가운데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거쳐도 제거할 수 없는 삼중수소에 대한 우려가 가장 높다. 후쿠시마 오염수 내 삼중수소 농도는 L당 평균 58만 베크렐(Bq)로 일본 정부가 정한 기준치(L당 6만 베크렐)의 약 10배에 이른다. 일본 정부는 이를 1500Bq까지 물로 희석해 방출한다는 계획이다. 바다로 빠져나간 삼중수소의 물리적 반감기(방사성 핵종의 원자수가 반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는 12.3년이지만, 오염수에 담긴 삼중수소의 배출이 앞으로 얼마나 오래, 얼마나 많이 바다로 유입될지는 알 수 없다. 특히 삼중수소는 일반 수소나 중수소와 물성이 같아 산소와 결합한 물 형태로 존재하는데, 물 형태로 바닷물 속에 섞여 있으면 물리, 화학적으로 분리하기가 어렵다.
후쿠시마 핵오염수가 바다로 방류될 경우 이에 따른 영향은 끔직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해양생태계 파괴 및 생물종 변형에 대한 우려, 바다에서 만들어내는 식량자원에 미치는 타격은 수치로 산정할 수 없다. 그리고 이 피해는 한국, 동남아, 중국 등 인접국가들만이 아니다. 호주 또한 이 바다 오염수로 인해 자유로울 수 없으며, 전 세계 국가들도 마찬가지이다.
후쿠시마는 일본의 동쪽에 있는 지역이다. 이곳에서 핵오염수가 방류되면 이는 구로시오 해류를 따라 태평양으로 이동한다. 이후 미국과 적도를 거쳐 시계 방향으로 한바퀴 돌아 아시아 지역으로 되돌아온 뒤에 대마난류(아시아로 돌아왔을 때 동해와 서해로 갈라지는 해류)를 타고 제주도와 한반도로 유입된다. 이렇게 되기까지의 소요기간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린다. 학계에서는 약 200일 뒤 제주 해안에 이를 것이라는 관측이 있으며 4~5년이 소요된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지난 7월 1일(토) 시드니 도심, 일본영사관 앞에 모인 한인동포와 호주 현지 시민단체 회원 및 정계 인사들. 이들은 한결같은 목소리로 일본정부의 핵오염수 바다 투기를 비난하며 이 계획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사진 : 김지환 기자 / The Korean Herald
이런 가운데 독일 킬대학 헬름흘츠 해양연구소는 지난 2020년 10월, 핵오염수가 바다에 방류될 경우 200일 만에 제주도 해안지역에, 280일 후에는 동해에 이른다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공개한 바 있다. 앞서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2020년 8월, 해양에 방류된 핵오염수는 동중국해로 퍼진 뒤 1년 안에 동해로 유입될 것이라는 분석을 발표했으며 후쿠시마대학은 방류된 오염수가 220일 내 제주도, 400일 내 동해에 도달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현재 한국 내에서는 일본의 이 만행을 저지해야 한다는 민간단체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호주사회에서는 이 문제가 핵심으로 부상하지는 않았지만 점차 핵오염수의 해양 방류, 이로 인한 심각한 바다 생태계 훼손 및 수산물 오염 문제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 7월 1일(토) 오후 2시, 시드니 도심 일본총영사관 앞에는 약 100명의 동포 및 호주 현지 환경단체, 정계 인사들이 모여 일본 정부의 핵오염수 방류에 대한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시드니 기반 동포 사회단체 시드니촛불행동(대표 모니카 김) 주관으로 시드니 평화의 소녀상 연대, 416 세월호를 기억하는 시드니 행동, 시드니풍물패 필굿, 힐스촛불, 호주한인교육문화센터, 세계한민족여성네트워크 호주, KCC청소년교실 및 일부 한인단체, 호주 현지의 대표적 진보단체 가운데 하나인 Socialist Alliance와 Green Left, IPAN(Independent and peaceful Australia Network) 그리고 녹색당(Green party), 노동당 현직 정계 인사들이 참여한 연대 시위였다.
이날 NSW 녹색당 케이트 패어만(Cate Faehrmann) 의원, IPAN의 닉 딘(Nick Dean) NSW 공동대표, 카슬힐 장로교회 한준희 목사, 은퇴과학자이자 환경운동가인 코랄 윈터(Coral Wynter) 박사, 제임스 미란다(James Miranda) 전기노조 정책자문위원 등은 한결같은 목소리로 핵오염수의 위험을 경고하면서 일본 정부의 해양 방류 결정 철회를 촉구했다. 또 호주 비핵동맹인 ‘Australian Nuclear Free Alliance’도 연대 메시지(시드니촛불행동 백시현 대변인 대독)를 통해 일본의 핵오염수 처리 방식을 비난했다.
특히 NSW 녹색당의 패어만 의원은 NSW 의회 다음 회기에 맞춰 일본의 핵오염수 금지 결의안을 제기하겠다고 밝혀 참석자들의 박수를 받았다.
이날 시위에서 시드니촛불행동 모니카 김 대표는 “후쿠시마 오염수로 인한 피해를 과연 누가 책임져야 하는가? 일본 정부인가, 아니면 태평양의 모든 생명체와 바다에서 생계를 유지하는 어민들인가?”라며 “한국정부는 지금처럼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투기를 용인하는 태도를 버리고, 이를 저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시위에 참석한 NSW 녹색당 케이트 패어만(Cate Faehrmann. 사진) 의원은 핵오염수의 바다 투기 위험성을 언급하며 다음 NSW 의회 회기 때 이를 금지하는 결의안을 상정하겠다고 밝혔다. 사진 : 김지환 기자 / The Korean Herald
이어 “우리는 지구와 생태계를 망치는 방사성 오염수 투기 계획을 반대하며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를 막기 위해 끝까지 연대하고 투쟁할 것”임을 밝힌 뒤 일본 정부를 향해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 강력 반대 ▲지구와 바다를 망치는 방사성 오염수 투기 계획 중단 ▲육상 장기 보관 등의 해법 마련을, 한국 정부에 대해서는 ▲오염수 해양투기를 막기 위해 국제 해양법 재판소에 일본 정부를 즉각 제소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시위에 참석한 한 동포는 “일본과 가장 인접한 한국은 일본의 핵오염수 방류를 가장 앞장서 저지해야 하고 또 그럴 명분이 있음에도 정부는 ‘괜찮다’는 타령만 하고 있다”며 한국 정부의 무대책을 강하게 비난했다.
■ 해양 생태계, 왜 중요한가
바다는 지구의 심장으로 불린다. 지구 표면의 약 3분의 2는 물로 덮여 있는데, 바로 이 바다에서 지구의 산소 70% 이상을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오늘날 전 세계가 우려하는 기후변화와 바다 사이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바다는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상당 부분의 열을 흡수한다. 또한 엄청난 양의 물을 대기로 증발시킨 뒤 비를 만들어 대지로 내려준다. 이렇게 비와 가뭄을 조절해주는 것이다.
일본정부가 후쿠시마 핵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한다고 하여 이 같은 바다의 역할이 큰 타격을 받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이 바다를 건강하게 만드는 생태계 영향이다. 해양생태계라고 하면 바다에서 삶을 이어가는 다양한 생물학적 요소들, 그리고 해수온도, 깊이, 해안과의 거리 등 비생물학적 요소를 포함한다.
지난 100년간 전 세계적으로 바다 온도는 0.67도가 상승했다. 기후변화에 의한 것이다. 만약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면 바다 산소가 줄어들고 염분 농도가 높아져 어종 분포, 어획량, 생채학적 변동이 생겨나게 된다. 이에 따라 일부 바다 생물은 서식지를 옮기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생물종 및 개체수는 급격히 줄어들게 마련이다. 이는 결국 인류의 중요한 먹거리인 수산업의 타격으로 이어진다.
기후변화로 인한 바다 생태계 위험에다 핵오염수가 가세한다면 그 상황은 더욱 끔찍해진다. 일본이 방류한 후쿠시마 핵오염수는 결코 일본 해역에만 머물지 않는다. 또 그것이 곧바로 희석되는 것도 아니다. 이론상으로는 수년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수십, 수백 년이 지나야 할 수도 있다.
여러 환경적 문제와 함께 가장 피부로 와 닿는 것이 바다 먹거리이다. 지난 2018년 공개된 한 연구에 따르면 양식 및 포획 어업을 합해 전 세계 인구가 소비한 해양 먹거리는 전체 식량자원 가운데 15.3%를 차지한다. 또 다른 자료는 오늘날 전 세계 10억 명의 사람들이 주요 단백질 공급원으로 생선과 해산물에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호주를 보면, 2019-20 회계연도 어업 및 해산물 양식 생산의 총 가치는 31억5,000만 달러였다. 결코 적지 않은 비중이다. 한국의 대표적 환경운동 단체인 환경운동연합이 5월 발표한 자체 설문조사에 따르면, 핵오염수 해양투기가 시작될 경우 수산물 소비량을 줄이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72.3%에 달했다.
핵오염수 방류가 당장 타격을 주지는 않더라도 오래도록, 어쩌면 현재의 바다생물 생태계를 전혀 다른 형태로 만들어버릴 수도 있다. 또한 이는 해양 레크리에이션, 관광산업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지금, 핵오염수 바다 투기에 대한 각국 환경기구와 민간 사회단체들의 ‘우려’가 단순한 수준의 ‘우려’가 아님은 이 때문일 것이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