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태권도의 대부 이정남 회장 所天 이민사회 '교민장'으로 장례 진행

일요시사

오클랜드 한인회관에서는 5월10일(수) 오전11시 Purewa Cemetery (100 St John's Road Meadowbank) 에서 호남향우회 원로이신 이정남 회장의 영결식이 있었다. 영결식은 1부와 2부로 나누어 진행되었는데, 1부는 교회장으로 Cemetery에서 진행되었으며,  2부 환송식은 오클랜드 한인회관(5 Argus Place, Hillcrest, North Shore)에서 오후 1시에 진행됐다. 변덕스런 날씨 상황에서도 약 100여명의 많은 교민이 참석했으며, 각 모임의 단체장들 역시 각 협회를 대표해 참석하여 고인을 애도했다. 

 

고 이정남 회장은 1975년 남태평양의 보석과도 같은 나라 뉴질랜드 교민 이민자1세로서 약 48년동안 한국인을 대표하여 태권도를 전국에 보급한 일등공신이다. 이 회장은 태권도의 황무지인 뉴지랜드에서 정부의 주요인사, 경찰, 기관원들로부터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전국에 태권도장 을 설립하여 우리나라의 국기인 “태권도” 보급에 앞장서왔으며, 뉴질랜드에서는 최고의 존칭인 “Great Master Lee”로 불리기도 했다. 

 

고 이정남 회장은 1936년생으로 전남 광주에서 출생하였으며, 1966년도에 베트남 전쟁에 태권도(9단) 교관으로 참전하였고, 1975년 뉴질랜드로 이민을 와 체육대학교 를 세워 여러학부중에 태권도 학과를 만들어 후배양성에 힘쓰기도 했다. 이 후 뉴질랜드 태권도 협회와 한인회, 재뉴 대한체육회, 향 군인회 등의 회장을 역임하며 뉴질랜드 한인 사회에 봉사와 많은 업적으로 한국인의 위상을 빛냈다. 

 

이날 환송식 예배는 10명의 장례추진위원(정영남,이애련,백효순,권우철,

강미애,공재형,구만옥,백영호,박세태,이관옥)이 준비했으며, 오클랜드 “호남향우회” (정영남회장)가 주관했으며, 뉴질랜드 태권도 협회, 재향군인회,오클랜드 대한체육회등이 협력하여 장례를 집행했다. 각 단체에서 2명씩 자진하여 운구행렬에 동참했으며, 고 이 회장의 공적과 양력이 장례에 참석한 참석자 들에 의해 추억으로 회자되기도 했다. 

 

차정향 기자

 

3719ab8b094f461a4830d52690e3d7ec_1684200471_188784.JPG
3719ab8b094f461a4830d52690e3d7ec_1684200471_689343.JPG
3719ab8b094f461a4830d52690e3d7ec_1684200471_856861.JPG
3719ab8b094f461a4830d52690e3d7ec_1684200481_513503.jpg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203 호주 재외선거인 등록했다가 이후 국적 상실 또는 주민등록을 했다면...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
3202 호주 마이클 린드만 작가, 제10회 ‘한호예술재단 미술공모’ 상금 2만 달러 차지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3201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5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3200 호주 “문학 꽃잎 다섯 장 모여 무궁화 꽃마당 활짝 피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3199 호주 “22대 대한민국 총선 참여로 호주 재외국민 목소리 보여줄 때...”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3198 호주 호주 주요 정-재계 인사들, 하이스쿨 여학생들과 ‘커리어’ 공유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3197 호주 “장애를 가진 이들 또한 우리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이자 함께 하는 이웃...”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3196 호주 평통 호주협의회, 청년 자문위원 대상의 ‘통일 불씨 캠프’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3195 호주 ‘저버리지 못할 약속이여!’... 동포 청년들, 조국 위한 선열들 희생 추모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3194 호주 “세대를 아우르는 음악적 감동...” 두 번째 청소년 음악 콩쿨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3193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제22대 국회의원 재외선거 ‘국외부재자 신고’ 접수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3192 호주 ‘함께 하는 모두의 한인회’ 목표... 34대 시드니한인회 출범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3191 호주 “방한 연수로 한국 알았고, 보다 큰 세계를 보는 계기 됐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3190 호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PowerhouseLate’ 프로그램 통해 ‘한국문화’ 소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3189 호주 이민 칼럼- 호주 취업이민, ‘골품제’의 저주가 풀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3188 호주 서울 뉴욕 베이징의 신진작가들, ‘디아스포라 예술’의 다양성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3187 호주 시드니총영사관-Multicultural NSW, ‘다문화 보조금’ 설명회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3186 호주 호주 현지 한국어 과정 중등부 학생 대상, ‘한국어 말하기’ 대회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3185 호주 민간 복지단체 CASS, ‘지역사회 예방접종 인식 확대’ 프로그램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3184 호주 ‘시드니재외선거관리위원회’, 총선 앞두고 호주 재외국민 선거업무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