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tax return 1).jpg

올 회계연도 세금환급액은 지난 해 신고 때와 달리 더 적을 수 있다. 이는 여러 요인이 있을 수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저소득 및 중간소득자의 세금상쇄(low and middle income earner tax offsets)가 중단된 때문일 것이다. 사진 : Pexels / Andrea Piacquadio

 

국세청 신고서 제출 기한은 10월 31일... ATO, “완벽한 서류준비 후 신고” 당부

 

새 회계연도가 시작됨에 따라 모든 사업자 및 근로자는 오는 10월 31일까지 세금신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앞으로 몇 주, 또는 몇 개월 이내 세금을 납부하고 전년도 환급을 준비하는 이들은 약 1,400만 명에 이른다.

이런 가운데 세금 환급 관계자들은 너무 서두르지 말 것을 조언한다. 국세청(Australian Taxation Office. ATO) 또한 납세자들에게 모든 준비가 되었을 때 신고서를 제출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2023-24년도에는 일부 변화가 있다. 이에 따라 이전과 달리 세금 환급액이 더 낮아질 수도 있다.

 

■ 세금환급 청구

세금환급을 청구하려면 먼저 시금신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여기에는 세 가지 방법이 있다.

 

▲ myTax 온라인 등록

: 이 옵션은 myTax 계정을 통해 신고서를 제출하는 것으로, 이 신청의 대부분은 2주 이내 처리된다.

 

▲ 등록 회계사를 통한 신청서 접수 : 전문 회계사(세무사)가 고객의 세무 신고서를 작성해 접수하는 것으로, 수수료가 발생하지만 이 수수료는 내년도 세금신고에서 환급받을 수 있다.

 

▲ 신고서 직접 제출 : 세금신고서 양식을 직접 작성하여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신청한 환급은 대개는 영업일을 기준으로 50일 이내 이루어진다.

 

■ 세금신고서 제출 마감

2022-23 회계연도 세금신고는 10월 31일(화)까지 해야 한다. 등록된 회계사가 대신하여 제출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특별 제출 일정이 있으며, 이 마감기한 이후에도 제출할 수 있다.

하지만 회계사를 통해 신고를 하는 경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10월 31일 이전에 해야 한다.

 

■ 세금신고서 제출

새 회계연도가 시작된 7월 1일부터 10월 31일 이전까지 언제든 세금신고서를 제출할 수 있다. 다만 ATO는 너무 서두르는 경우 자칫 실수를 할 수도 있다고 조언한다. ATO 팀 로(Tim Loh) 부청장은 “7월 중에 신고서가 제출되는 경우 중요한 내용이 누락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회사 고용주, 은행, 정부기관 및 의료기금 등에서 제공되는 대부분의 세금신고 관련 정보가 7월 말까지 자동으로 세금신고서에 입력될 수 있다. 이 신고서에 추가할 수 있는 내용을 누락하게 되면 처리 기간이 길어지고 결국 더 많은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해 ATO는 세금신고와 관련된 모든 내용이 준비될 때까지, 서두르지 않은 게 좋다고 권고한다.

 

■ 2023년 세금환급액이 낮은 이유

ATO에 따르면 신고자가 환급받는 액수는 지난 몇 년간의 사례와 비교해 낮은 수 있다. 이유는 ▲ 신고자의 환급액이 신고자가 갖고 있는 다른 부채와 상쇄되었을 수 있고, ▲ 세금계산서의 내용과 미리 입력한 정보 데이터가 다를 수 있으며, ▲ 신고자의 소득 및 공제액이 작년과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저소득 및 중간소득자의 세금상쇄(low and middle income earner tax offsets. LMITO)가 중단되었다는 데 있을 것이다.

지난 2018-19년도 예산 계획 당시 도입된 LMITO는 연 소득 3만7,000달러에서 12만6,000달러 사이인 사람들에게 소득에 따라 최대 1,500달러의 세금 혜택을 제공했다. 소득이 4만1달러에서 9만 달러 사이의 경우에는 1,500달러 전액을 상쇄받았다.

 

종합(tax return 2).jpg

세금환급을 신청하는 경우 신고할 모든 내용이 확보된 뒤 신청서를 제출하는 것이 좋다. 사진 : ABC 방송 ‘The Business’ 프로그램 화면 캡쳐

   

ATO는 2020-21 회계연도에 1천만 명 이상의 납세자가 LMITO를 청구한 것으로 보고했다. 이것이 지난 2022년 6월 30일로 중단되면서 납세자 입장에서 ‘좋은 날’은 지나간 셈이다.

때문에 지난해 환급액과 비교해 약 1,500달러가 적다면 이는 LMITO 중단이 요인일 수 있다.

 

■ 세금환급 청구 가능한 부문

세금신고서를 제출하면서 환급을 청구할 수 있는 많은 부분의 업무 및 비업무 관련 비용이 있다. 이런 부문의 세금공제를 신청하려면 해당 기록이 필요하다.

다만 ATO는 전체 업무 비용이 300달러 이하인 경우에는 이 기록을 제출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한다. 이 공제에 포함될 수 있는 부문은 다음과 같다.

 

▲ 자동차, 교통 또는 여행경비 : 업무를 위해 발생하는 모든 여행 관련 비용이다. 2022년 7월 1일부터 km당 센트 요율이 78센트로 인상되었다는 것을 기억하는 게 좋다. 또는 매일의 일지로 기록해둘 수도 있다.

 

▲ 재택근무 비용 : Working from home(WFH)에 대한 비용청구 방식이 올해부터 약간 변경됐다. 고정요율 방식을 사용하면 WFH 시간당 67센트를 청구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청구서 및 영수증을 기준으로 지출한 금액을 정확히 신청하는 게 가능하다.

 

▲ 업무를 위한 도구, 컴퓨터 등의 항목 : 전화, 인터넷 연결 비용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매우 광범위한 범주이다.

 

▲ 교육, 훈련 및 세미나 : 신청자가 업무와 관련하여 이수해야 했던 모든 과정에 적용된다.

 

▲ 멤버십, 인가, 수수료 및 커미션 : 노동조합비, 전문가 멤버십, 에이전시 수수료 등이 이에 해당된다.

 

▲ 식사, 접대 및 이벤트 : 이 부문에서는 청구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이 분명하며, 대부분 초과근무 중 구입한 식사와 관련이 있다.

 

▲ 개인적인 몸단장, 건강 및 피트니스 : 매우 엄격한 범주이다. 업무를 위해 받아야 했을 수 있는 모든 의무적 의료 평가, 업무 목적으로 실시한 COVID-19 검사 비용을 지불한 경우 등에 적용된다.

 

▲ 선물 및 기부금 : 대부분의 선물 및 기부금은 공제가 가능하나 공제 대상 자격을 가진 단체에 제공한 것이어야 한다. 여기에는 소셜미디어 모금 행사, 크라우드 펀딩에 대한 모든 기부가 포함된다. 또 공제를 신청하려면 기부 기록이 있어야 한다.

 

▲ 투자, 보험 및 연금 : 투자가 있는 경우, 청구할 수 있는 특정 수수료가 있다. 개인연금 기부금을 낸 경우에도 공제를 청구할 수 있지만 주의해야 할 사항도 있다.

 

▲ 세무관리 비용 : 지난해 세금신고를 하면서 회계사(세무사)를 고용했다면 그 비용을 이번 연도 세금신고에서 청구할 수 있다. 다만 청구 가능한 항목 및 불가능한 항목에 대한 엄격한 규정이 있다. 따라서 세금신고서를 작성하기 전, ATO 웹사이트에서 상세한 내용을 확인하는 게 좋다.

 

■ 세금환급 소요 기간

환급 소요기간은 영업일을 기준으로 평균 2주에서 50일이다. 이는 세금신고서를 제출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balancing account’는 무엇?

세금신고서를 제출한 후 온라인상에서 환급 상태를 확인할 때 ‘balancing account’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이는 ATO가 신고자의 환급 결과를 갖고 있으며 신고자의 계정 잔액을 기준으로 환급 또는 청구서를 계산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tax return 1).jpg (File Size:56.4KB/Download:15)
  2. 종합(tax return 2).jpg (File Size:103.7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01 뉴질랜드 강창희 국회의장 주최 동포 초청 간담회 굿데이뉴질랜.. 14.03.11.
6800 뉴질랜드 더니든 남성 99글자짜리 이름으로 개명 성공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9 뉴질랜드 주오클랜드분관 청사 이전 안내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8 뉴질랜드 2014 한인의날 Korean Day 안내 (3월 15일)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7 뉴질랜드 제34회 한국어능력시험(TOPIK) 대비 오리엔테이션 및 문제해설 특강 (4주)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6 뉴질랜드 총선 끝난 후 ‘뉴질랜드 국기 교체 여부’ 국민투표 굿데이뉴질랜.. 14.03.12.
6795 뉴질랜드 청소년 백일장 우리말 글쓰기 예선 합격자 굿데이뉴질랜.. 14.03.13.
6794 뉴질랜드 A형 간염 주의보 ‘감염자 접촉 사과, 복숭아 리콜’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3 뉴질랜드 대한민국 하키 여자국가대표팀, 뉴질랜드 하키 여자국가대표팀과 공식 경기 예정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2 뉴질랜드 다음 정권은 9월 20일에 결판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1 뉴질랜드 기업체, 고유식별번호로 통합 관리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0 뉴질랜드 뉴질랜드, OECD중 단연 경제 성장률 높아 굿데이뉴질랜.. 14.03.18.
6789 뉴질랜드 웰링턴 박지관 교수, 여왕메달(QSM) 수여 굿데이뉴질랜.. 14.03.18.
6788 호주 시드니 대학들, 건물 증축에 수십억 달러 쏟아 부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7 호주 호주, 아동빈곤 늘어나고 자선단체 기부도 줄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6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총기 사건, 공원 주차장서 또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5 호주 NSW 주 재무장관, “경제 성장의 강한 탄력 확신...”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4 호주 총기공격 사건 수사 경찰, 펀치볼서 총기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3 호주 코만체로 조직원 총기살해 사건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2 호주 호주의 ‘Generation Y’, 그들의 젊음과 불안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1 호주 한류의 또 다른 바람 ‘한국의 후라이드 치킨’ file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0 뉴질랜드 2014 오클랜드 한인의 날 성공리에 개최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9 뉴질랜드 외국인 주택매매중 1/4은 중국인이 사들였다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8 뉴질랜드 뉴질랜드 낮은 실업률, 고용시장 안정화 국면 file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7 뉴질랜드 뉴질랜드 경제 상승곡선위에서 주춤주춤 굿데이뉴질랜.. 14.03.24.
6776 뉴질랜드 교육부, 학생성적에 따라 학교운영비 지원 추진 굿데이뉴질랜.. 14.03.24.
6775 호주 한국, 호주·오만·쿠웨이트와 조별리그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4 호주 메디뱅크 매각 추진..주식 공모 방식, 40억불 가치 추산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3 호주 “홈론 대출기준 완화하지 말라”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2 호주 한국인 박씨, 파경으로 약혼 비자 만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1 호주 권혜승 '나비부인' 데뷔로 올해 시즌 개막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0 호주 애보트 총리 “첫 방한 고대하고 있다”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69 뉴질랜드 혹스베이지역 돼지독감 발생, 주의보 발령 굿데이뉴질랜.. 14.03.28.
6768 뉴질랜드 한-뉴질랜드 경제공동위, 양국간 협력 강화 합의 굿데이뉴질랜.. 14.03.28.
6767 호주 72억불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약 완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6 호주 2000년 이후 이민자 설문조사 3%만 긍정 평가, 40% “1년간 차별 경험”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5 호주 송 한인회장, 스트라스필드시에 건의안 제출 계획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4 호주 애보트 총리, 영국 왕실 작위 부활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3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2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1 호주 AFC 아시안컵축구, 북한 중국 우즈베키스탄 C조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0 호주 애보트 총리 “봉쇄 작전 큰 효과” 선언 file 호주동아일보 14.03.31.
6759 호주 합참의장 출신.. 애보트 총리 측근 file 호주동아일보 14.03.31.
6758 호주 2.5%.. 호주달러 미화 93센트 육박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1.
6757 뉴질랜드 국민 3분의 1 "수입 격차 점점 벌어지고 있다" file 굿데이뉴질랜.. 14.04.02.
6756 호주 여야, 군소정당 총력전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5 호주 바이키단체 변호사 ‘명예훼손’ 보상 청구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4 호주 스트라스필드시 연방, 주정부 입장 청취 후 처리 방침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3 호주 BP, 필립모리스 "호주 생산 중단" 발표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2 뉴질랜드 유아교육은 뉴질랜드가 미국보다 앞서 굿데이뉴질랜.. 14.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