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Passport power 1).jpg

런던(London) 기반의 글로벌 이민 컨설팅 회사 ‘Henley & Partners’가 매년 집계하는 올해 ‘Henley Passport Index’ 결과 전 세계 국가 중 여권 파워 최상위는 싱가포르(192개국 무비자)였다. 올해 조사에서 한국은 이전 몇 년간 유지해온 189개국으로 3위였으며 호주는 186개국으로 여섯 번째에 자리했다. 사진 : GUIDE

 

 

싱가포르, 전 세계 최고 ‘Passport power’ 부상... 1위 유지하던 일본, 세 번째로

‘Henley Passport Index’, IATA 데이터 기반 집계... 독일-이탈리아-스페인 2위

 

호주 여권으로 전 세계 국가를 여행할 경우 입국사증(VISA) 없이 방문이 가능한 국가는 186개국이다. 또 한국은 189개국으로 전 세계 두 번째 파워풀 여권 순위를 이어 왔으나 올해 집계에서는 독일 등에 밀려 세 번째에 자리했다.

런던(London) 기반의 글로벌 이민 컨설팅 사로, 전 세계 25개국에 법인을 두고 있는 ‘Henley & Partners’가 지난 2006년부터 조사해 내놓는 ‘Henley Passport Index 2023’ 보고서에 따르면 한동안 선두에 있던 일본(189개국)은 올해 집계에서 3위로 내려앉았으며, 싱가포르가 192개국으로 선두 위치를 차지했다.

올해 여권순위는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uthority’(IATA)가 제공한 자료를 기반으로 집계됐다. Henley and Partners 사의 이 데이터는 각국 여권 소지자가 사전 비자 없이 방문할 수 있는 목적지의 수를 기준으로 전 세계 ‘여권 파워’ 순위를 매긴 것이다.

올해 집계에서 이전에 한국과 나란히 공동 2위를 이어오던 독일과 함께 이탈리아, 스페인이 190개국으로 두 번째에 자리했으며 한국과 같은 순위에는 오스트리아, 핀란드 프랑스, 룩셈부르크, 스웨덴, 일본이 포함되어 있다.

영국(188개국)은 두 단계 올라선 네 번째 순위(아일랜드, 네덜란드와 공동)를 차지했다.

싱가포르 여권의 경우 지난 2021년, 194개국 무비자 입국이 가능해 가장 강력한 여권 파워를 보였으나 지난해 2위로 하락했다가 올해 집계에서 다시 선두에 올랐다. Henley and Partners는 싱가포르의 여권 점수가 25점 상승, 1위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상위 10개국 가운데 미국은 지난 10년 사이 여권파워 지수 점수가 가장 적게 증가했다. 올해 집계에서 미국은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 184개국으로 여덟 번째에 머물러 있다.

이와 관련, 미 코넬대학교(Cornell University) ‘Jacobs Institute’의 그렉 린세이(Greg Lindsay) 도시연구원은 “이 같은 결과의 배경은 간단하다”며 “한국이 일본, 싱가포르에 지속적으로 추월당한 것처럼 가만히 있으면 미국도 뒤처지게 된다”고 말했다.

린세이 연구원은 올해 Henley Passport Index와 관련한 성명에서 “미국의 순위 하락은 당분간 더 높은 순위를 되찾을 가능성이 없어 보이는 캐나다를 비롯해 나머지 영어권 국가들에 대한 경고”라고 말했다.

 

종합(Passport power 2).jpg

‘Henley & Partners’는 이번 보고서와 관련해 “글로벌 연결성과 접근성은 부의 창출과 보존에 있어 강한 여권 파워는 빠뜨릴 수 없는 기능이 되었다”고 강조했다. 사진 : Pixabay / JoshuaWoroniecki

   

워싱턴(Washington) 기반의 미국 국제전략 싱크탱크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의 애니 포르츠하이머(Annie Pforzheimer) 선임연구원 또한 “기업 회의에 파트너를 초대하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관광객이 입국 지연에 직면하는 경우 이는 미국의 ‘소프트웨어 파워’를 약화시키는 일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Henley and Partners 사는 “강한 여권 파워가 국제투자 및 비즈니스 기회와 관련해 상당한 재정적 자유를 제공한다”고 설명하면서 “글로벌 연결성과 접근성은 부의 창출과 보존에 있어 빠뜨릴 수 없는 기능이 되었으며, 그 가치는 지정학적 변동성과 지역 불안정성이 증가할 때에만 커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Powerful’ 여권 순위

1 Singapore : 192개국

2 Germany : 190

2 Italy : 190

2 Spain : 190

3 South Korea : 189

3 Austria : 189

3 Finland : 189

3 France : 189

3 Japan : 189

3 Luxembourg : 189

3 Sweden : 189

4 Denmark : 188

4 Ireland : 188

4 Netherlands : 188

4 United Kingdom : 188

5 Belgium : 187

5 Czech Republic : 187

5 Malta : 187

5 New Zealand : 187

5 Norway : 187

5 Portugal : 187

5 Switzerland : 187

6 Australia : 186

6 Hungary : 186

6 Poland : 186

7 Canada : 185

7 Greece : 185

8 Lithuania : 184

8 United States : 184

9 Latvia : 183

9 Slovakia : 183

9 Slovenia : 183

10 Estonia : 182

10 Iceland : 182

Source: Henley and Partners Created with Datawrapper

 

■ ‘Powerless’ 여권 순위

104 Afghanistan : 27

103 Iraq : 29

102 Syria : 30

101 Pakistan : 33

100 Yemen : 35

100 Somalia : 35

99 Palestinian Territory : 38

99 Nepal : 38

98 North Korea : 39

97 Bangladesh : 40

Source: Henley and Partners Created with Datawrapper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Passport power 1).jpg (File Size:118.9KB/Download:15)
  2. 종합(Passport power 2).jpg (File Size:64.3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01 호주 알바니스 총리, 차기 호주 총독에 법조인 겸 사업가 사만타 모스틴 지명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800 호주 NSW 운전자 대상, 도로 통행료 환급신청 접수 시작... 클레임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9 호주 연방정부, 5월 예산 계획에서 가계 재정부담 완화 방안 제시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8 호주 유닛을 구입하고 투자 이익까지 얻을 수 있는 주요 도시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7 호주 새로 적용된 학생비자 입안자, ‘노동당 정부의 대학 단속’으로 악용?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6 호주 심각한 주택부족 상황 불구, 시드니 지역 ‘빈 집’ 2만 가구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5 호주 시드니 전역 유명 사립학교 학부모가 되기 위한 ‘대기자 명단 전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4 호주 ‘Hambledon Cottage’ 200년 주년... 파라마타 시, 관련 기념행사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3 호주 ‘주택위기’ 해결의 또 하나의 어려움, ‘baby boomers의 고령화’?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2 호주 파라마타 시, ‘Arthur Phillip Park’ 재개장 기해 야외 영화 상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1 호주 계속된 생활비 부담 속, 수백 만 명의 호주인 저축액 1천 달러 미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0 호주 Express. Empower. Get Loud!... CB City, ‘청년주간’ 행사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89 호주 팬데믹 이후 호주 인구 ‘급증’ 속, 가장 큰 영향 받는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8 호주 투자 부문의 최고 ‘인플루언서’, “고령화 위기 대비하려면 호주 본받아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7 호주 주택을 구입할 때 침실 하나를 추가하려면 얼마의 급여가 필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6 호주 ‘디지털 노마드’의 세계적 확산 추세 따라 해당 비자 제공 국가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5 호주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대학원 과정은 ‘건강’ 및 관련 분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4 호주 늘어나는 신용카드 사기... 지난해 호주인 손실, 22억 달러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3 호주 월별 CPI 지표, 3개월 연속 3.4% 기록... “하향 추세 판단, 아직 이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2 호주 주택시장, ‘인상적 성장세’ 지속... 1년 사이 중간가격 6만3,000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1 호주 보험-금융 서비스 가격 상승 속, Private health insurance 3% 이상 인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0 호주 호주 각 학교 교장들, ‘최악’ 수준의 신체적 폭력-협박에 시달려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79 호주 ‘P-plate’ 상태의 자녀 ‘안전’ 고려한다면, 자동차를 사 주는 대신...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78 호주 계속되는 가계 재정 부담 속, 수백 만 명의 호주인이 ‘부업’ 찾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77 호주 생활비 압박 지속... 정부, 물가상승률에 맞춰 최저임금 인상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6 호주 순 해외이민자 유입-자연 증가로 호주 인구, 곧 2천700만 도달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5 호주 Minns-Perrottet 현직 및 전직 NSW 주 총리, ‘McKinnon Prize’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4 호주 정부, 비시민권자 대상으로 보다 수월한 ‘강제추방’ 가능한 법안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3 호주 주택 1sqm 당 프리미엄 가장 높은 광역시드니 교외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2 호주 할리우드 스타덤의 화려했던 순간, 그 기억을 간직한 영화 촬영 여행지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1 호주 자동차 절도-파손 및 가택침입 등 전국에서 ‘household crime’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0 호주 ‘충격적’ 일자리 급증... 실업률, 지난해 9월 이전의 낮은 수준으로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9 호주 World Happiness Report... 호주인 ‘행복감’, 상위 10위에 올랐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8 호주 호주 당국, 프랑스 방문 여행자들에게 ‘높은 수준의 주의’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7 호주 COVID-19 전염병 대유행으로 전 세계 기대수명, 1.6년 감소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6 호주 “유아기의 스크린 시청 시간, 부모와의 상호 언어형성 기회 빼앗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5 호주 ChatGPT-기타 인공지능 활용한 고등교육 부문의 부정행위 ‘극성’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4 호주 시니어 대상 pension 및 Jobseeker payments 등 복지수당 인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63 호주 NSW 예산계획, “바람직한 사회적 결과-투명성 향상에 목표 둘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62 호주 올들어 두 번째의 RBA 통화정책 회의, 이자율 4.35% 유지 결정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61 호주 2023년 NSW-VIC-QLD 주의 매매 부동산 4개 중 1개는 ‘현금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60 호주 tap-and-go 확대... 호주인들, 신용카드 수수료로 연간 10억 달러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9 호주 주택 부족 심화... 부동산 가격, ‘적정 가치’에 비해 얼마나 치솟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8 호주 “화석연료 산업에 보조금 지급하면서 대학 학업에는 비용 청구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7 호주 NSW 교육부 장관, 주 전역 공립학교서 ‘영재교육 프로그램’ 제공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6 호주 연방정부의 새 이민전략 이후 주요 대학 국제학생 입학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5 호주 대다수 전문가들이 우려했던 ‘long COVID’,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4 호주 2024 럭비 시즌... CB City의 그린키퍼, ‘Bulldog’ 홈구장 관리 ‘만전’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3 호주 부유한 은퇴 고령자들, ‘Aged Care’ 비용 더 지불해야 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6752 호주 최대 220만 명 ‘기본 권리’ 변경 위한 ‘Work-from-home’ 논쟁 본격화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