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9일, 베트남 국가임금위원회는 기업 부문의 노동자들에게 2024년 지역 최저임금 인상을 제안하기 위한 첫 회의를 가질 것이다.

베트남 노동 조합 연구소에서 근로자 6,200명 이상을 대상으로 2022년 노동자의 생활, 소득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산업단지 내 노동자의 근무시간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노동자의 정상 근무시간은 하루 8시간에서 하루 7.25시간으로 단축되고 잔업도 하지 않는다. 근무 시간이 감소하면 소득 수준도 감소하여 1인당 590만동/개월에 불과한다.

한달에 급여와 급여 수당을 포함한 총 수입은 약 874만동이지만 생활 지출은 1,030만동이다. 즉, 소득수준은 지출의 84%에 불과하여 생활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고용과 소득의 어려움으로 인해 18%의 노동력이 사회 보험을 탈퇴하려고 한 적이 있었다.

이 조사에서는 42%의 노동자가 거주지가 없다. 또 59%는 한 푼의 적립금이 없으며 11.7%는 적립금이 있지만 1개월 미만으로 유지되고 12.7%는 적립금이 3개월 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노동자의 삶이 극도로 힘들다는 것을 반영하였다.

베트남 노동총연맹은 정부에게 2024년 최저 임금 조정을 제안하기 위해 그동안 노동자의 생활, 요구 및 희망에 대해 조사하였다. 베트남 노동조합 Ngo Duy Hieu 부총재는 "대부분의 노동력은 실제 생활에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내년 초에 최저임금을 늘리기를 원한다"고 보고하였다.

한편, 많은 기업들, 특히 경기침체로 인한 수주 양을 삼각되는 기업들은 현재 임금을 그대로 유지하기를 바란다고 말하였다.

베트남 산업무역연맹(VCCI) 황 꽝 방(Hoàng Quang Phòng) 부회장은 기업이 현재의 임금을 유지하는 것은 엄청난 노력이라고 말하였다. "향후 이사회는 기업의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적절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상세하고 구체적인 권고안을 제시할 것이다. 기업의 활동을 유지하는 것은 일자리가 창출되는 것이다. 노동자들은 최소한의 소득을 받는 것이 직업이 없는 것보다 낫다"고 덧붙였다.

구체적인 인상폭에 대해 2022년처럼 증가폭 6%가 안 되며 노동자의 삶을 보장할 수 있도록 2024년부터 증가폭 4~5%도 안된다"고 주장하였다. 또 현재 베트남 노동자의 최저임금은 지역 국가들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장기적으로 값싼 노동력으로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노동자의 높은 기술수준으로 투자 유치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하였다.

노동부 Nguyen Thi Lan Huong 연구소장에 따르면 시장에서 벗어나는 기업의 수가 많고 경제의 회복세도 되지 않아 내년 상반기에 최저임금을 증가시켜서는 안된다고 하였다. Huong 씨는 "현재 대부분의 기업이 최저임금보다 높은 급여를 지급하기 때문에 매년 임금을 인상해야 하는 것은 필요없다”고 말하였다. 임금을 많이 인상하면 기업이 견디지 못해 더 많은 노동력을 감축해야 할 수 있다.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는 계속 증가할 것이다.

이 노동전문가는 또한 매년 임금을 인상하는 대신 국가와 기업이 노동생산성 증대, 수주 증가, 기술혁신, 원자력 발전을 위한 더 많은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하였다. 그러면 노동자들의 수입도 증가할 것이다.

https://thanhnien.vn/tang-hay-khong-tang-luong-toi-thieu-vung-2024-185230808015545028.html

라이프 플라자 인턴 기자 - Hà Vy (하비) 번역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002 몽골 [몽골 특파원] 제10회 민초해외문학상 시상식, 캐나다 캘거리에서 성료 file GWBizNews 17.11.10.
3001 몽골 [현장] 제4회 2017 몽골 현지 대학 한국어학과 간 친선 체육대회 file GWBizNews 17.11.11.
3000 필리핀 문재인 대통령, ASEAN+3 정상회의 관련 필리핀 방문 file 마닐라서울 17.11.13.
2999 필리핀 필리핀 재향군인회, 향군의 날 기념 행사 file 마닐라서울 17.11.13.
2998 필리핀 2017 Korea-Philippines/ Korea-ASEAN Partnership Forum 성황리 개최 file 마닐라서울 17.11.13.
2997 몽골 몽골 KCBN-TV, 2017년 해외 한국어 방송 대상 TV 부문 우수상 쾌거 file GWBizNews 17.11.13.
2996 몽골 [몽골 특파원] 남양주토요한글학교, 2017년 9기 졸업식 거행 file GWBizNews 17.11.14.
2995 몽골 KBS월드 한민족 네트워크 몽골 소식 제17탄(2017. 11. 17) file GWBizNews 17.11.18.
2994 몽골 [KBS 한민족 방송 대담] 몽골 후레정보통신대학교 정순훈 총장(2017. 11. 19) file GWBizNews 17.11.20.
2993 몽골 KBS 한민족 하나로 몽골 소식 제49탄(2017. 11. 22) file GWBizNews 17.11.23.
2992 태국 주태국교육원과 펄벅재단이 함께 하는 ‘다문화가정 어머니 나라 방문’ 프로그램 file 태국교민잡지 17.11.24.
2991 필리핀 골드칼라의 시대 “나를 증명하라” file 마닐라서울 17.11.27.
2990 필리핀 ‘Turn Toward Busan’ 추모행사 개최 file 마닐라서울 17.11.27.
2989 필리핀 세계체육연합회, 평창 올림픽 성공기원 후원 성금 전달 file 마닐라서울 17.11.27.
2988 필리핀 필리핀 한인안전을 위한 제21차 한인사건종합대책회의(QJCM) 개최 file 마닐라서울 17.11.27.
2987 필리핀 경찰청, 한-필리핀 경찰청장 회담 개최, 교민보호 및 양국 치안협력 발전방안 등 협의 file 마닐라서울 17.11.27.
2986 몽골 오송 주몽골 대사, 몽골인문대학교(UHM) 재학생 대상 특강 진행 file GWBizNews 17.11.29.
2985 몽골 몽골한인상공회의소(KCCIM), 2017년 송년의 밤 개최 file GWBizNews 17.12.03.
2984 캄보디아 캄보디아, 알고 떠나자! 씨엠립을 여행하는 법 프랑스존 17.12.04.
2983 일본 J리거 김보경-윤석영, 장애 청소년 꿈 키웠다 file 뉴스로_USA 17.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