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vernor_John_Kasich.jpg

www.en.wikipedia.org

 

 

도날드 트럼프로 수심이 깊은 공화당의 대안(代案)으로 존 케이식(64)이 떠오르고 있다.

 

최근 케이식은 전국 여론조사에서 공화당 후보가 될 경우 민주당의 유력주자 힐러리 클린턴을 이긴다는 결과가 나왔다. 당의 정체성을 뒤흔드는 '이단아' 트럼프의 선두질주에 당혹한 공화당 지도부는 2위를 달리는 테드 크루즈에 힘을 실어주려 하지만 본선의 경쟁력에서 케이식만한 대안이 없다는 여론도 힘을 받고 있다.

 

경선레이스를 코앞에 둔 지난 1월30일 뉴욕타임스는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을 공식 지지했다. 같은 날 공화당 후보중 뉴욕타임스가 지지한 주인공이 바로 오하이오 주지사 존 케이식이었다.

 

당시 타임스는 사설에서 공화당 지지율 1, 2위를 달리는 도날드 트럼프와 테드 크루즈를 함량미달의 후보로 규정했다.

 

트럼프에 대해선 "국가의 안보, 국방, 국제 무역 등의 문제에 관해서는 경험도 없고 관심도 없어 보인다..멕시코(이민)와 중국(무역)에 대한 터무니없는 주장에도 트럼프는 여론조사 1위를 지켰고, 그의 지지자들은 사실관계에 별 신경을 쓰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크루즈는 더 문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헌법의 가치를 수호(守護) 하기 위해 대통령직에 도전하는 것이 아니라 야망이 우선이다. 3년동안 상원의원으로 일하면서 (예산 지원을 거부해) 정부를 마비시키는 데 일조했다. 크루즈는 표가 된다면 어떤 말이든 터뜨리고 보는 인물이다. 더 무서운 것은 한번 내뱉은 말은 어떡하든 꼭 지키려고 애쓴다는 점이다."

 

이에 반해 "지지율과 지명도에서 크게 뒤지지만, 타협과 양보를 통해 정부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이끌 수 있는 케이식은 공화당에서 유일하게 합리적인 후보"라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불법 이민자들도 기회를 줘야 하고, 취약(脆弱) 계층을 지켜줘야 한다"면서 "공화당 연방의원이 의회에서 오바마케어를 무산시키려 할 때, 오하이오 주의회를 장악한 공화당 주의원들을 설득해 더 많은 이들의 의료보험을 위해 130억 달러의 예산을 책정했다"고 소개했다.

 

또한 네거티브 대신 미래와 희망 등 긍정적인 유세를 펼치고 있으며 공화당에서 아주 돋보이는 선택이자 희망적인 전략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타임스는 최근에도 '반 트럼프진영이 케이식을 지지해야 하는 이유'라는 글에서 "여론조사는 케이식이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을 이길 수 있는 유일한 후보라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며 주목했다.

 

유타주지사와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한 마이크 리빗은 "공화당원들은 트럼프의 천박함에 피로감을 느끼고 아마추어적인 대외정책에 질려 있다. 1100만명의 불법이민자 추방을 외치는 크루즈의 비현실적인 공약도 간파하고 있다"고 두 후보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케이식이 펜실베니아에서 트럼프를 3%포인트차로 앞선 여론조사를 전하며 "트럼프를 이길 수 없는 중요한 지역에서 선전하고 있는 케이식은 미국대통령이 정직하고 권위있고 실용적이며 경험있는 사람이 되길 원하는 공화당원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공화당 후보가 오하이오에서 승리하지 못하고 대통령에 당선된 사례는 단 한 번도 없었다는 사실이다.

 

지난달 15일 열린 오하이오 경선에서 케이식은 43%를 획득, 34%의 트럼프를 따돌리고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케이식은 1952년 펜실베니아에서 우체부였던 체코계 아버지와 크로아티아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오하이오 주립대 1학년이던 1970년 당시 리처드 닉슨 대통령에게 미국의 정책에 대한 편지를 보내 20분간 백악관에서 면담 기회를 갖기도 했다.

 

1978년 26세의 나이에 오하이오주 최연소 주상원의원이 된 그는 1982년 첫 연방하원의원이 된 이후 2001년까지 8차례나 연임했다. 이후 폭스뉴스 해설가와 투자금융가 등으로 활약하다 2010년 오하이오 주지사로 정치에 컴백, 연임에 성공했다.

 

뉴욕=노창현기자 newsroh@gmail.com

 

<꼬리뉴스>

 

A Chance to Reset the Republican Race

By THE EDITORIAL BOARDJAN. Jan 30, 2016

 

http://www.nytimes.com/2016/01/31/opinion/sunday/a-chance-to-reset-the-republican-race.html?_r=0

 

  • |
  1. Governor_John_Kasich.jpg (File Size:21.3KB/Download:2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757 캐나다 퀘벡주, 제조업과 건설업 성장으로 경제 부양 file Hancatimes 23.03.20.
8756 캐나다 퀘벡주, SAAQ 시스템 장애 대응 조치 발표 file Hancatimes 23.03.20.
8755 캐나다 연대퀘벡당, ‘애완동물 금지 조항’ 폐지 법안 제출 file Hancatimes 23.03.20.
8754 캐나다 퀘벡 주, 지방 지역의 세젭 활성화를 위해 장학금 제도 신설 file Hancatimes 23.03.20.
8753 캐나다 르고 주 총리, 연방정부에 불법 국경로 폐쇄 및 망명 신청자 이송 거듭 촉구 file Hancatimes 23.03.20.
8752 캐나다 트뤼도 총리, 퀘벡주 농민을 위한 정부 지원 계획 중 file Hancatimes 23.03.20.
8751 캐나다 퀘벡 주, 민간 의료기관의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법안 발표 file Hancatimes 23.03.20.
8750 캐나다 르고 주 총리, 트뤼도 총리에 망명 신청자의 캐나다 입국을 막으라고 촉구 file Hancatimes 23.03.20.
8749 캐나다 주 총리들,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한 걸음”이라며…연방정부의 의료지원 기금 수락 file Hancatimes 23.03.20.
8748 캐나다 퀘벡주 정부, 원주민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 캠페인 시작 file Hancatimes 23.03.20.
8747 미국 플로리다주 의회, '모든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file 코리아위클리.. 23.03.19.
8746 미국 '대선 주자' 디샌티스, 회고록 들고 공화 대선 경선지 순회 file 코리아위클리.. 23.03.19.
8745 미국 플로리다에서 '뇌 먹는 아메바' 감염 사망 발생 file 코리아위클리.. 23.03.19.
8744 미국 플로리다주 의회에 임신 6주 후 낙태 금지 법안 올라 file 코리아위클리.. 23.03.19.
8743 미국 무디스, 미 중소은행 신용등급 하향 검토 나서 file 코리아위클리.. 23.03.19.
8742 미국 미국 장군, 아프리카에 있는 중국 군사기지, 워싱턴에 위협 라이프프라자 23.03.17.
8741 미국 미•중 당국자, 우크라이나 외무장관과 전화 통화 라이프프라자 23.03.17.
8740 캐나다 주정부, 밴쿠버 대중교통 요금 인상 막기 위한 예산 투입 file 밴쿠버중앙일.. 23.03.17.
8739 캐나다 한국 여성, 캐나다 국적 남성과 혼인 좋아 file 밴쿠버중앙일.. 23.03.17.
8738 캐나다 밴쿠버 한인사회 관련 끊임없이 이어지는 보이스피싱 피해 밴쿠버중앙일.. 23.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