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는 백악관 적임자 아니야"

 

뉴욕=민지영기자 newsroh@gmail.com

 

 

1홈페이지 - Copy.jpg

 

 

뉴욕은 과연 누구의 손을 들어줄까.

 

민주당 경선에서 가장 흥미로운 대결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뉴욕 프라이머리를 앞두고 '힐러리 클린턴과 버니 샌더스가 대의원들의 표밭같이를 본격화하고 있다.

 

뉴욕에서 힐러리는 8년간 상원의원을 지냈고 남편 빌 클린턴도 퇴임후 할렘에 사무실을 내는 등 클린턴 가문의 아성으로 통한다. 위스콘신(4월5일)과 와이오밍(4월9일)에 이어 4월19일 경선을 치르는 뉴욕은 247명의 대의원이 걸려 있다.

 

1일 현재 대의원은 힐러리가 1243명, 버니 샌더스 후보가 975명을 확보했고 경선결과에 상관없이 지지후보를 택하는 슈퍼 대의원까지 더하면, 1712명 대 1004명으로 차이가 더욱 벌어진다. 후보로 확정되기 위해선 과반인 2383명의 지지가 필요하다.

 

현실적으로 샌더스의 추격이 어려운 상황이다. 더구나 뉴욕은 힐러리가 8년간 상원의원을 지낸 곳이고 남편 빌 클린턴이 퇴임후 할렘에 사무실을 내는 등 클린턴 가문의 아성(牙城)으로 통한다. 그럼에도 뉴욕이 관심을 모으는 것은 샌더스의 고향이기 때문이다. 샌더스는 브루클린에서 태어나 성장기를 보냈다.

 

지난 주말 3연승 등 6곳의 프라이머리에서 5곳을 승리하는 등 상승세를 타고 있어 뉴욕에서 샌더스 바람을 일으키겠다는 각오로 총력전을 전개하고 있다. 게다가 뉴욕은 월가의 본산이다. 월가의 부도덕한 기업들을 공격하고 개혁을 다짐하는 샌더스로선 여론을 선점할 수 있는 공격거리가 충분하다.

 

지난달 중순 여론조사에선 힐러리가 샌더스에 3배 이상 앞섰지만 격차가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다고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만일 샌더스가 뉴욕에서 승리하는 이변을 연출하거나 선전(善戰)을 한다면 이어 열리는 메릴랜드(118명) 펜실베니아(210명)는 물론, 6월 캘리포니아(546명) 뉴저지(142명)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고 슈퍼대의원들의 마음까지 뺏을 수 있다.

 

샌더스는 1일 뉴욕 최고의 대중지 데일리뉴스를 방문, 편집국장을 비롯한 논설위원들과 45간의 인터뷰를 가졌다. 샌더스는 뉴욕 프라이머리에 앞서 힐러리가 토론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포문(砲門)을 열었다.

 

그는 "뉴욕서 8년간 상원의원을 지낸 정치인이 뉴요커들과 미국의 중요한 문제들을 토론하려고 하지 않는 것은 상상하기 힘든 일이다"라면서 "힐러리는 백악관의 적임자가 아니다. 그녀에게선 대담한 변화를 기대할 수 없다"고 자극했다.

 

선거캠페인에서 샌더스는 힐러리의 이메일 스캔들과 같은 개인적인 약점을 공격하지 않는 원칙을 지키고 있다. 이때문에 더욱 어려운 싸움을 하고 있지만 그덕분에 신사적인 대인배의 풍모(風貌)를 어필할 수 있었다.

 

그는 후보 지명에 실패할 경우 힐러리의 러닝 메이트가 될 가능성에 대해선 "지금은 경선 레이스를 벌이고 있다. 고려할 가치가 없다"고 일축했다.

 

샌더스는 "월가의 은행이 무너지기에 너무 크다면 살아남기에도 너무 큰 것"이라며 월가의 부패를 근본적으로 도려내겠다는 신념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그는 "지금 이순간 이 나라의 수백만명이 탐욕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 월가의 무모하고 불법적인 짓을 저질렀다. 만일 골드만삭스나 다른 대형 은행들을 위해 정부가 수십억달러를 내준다면 불법 행동의 명백한 배임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민주적 사회주의자를 자처하는 샌더스는 공화당의 선두주자 트럼프와 크루즈에 대해서도 일침을 가했다. 그는 "만일 트럼프나 일부 우파가 대통령이 된다면 국가적인 재앙이 될 것이다. 그것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꼬리뉴스>

 

Bernie Sanders challenges Hillary Clinton to a debate in New York as he sits down with the Daily News editorial board (Daily News)

 

http://www.nydailynews.com/news/politics/bernie-sanders-shares-vision-daily-news-article-1.2585757

 

 

  • |
  1. 1홈페이지 - Copy.jpg (File Size:71.6KB/Download:3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77 미국 미•중 당국자, 우크라이나 외무장관과 전화 통화 라이프프라자 23.03.17.
776 미국 미국 장군, 아프리카에 있는 중국 군사기지, 워싱턴에 위협 라이프프라자 23.03.17.
775 미국 무디스, 미 중소은행 신용등급 하향 검토 나서 file 코리아위클리.. 23.03.19.
774 미국 플로리다주 의회에 임신 6주 후 낙태 금지 법안 올라 file 코리아위클리.. 23.03.19.
773 미국 플로리다에서 '뇌 먹는 아메바' 감염 사망 발생 file 코리아위클리.. 23.03.19.
772 미국 '대선 주자' 디샌티스, 회고록 들고 공화 대선 경선지 순회 file 코리아위클리.. 23.03.19.
771 미국 플로리다주 의회, '모든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file 코리아위클리.. 23.03.19.
770 캐나다 퀘벡주 정부, 원주민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 캠페인 시작 file Hancatimes 23.03.20.
769 캐나다 주 총리들,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한 걸음”이라며…연방정부의 의료지원 기금 수락 file Hancatimes 23.03.20.
768 캐나다 르고 주 총리, 트뤼도 총리에 망명 신청자의 캐나다 입국을 막으라고 촉구 file Hancatimes 23.03.20.
767 캐나다 퀘벡 주, 민간 의료기관의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법안 발표 file Hancatimes 23.03.20.
766 캐나다 트뤼도 총리, 퀘벡주 농민을 위한 정부 지원 계획 중 file Hancatimes 23.03.20.
765 캐나다 르고 주 총리, 연방정부에 불법 국경로 폐쇄 및 망명 신청자 이송 거듭 촉구 file Hancatimes 23.03.20.
764 캐나다 퀘벡 주, 지방 지역의 세젭 활성화를 위해 장학금 제도 신설 file Hancatimes 23.03.20.
763 캐나다 연대퀘벡당, ‘애완동물 금지 조항’ 폐지 법안 제출 file Hancatimes 23.03.20.
762 캐나다 퀘벡주, SAAQ 시스템 장애 대응 조치 발표 file Hancatimes 23.03.20.
761 캐나다 퀘벡주, 제조업과 건설업 성장으로 경제 부양 file Hancatimes 23.03.20.
760 캐나다 중국의 캐나다 선거 개입 정치적 긴장 및 인종차별 유발 우려 file Hancatimes 23.03.20.
759 캐나다 한-캐 의원친선협회 캐나다방문 국회 대표단의 달라진 모습 file Hancatimes 23.03.20.
758 캐나다 캐나다인 당장 먹고 사는게 제일 큰 걱정거리로 file 밴쿠버중앙일.. 23.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