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교육원 1).jpg

한국어를 정식 과목으로 채택한 각 학교 학생들이 한국어로 펼치는 문화경연대회가 개최됐다. 주시드니한국교육원이 지난 2014년부터 시작한 이 행사는 한국어뿐 아니라 한국문화 체험을 장려하기 위한 것으로, 올해 본선에는 초-중등 총 11개 팀이 무대를 장식했다. 사진 : 시드니한국교육원 제공

 

시드니한국교육원 주관, 미술작품 전시-문화공연으로 한국어 실력 뽐내

 

한국어를 정식 교과목을 채택한 각 학교 학생들이 한국어로 선보이는 문화 이벤트 ‘2023 한국어 문화경연대회’(Korean Performance Contest)가 지난 8월 18일(금) 스트라스필드 소재 라트비안 홀(Latvian Hall, Strathfield)에서 개최됐다.

주시드니한국교육원(원장 권진. 이하 ‘교육원’)이 지난 2014년부터 매년 마련하는 이 행사는 한국어를 정규 과목으로 선택해 배우는 호주 각 초-중등학교의 학생들이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주제로 미술작품을 제출하거나 공연을 선보이는 자리로, 각 학교 학생들이 한 자리에서 서로의 한국어 실력과 장기자랑 뽐내고 함께 어우러지는 축제의 시간이다.

교육원은 지난 ㅅ월 19일부터 7월 31일까지 올해 대회 미술작품 응모작 및 공연팀 참가신청을 접수했으며, 이달 초 심사를 통해 미술 부문 최종 입상자와 함께 공연 부문 본선 참가자( 및 팀)를 선정했다. 이로써 이날 경연에는 총 11개 팀(초등 6개 팀, 중등 5개 팀)이 현장에서 공연무대를 펼쳤다. 또한 미술 부문 입상자 작품 전시와 함께 태권도 시범단의 특별 공연이 마련돼 올해 대회를 더욱 풍성하게 했다.

이날 경연에는 주시드니총영사관 이태우 총영사가 참석, “호주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이 향후 한국과 호주간 미래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을 격려했다.

올해 경연에서는 특별 시상으로 한국 유명 관광지를 영상으로 소개한 Campsie Public School 학생들에게 한국관광공사 시드니 지사에서 특별 기념품을 증정했으며 동포기업 ‘가스펠 피아노’(대표 고동식)에서도 초-중등부 각 1등 팀에게 전자건반을 수여했다.

 

종합(교육원 2).jpg

대회 시상식이 끝난 뒤 한 자리에 모인 올해 ‘한국어 문화경연대회’ 참가자들. 사진 : 시드니한국교육원 제공

   

올해 문화경연대회를 마련한 교육원의 권진 원장은 “이 행사가 매년 이어지게 된 것은 한국어를 정식 교과목으로 채택한 각 학교 교장 및 교사들 덕분”이라며 감사를 전한 뒤 “오늘 대회를 위해 준비한 모든 학생들에게 이 시간이 좋은 추억으로 간직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각 부문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

 

▲ 미술 부문

-초등부 : ‘한국의 옛날 시장’ / Campsie Public School 빅토리아 정(Victoria Chung 학생 외 2명

-중등부 : Burwood High School, 샤메인 펑(Charmaine Fung) 학생 외 3명

 

▲ 공연 부문

-초등부 : 치어리딩 무대를 선보인 캠시초등학교 ‘Dreams Come true’팀

-중등부 : Secondary College of Languages Strathfield Girl’s Campus 학생들의 ‘Cupid MV’ 팀

 

▲ 공연 영상 부문

-초등부 : 한국의 탈춤 장면을 영상으로 제출한 Victorian School of Languages Blackburn Centre, 베러티 벤더(Verity Bender) 학생 외 19명

-중등부 : ‘난타’ 영상을 제출한 Victorian School of Languages Doncaster Centre, 리아 임(Ria Im) 학생 외 2명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교육원 1).jpg (File Size:88.4KB/Download:48)
  2. 종합(교육원 2).jpg (File Size:122.4KB/Download:45)
  3. 5 시드니한국교육원 문화경연.hwp (File Size:28.5KB/Download:4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203 호주 재외선거인 등록했다가 이후 국적 상실 또는 주민등록을 했다면...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
3202 호주 마이클 린드만 작가, 제10회 ‘한호예술재단 미술공모’ 상금 2만 달러 차지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3201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5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3200 호주 “문학 꽃잎 다섯 장 모여 무궁화 꽃마당 활짝 피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3199 호주 “22대 대한민국 총선 참여로 호주 재외국민 목소리 보여줄 때...”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3198 호주 호주 주요 정-재계 인사들, 하이스쿨 여학생들과 ‘커리어’ 공유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3197 호주 “장애를 가진 이들 또한 우리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이자 함께 하는 이웃...”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3196 호주 평통 호주협의회, 청년 자문위원 대상의 ‘통일 불씨 캠프’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3195 호주 ‘저버리지 못할 약속이여!’... 동포 청년들, 조국 위한 선열들 희생 추모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3194 호주 “세대를 아우르는 음악적 감동...” 두 번째 청소년 음악 콩쿨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3193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제22대 국회의원 재외선거 ‘국외부재자 신고’ 접수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3192 호주 ‘함께 하는 모두의 한인회’ 목표... 34대 시드니한인회 출범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3191 호주 “방한 연수로 한국 알았고, 보다 큰 세계를 보는 계기 됐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3190 호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PowerhouseLate’ 프로그램 통해 ‘한국문화’ 소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3189 호주 이민 칼럼- 호주 취업이민, ‘골품제’의 저주가 풀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3188 호주 서울 뉴욕 베이징의 신진작가들, ‘디아스포라 예술’의 다양성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3187 호주 시드니총영사관-Multicultural NSW, ‘다문화 보조금’ 설명회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3186 호주 호주 현지 한국어 과정 중등부 학생 대상, ‘한국어 말하기’ 대회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3185 호주 민간 복지단체 CASS, ‘지역사회 예방접종 인식 확대’ 프로그램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3184 호주 ‘시드니재외선거관리위원회’, 총선 앞두고 호주 재외국민 선거업무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