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XC9SWPhB_53e1d69dca546739

 

이기철 재외동포청장은 재외동포청 출범 100일을 맞아 13일(수) 기자간담회를 갖고, 그간의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계획(재외동포정책 추진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 청장은 “새로 출범한 재외동포청의 미션은 <재외동포와 대한민국의 공동발전을 통해 글로벌 중추국가 실현과 인류의 공동번영에 기여한다>로 하고, 정부의 재외동포정책에 대한 재외동포사회와 국민의 지지를 확보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했다.

 

또한, “조직의 비전은 <자랑스러운 750만 재외동포를 보호·지원하는 재외동포의 든든한 울타리이며 재외동포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드리는 재외동포의 대변자>”라고 소개했다.

 

이번에 발표된 로드맵은 재외동포청의 임무와 비전을 우선 밝히고, 동포청의 출범으로 달라진 변화, 재외동포정책 추진 배경을 살펴보고, 7대 분야, 23개 주요 과제, 41개의 세부사업 별로 그간의 업무 실적과 향후 계획을 열거하고 있다.

 

이 청장은 “전체 41개 세부사업 중 △기조치 사업 4개 △잠정결정 사업 8개 △시행중 사업 7개 (이상 달성한 성과) △예정 사업 4개 △추진중 사업 7개 △준비중 사업 11개 (이상 향후 계획)”라고 설명했다.

 

7개 분야 중 첫 번째인 재외동포 의견수렴과 관련, 재외동포사회 현장의 목소리와 전문가 등 의견 수렴을 위해, 2023년 미국, 일본 등 4개국에서 동포 간담회를 개최했으며, 2024년까지 중국 등 20여개의 재외동포 다수거주 국가에서 동포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재외동포 정체성 함양을 위해, 2024년도 정부 예산안에 한글학교 운영비 및 교사육성 지원 예산을 대폭 증액하였고, 재외동포 청소년·대학생 모국 연수 참석 인원을 현재 2,300명에서 5년 이후 9천명 수준을 목표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차세대 동포들이 자긍심을 갖고 동포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국의 정치·경제 발전상을 교육할 계획이다.

 

재외동포들의 거주국 내 지위 향상을 위해, 재외동포사회의 주요 민원사항인 선천적 복수국적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해나가고, 해외 입양인의 국적 부여를 위한 미 ‘입양인 시민권법’의 입법을 지원하며, 동포사회와 함께하는 공공외교의 일환으로, 한국의 정치·경제 발전상과 한국의 역사, 문화 등을 재외동포 거주국 교과서에 수록하는 사업 등을 통해 궁극적으로 차세대의 주류사회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 사업 추진을 위해 최근 반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재외동포사회와 모국 간 교류 활성화와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세계한인회장대회, 재외동포 전문가대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특히 올해부터 세계한상대회를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로 개편하였다. 참가기업이 100개에서 500여개로 대폭 증가하였으며, 무역, 상공업 중심에서 4차 산업, 금융, 환경, 문화, 스마트 분야로 참가기업의 업종을 다양화하여, 기업투자 유치, 해외 청년일자리 창출, 중소기업 수출 증대 및 해외 진출 촉진 등 실질적 성과 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재외동포 민원 서비스를 제고하여 궁극적으로 내국민 수준의 편리한 민원행정을 제공하기 위해, 지난 6월 통합민원실과 재외동포 365 민원콜센터를 개소하였다. 나아가 디지털 영사민원 시스템과 재외동포인증시스템을 구축하고, 해외거소 사실관계증명서 발급과 중장기적 기간도과자 등록 허용 등 재외국민등록제도도 개선할 예정이다.

 

특히 이 청장은 “한국의 정치·경제 발전상은, 차세대 동포들에게 모국에 대한 진정한 자부심을 불어넣고 거주국에서 한국의 이미지를 고양할 수 있어, 재외동포의 정체성 함양과 차세대의 주류사회 진출 지원이라는 정부의 재외동포정책 핵심목표 2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소중한 소재”라고 소개하면서, “한국의 발전상과 역사.문화를 재외동포사회와 힘을 합쳐 재외동포 거주국의 교과서 수록 등의 방법으로 적극 알리는 것을 재외동포청의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밴쿠버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157 미국 어린이 환자 앞에서 변태짓 의사 ‘체포’ KoreaTimesTexas 16.01.19.
9156 미국 교회 헌금 노리는 ‘3인조 도둑 ’출몰 … 한인교회 주의 필요 KoreaTimesTexas 16.01.19.
9155 미국 텍사스 교수들, “수업에 총은 필요없다” KoreaTimesTexas 16.01.19.
9154 캐나다 그랜드프래리 도서관, “익명의 기부자 공개…. 그의 이름 딴 기념관 개관” file 앨버타위클리 16.01.19.
9153 캐나다 주정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어려운 시기” file CN드림 16.01.19.
9152 캐나다 다인아웃 밴쿠버 개막, 외국 셰프들도 밴쿠버 방문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1.
9151 캐나다 밴쿠버 출신 트렘블레이, 오스카상 시상식에서 아역상 수상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1.
9150 캐나다 밴쿠버 아일랜드의 마지막 탄광, 무기한 영업 중단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1.
9149 캐나다 앨버타주의사협회, “청소년 안락사 연령 기준 놓고….. 팽팽한 의견 대립”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8 캐나다 월터대일브릿지,” 950톤 대형 아치의 위용”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7 캐나다 에드먼턴 다운타운, “번화가 상업활동 활성화 시범 프로젝트”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6 캐나다 앨버타 정부 고위직 공무원, “향후 2년간 임금 동결된다”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5 캐나다 '초대받지 못한 남자' 캐나다, 반 IS 전선에서 제외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4 캐나다 캐나다 중앙은행, 여러 억측에도 불구하고 금리동결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3 캐나다 버크 마운틴, 주택 위에 나무 쓰러져 지붕 파손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2 캐나다 킨더 모르간 공청회 시작, 반대 주민들 시위도 재개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1 캐나다 BC주, 대마초 합법화 논의 본격화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0 미국 연방 대법원, 오바마 이민개혁 행정명령 심리 발표 코리아위클리.. 16.01.22.
9139 미국 유대인 음식법은 우유와 고기 철저히 분리 코리아위클리.. 16.01.22.
9138 미국 12학년 2학기를 성공적으로 보내기 코리아위클리.. 16.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