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수혜자 12만2895명 불과, 기존 사립 수혜자 8만4505명
 
▲ 플로리다주 교육부 장학금 제도 정보 사이트 헤드라인. ⓒ fldoe.org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올해 플로리다주가 모든 공립학교 학생들에게 사립학교 등록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을 부여했지만, 바우처를 획득한 신규 학생수는 이달초까지 12만3000여명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바우처 확대 비평가들은 이 프로그램이 학생들을 공립학교에서 대거 빠져나가게 할 것이라며 우려를 나타냈으나 공식 집계수로 보아 아직까지 '공립학교 대탈출'은 발생하지 않은 셈이다.

플로리다에서 대부분의 바우처를 관리하는 단체인 '셋 업 포 스튜던츠(Step Up for Students)'의 보고서 기준으로 9월 8일 현재 바우처를 이용한 사립학교에 등록한 학생은 총 24만2929명이다. 이는 지난 학년도(2022~2023)의 바우처 학생수 17만 여명에 비해 7만여 명이 늘어난 수치이다.

그러나 올해 신규 바우처 학생 12만2895명 중 69%인 8만4505명은 이미 사립학교에 재학중이지만 처음으로 바우처를 이용한 학생들이다. 또 유치원생 2만2294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13%인 1만6096명만이 공립학교에서 사립학교로 전학했다. '셋 업 포 스튜던츠'는 이같은 보고서를 제시하며 신규 바우처 수혜 학생 중 13%만이 공립학교에서 빠져 나온 것을 가지고 '대탈출'이라 할 수 있겠냐며 바우처 확대를 반대하는 이들의 주장을 꼬집었다.

공화당이 장악한 주의회에서 올해 바우처 프로그램 확대 법안이 논의되자, 민주당과 비평가들은 많은 수의 학생들이 전통적인 공립학교를 그만두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동안 바우처 확대에 회의를 표해 온 비영리 단체인 플로리다 정책 연구소(FPI)는 새로 나온 보고서 데이타에 여전히 우려를 표명했다. 특히 이 단체는 신규 바우처 수혜자 10명 중 7명이 이미 사립학교에 등록된 학생이라는 점을 들었다. 이 단체는 바우처가 1인당 평균 8000달러의 등록금을 보조했고, 학생 가족은 자금 용도가 늘어나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번 '스탭 업' 보고서는 FPI와 수십 개의 다른 단체들이 지난 14일 주 교육 관계자들에게 바우처 프로그램에 대한 투명성을 요구한 데 따른 것이다.

바우처 확대법은 무엇보다 바우처를 받기 위한 소득 자격 요건을 없애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사립학교에 등록한 바우처 학생의 27%가 연방 빈곤 수준의 400%(4인 가족 기준)인 12만달러 이상의 연소득을 가진 가정 혹은 소득 정보를 제출하지 않은 가정 출신이다. 또 바우처 학생의 약 29%는 빈곤 수준의 185%에서 400%사이 그리고 44%는 연방 빈곤 수준의 185% 이하의 가정 출신이다. 여기서 185%는 4인 가족 기준 연소득5만5000 달러임을 의미한다.

한편 장애 등 특별한 필요가 있는 학생들을 위한 바우처인 '가족 역량 강화 장학금(Family Empowerment Scholarships for Students)' 혜택 학생은 지난해 약 7만명에서 올해는 7만9035명으로 늘어났다.

일반 학생이 받는 바우처인 '세금 혜택 및 가족 역량 강화 장학금(Tax Credit and Family Empowerment scholarships)' 신청은 35만3425개였으며 이중 34만0731개의 바우처가 수여됐다. 그러나 수여된 바우처가 모두 사용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바우처 확대와 함께 온 또 다른 변화는 홈스쿨링 학생들이 바우처를 받을 수 있게 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1만5097명의 홈스쿨링 학생들이 새 프로그램에 등록했다. 
  • |
  1. k12.jpg (File Size:16.3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157 미국 어린이 환자 앞에서 변태짓 의사 ‘체포’ KoreaTimesTexas 16.01.19.
9156 미국 교회 헌금 노리는 ‘3인조 도둑 ’출몰 … 한인교회 주의 필요 KoreaTimesTexas 16.01.19.
9155 미국 텍사스 교수들, “수업에 총은 필요없다” KoreaTimesTexas 16.01.19.
9154 캐나다 그랜드프래리 도서관, “익명의 기부자 공개…. 그의 이름 딴 기념관 개관” file 앨버타위클리 16.01.19.
9153 캐나다 주정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어려운 시기” file CN드림 16.01.19.
9152 캐나다 다인아웃 밴쿠버 개막, 외국 셰프들도 밴쿠버 방문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1.
9151 캐나다 밴쿠버 출신 트렘블레이, 오스카상 시상식에서 아역상 수상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1.
9150 캐나다 밴쿠버 아일랜드의 마지막 탄광, 무기한 영업 중단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1.
9149 캐나다 앨버타주의사협회, “청소년 안락사 연령 기준 놓고….. 팽팽한 의견 대립”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8 캐나다 월터대일브릿지,” 950톤 대형 아치의 위용”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7 캐나다 에드먼턴 다운타운, “번화가 상업활동 활성화 시범 프로젝트”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6 캐나다 앨버타 정부 고위직 공무원, “향후 2년간 임금 동결된다”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5 캐나다 '초대받지 못한 남자' 캐나다, 반 IS 전선에서 제외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4 캐나다 캐나다 중앙은행, 여러 억측에도 불구하고 금리동결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3 캐나다 버크 마운틴, 주택 위에 나무 쓰러져 지붕 파손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2 캐나다 킨더 모르간 공청회 시작, 반대 주민들 시위도 재개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1 캐나다 BC주, 대마초 합법화 논의 본격화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0 미국 연방 대법원, 오바마 이민개혁 행정명령 심리 발표 코리아위클리.. 16.01.22.
9139 미국 유대인 음식법은 우유와 고기 철저히 분리 코리아위클리.. 16.01.22.
9138 미국 12학년 2학기를 성공적으로 보내기 코리아위클리.. 16.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