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G1QLms24_26506b30705d7fa4

Glen Lake의 산불진화 현장 모습. BC Wildfire Service FACEBOOK

 

화재 81%, 지진 76%, 강풍 66%, 폭우 65%, 홍수가 63%

대처 능력 연방 49%, 주정부 57%, 자치시 56%씩 긍정

향후 50년 내 대규모 지진 발생 가능성 대해 76% 인정 

 

최근 들어 자연재해와 화재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데, 어떤 재난 상황이 가장 두려운 것인지에 대해 화재가 제일 걱정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설문조사전문기업 Research Co.가 6일 발표한 위급 상황 관련 BC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여러가지 재난 상황 중 화재가 제일 큰 걱정거리로 꼽혔다.

 

화재에 대해 매우 걱정이 41%, 걱정이 40%로 합해서 81%가 나왔다. 지역별로 보면 메트로밴쿠버가 78%, 프레이저밸리가 85%, 북부BC는 92%, 남부BC는 81%, 그리고 밴쿠버섬은 79%였다.

 

환태평양 화산대에 있어 빅원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매우 걱정이 38%, 걱정이 38% 합해서 76%로 나왔다.

 

지역별로 보면 메트로밴쿠버가 80%, 프레이저밸리가 82%, 북부BC는 54%, 남부BC는 50%, 그리고 밴쿠버섬은 82%였다.

 

각각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많이 발생하거나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재해에 대해 걱정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그 뒤로 강풍이 66%, 폭우가 65%, 홍수가 63%, 폭설이 60%, 독극물 누출이 56%, 쓰나미가 51%, 산사태가 50%, 테러리스트 공격이 46% 순으로 나왔다.

 

이런 위기 상황에 대해 각 단위 정부가 얼마나 성공적으로 대처할 지에 대한 설문에서 주정부에 대한 신뢰가 가장 높았다. 연방정부는 긍정 평가가 49%, 주정부는 57%, 그리고 자치시는 56%로 나왔다.

 

보고, 듣고,읽은 경험으로 볼 때 향후 50년 이내에 건물에 손상을 줄 정도의 강력한 지진이 발생할 것으로 보이냐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가 33%, 그렇다가 43%로 합쳐서 76%가 나왔다.

 

지역별로 메트로밴쿠버는 74%, 프레이져밸리는 78%, 북부BC는 70%, 남부BC는 78%, 그리고 밴쿠버섬은 80%였다.

 

만약 응급상황이 발생할 것에 대비해 어떤 준비를 하고 있는 지를 물어봤을 대 비상 물자를 포함한 응급 키트 구입이 41%로 나왔다. 그 뒤로 응급 상황 때 가족이나 친지와의 연락 등을 준비한다가 31%, 가족과 친지를 만날 장소를 정한다가 24%였다. 하지만 전혀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가 40%로 높게 나왔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157 미국 어린이 환자 앞에서 변태짓 의사 ‘체포’ KoreaTimesTexas 16.01.19.
9156 미국 교회 헌금 노리는 ‘3인조 도둑 ’출몰 … 한인교회 주의 필요 KoreaTimesTexas 16.01.19.
9155 미국 텍사스 교수들, “수업에 총은 필요없다” KoreaTimesTexas 16.01.19.
9154 캐나다 그랜드프래리 도서관, “익명의 기부자 공개…. 그의 이름 딴 기념관 개관” file 앨버타위클리 16.01.19.
9153 캐나다 주정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어려운 시기” file CN드림 16.01.19.
9152 캐나다 다인아웃 밴쿠버 개막, 외국 셰프들도 밴쿠버 방문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1.
9151 캐나다 밴쿠버 출신 트렘블레이, 오스카상 시상식에서 아역상 수상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1.
9150 캐나다 밴쿠버 아일랜드의 마지막 탄광, 무기한 영업 중단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1.
9149 캐나다 앨버타주의사협회, “청소년 안락사 연령 기준 놓고….. 팽팽한 의견 대립”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8 캐나다 월터대일브릿지,” 950톤 대형 아치의 위용”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7 캐나다 에드먼턴 다운타운, “번화가 상업활동 활성화 시범 프로젝트”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6 캐나다 앨버타 정부 고위직 공무원, “향후 2년간 임금 동결된다”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5 캐나다 '초대받지 못한 남자' 캐나다, 반 IS 전선에서 제외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4 캐나다 캐나다 중앙은행, 여러 억측에도 불구하고 금리동결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3 캐나다 버크 마운틴, 주택 위에 나무 쓰러져 지붕 파손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2 캐나다 킨더 모르간 공청회 시작, 반대 주민들 시위도 재개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1 캐나다 BC주, 대마초 합법화 논의 본격화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0 미국 연방 대법원, 오바마 이민개혁 행정명령 심리 발표 코리아위클리.. 16.01.22.
9139 미국 유대인 음식법은 우유와 고기 철저히 분리 코리아위클리.. 16.01.22.
9138 미국 12학년 2학기를 성공적으로 보내기 코리아위클리.. 16.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