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rk roofs 1.jpg

나무가 거의 없는 거리 풍경, 검은색계열의 지붕을 가진 고밀도의 주택은 더운 날 주변 기온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한다. 사진 : ABC 방송 ‘Business’ 프로그램 방송 화면 캡쳐

 

CSIRO 에너지 과학자 지적, ‘고밀도 주택이 도시 전역 부정적 기후영향 증폭’ 우려

주택의 지붕 색상과 에너지 효율의 연관성은... 추운 지역, 어두운 계열의 지붕 ‘유리’

 

늘어나는 인구와 함께 검은색 또는 이에 가까운 지붕 색깔의 인기로 주요 도시 및 지역 중심가에 도시 열섬(urban heat islands)이 형성되고 있다고 한 에너지 과학자가 지적했다.

더 어두운 색상의 지붕은 에너지 효율 등급을 높이는 역할을 하지만 (이 같은 주택 지방의) 집단적 수(collective mass)는 섭씨 40도의 여름 기온을 45도의 극심한 무더위로 바꾸는 데 충분하다는 것이다.

연방 과학-산업연구기관인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CSIRO) 에너지사업부 건축과학자 마산 사데기(Mahsan Sadeghi) 박사는 고밀도 주택이 도시 전체에 부정적 기후영향을 증폭시킨다고 말한다.

그는 “어두운 색상의 건축 자재 확산은 이러한 도시환경 내 주변 온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면서 “미적 매력을 위해 종종 선택되는 어두운 색상의 지붕은 열을 흡수, 유지하는 경향이 있어 열심 효과를 악화시키는 반면, 고밀도 주택은 녹지 공간을 줄이고 자연 냉각을 제어한다”고 설명했다.

그런 반면 사데기 박사는 시원한 지붕이 도시 일부 지역의 최고 주변온도를 섭씨 1.1도에서 1.4도가량 낮출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밀도가 높은 위치에서는 효과도 확대된다. 그는 자신의 연구를 인용, “시원한 지붕은 도시의 고밀도 지역에서 평균 표면온도를 섭씨 5도에서 7도가량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dark roofs 2.jpg

빅토리아(Victoria) 주의 한 신규 주택단지. 새로 조성되는 구획의 주택에는 거의 유사한 지붕 색상이 있다. 사진 : CSIRO

   

‘monument’ 색상의 높은 인기

 

신규 주택개발은 일반적으로 나무가 거의 없는 거리 풍경을 만든다. 빅토리아 주 발라랏(Ballarat, Victoria)의 한 건축업자에 따르면 ‘Colorbond’(BlueScope Steel 사에서 생산하는 주요 건축자재) 제품군의 ‘monument’(검은색), ‘ironstone’(blue-black 색상), ‘woodland grey’(검은 계열의 회색), ‘basalt’(중간보다 어두운 계열의 회색) 등 어두운 색상은 현재 빅토리아 주에서 건축되는 새 주택의 가장 인기 있는 지붕 색상이다.

퀸즐랜드(Queensland)에서도 ‘monument’, ‘dark grey’, ‘charcoal’, ‘woodland grey’ 색상의 인기가 높다.

페인트 제조회사 ‘Haymes Paint’ 사의 컬러 컨설턴트 관리자인 에린 헌스(Erin Hearns)씨는 ‘monument’ 색상의 경우 적어도 지난 10년간 호주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지붕 색깔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는 분명 하나의 추세로, ‘monument’는 보기에 좋고 다른 주변 색상과도 잘 어울리기에 사람들이 선호한다”며 “그 색상으로 만들어진 것을 보고는 ‘나도 그렇게 해야겠다’라고 생각하는 이들이 있다”고 덧붙였다.

 

dark roofs 3.jpg

기온이 낮은 지역에서 어두운 색상의 지붕은 난방 에너지 효율이 높지만 더운 지역은 밝은색의 지붕이 유리하다. 사진 : Rodney Owen

   

이어 헌스씨는 “환경에 관한 것일 수도 있다”며 “어두운 계열의 색깔은 주변 식물과 섞일 수 있고 또 일부 지방의회에서는 그런 이유로 ‘black and dark grey’ 색을 고집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따스한 기후 대 서늘한 기후

 

엔지니어이자 에너지 효율 주택 컨설턴트인 리차드 키치(Richard Keech)씨는 빅토리아 주 주택의 대부분 지붕이 어두운 색상이어서 에너지 효율 등급이 더 높다고 말한다.

가정의 에너지 효율은 가정에서 쾌적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난방 또는 냉방이 필요한지를 계산하는 호주 지수(Australian index), ‘NatHERs(National Wide House Energy Rating Scheme)를 사용해 평가한다.

키치씨는 “서늘한 기후에서는 어두운 색상의 지붕이 필요한 난방 에너지를 줄이는 효과가 있지만 더운 기후에서는 분명 밝은 계열의 색상이 더 좋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연간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 목표라면 난방이 지배적인 기후에서는 어두운 색상의 지붕이 문제가 되지 않지만, 그 목표가 온난한 기후에서 안전을 유지하는 것이라면 밝은색 지붕이 더 나을 것”이라며 “연중 에너지 수요와 정말로 더운 날씨의 급격한 영향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정말로 더운 날의 문제를 완화하여 연중 이익을 잃는 것이 더 중요한지를 판단해야 한다”는 그는 “NatHERS의 스타 등급(star rating) 시스템은 석탄 난방이 지배적인 기후에서 더 어두운 색상의 지붕을 선호하는데, 빅토리아에서는 냉방보다 난방에 훨씬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dark roofs 4.jpg

난방에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빅토리아 주 각 도시들의 지붕은 검은색 계열의 지붕을 더 선호한다. 사진 : ABC 방송

   

단조로운 미학

 

빅토리아 주 건축설계사협회(Building Designers Association of Victoria)의 팀 아담스(Tim Adams) 전 회장은 NatHERS의 등급(star rating) 시스템이 지붕 색상 선택의 한 가지 이유이기는 하지만 덜 실용적인 또 다른 이유가 있다고 말했다. “그것은 바로 패션으로, 지붕의 색상은 주택의 성능에 미치는 수많은 영향 중 하나일 뿐”이라는 그는 “이는 불행하게도 단조로운 미학으로 이어지는 반면 사람들이 더 많은 유연성을 가지면 훨씬 더 흥미롭고 생생한 미학을 가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색깔 컨설턴트인 헌스씨는 패션이 변하고 있다는 의견이다. “시간은 걸리지만 최근에는 더 밝은 색상으로 바뀌고 있다”는 그녀는 “오랫동안 ‘monument’ 색상이 최고 인기였지만 ‘shale grey’(밝은 계열의 회색)와 ‘surf mist’(은색 계열의 흰색)이 점차 인기를 더해간다”고 말했다.

부동산 개발회사 ‘Rothelowman’의 주요 설계 파트너 조노선 코울(Jonothan Cowle) 설계사는 지붕 색상 선택이 ‘중요한 고려 사항’(massive consideration)이지만 적응형 주택 설계가 중-고밀도 주택 개발에서 도시 열섬 효과를 줄이는 데 있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녹색의 지붕을 가질 수도 있고 잔디로 덮을 수도 있으며 지붕 디자인을 분해하여 그늘을 만들 수도 있다”며 “거대하고 평평한 부분은 한낮에 열을 흡수하고 밤에는 열을 발산하는 반면 복잡한 표면은 (열 흡수 및 발산 측면에서) 이보다 훨씬 좋다”고 설명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dark roofs 1.jpg (File Size:122.8KB/Download:35)
  2. dark roofs 2.jpg (File Size:100.5KB/Download:39)
  3. dark roofs 3.jpg (File Size:78.8KB/Download:33)
  4. dark roofs 4.jpg (File Size:115.5KB/Download:3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01 호주 알바니스 총리, 차기 호주 총독에 법조인 겸 사업가 사만타 모스틴 지명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800 호주 NSW 운전자 대상, 도로 통행료 환급신청 접수 시작... 클레임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9 호주 연방정부, 5월 예산 계획에서 가계 재정부담 완화 방안 제시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8 호주 유닛을 구입하고 투자 이익까지 얻을 수 있는 주요 도시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7 호주 새로 적용된 학생비자 입안자, ‘노동당 정부의 대학 단속’으로 악용?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6 호주 심각한 주택부족 상황 불구, 시드니 지역 ‘빈 집’ 2만 가구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5 호주 시드니 전역 유명 사립학교 학부모가 되기 위한 ‘대기자 명단 전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4 호주 ‘Hambledon Cottage’ 200년 주년... 파라마타 시, 관련 기념행사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3 호주 ‘주택위기’ 해결의 또 하나의 어려움, ‘baby boomers의 고령화’?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2 호주 파라마타 시, ‘Arthur Phillip Park’ 재개장 기해 야외 영화 상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1 호주 계속된 생활비 부담 속, 수백 만 명의 호주인 저축액 1천 달러 미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0 호주 Express. Empower. Get Loud!... CB City, ‘청년주간’ 행사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89 호주 팬데믹 이후 호주 인구 ‘급증’ 속, 가장 큰 영향 받는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8 호주 투자 부문의 최고 ‘인플루언서’, “고령화 위기 대비하려면 호주 본받아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7 호주 주택을 구입할 때 침실 하나를 추가하려면 얼마의 급여가 필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6 호주 ‘디지털 노마드’의 세계적 확산 추세 따라 해당 비자 제공 국가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5 호주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대학원 과정은 ‘건강’ 및 관련 분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4 호주 늘어나는 신용카드 사기... 지난해 호주인 손실, 22억 달러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3 호주 월별 CPI 지표, 3개월 연속 3.4% 기록... “하향 추세 판단, 아직 이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2 호주 주택시장, ‘인상적 성장세’ 지속... 1년 사이 중간가격 6만3,000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1 호주 보험-금융 서비스 가격 상승 속, Private health insurance 3% 이상 인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0 호주 호주 각 학교 교장들, ‘최악’ 수준의 신체적 폭력-협박에 시달려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79 호주 ‘P-plate’ 상태의 자녀 ‘안전’ 고려한다면, 자동차를 사 주는 대신...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78 호주 계속되는 가계 재정 부담 속, 수백 만 명의 호주인이 ‘부업’ 찾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77 호주 생활비 압박 지속... 정부, 물가상승률에 맞춰 최저임금 인상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6 호주 순 해외이민자 유입-자연 증가로 호주 인구, 곧 2천700만 도달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5 호주 Minns-Perrottet 현직 및 전직 NSW 주 총리, ‘McKinnon Prize’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4 호주 정부, 비시민권자 대상으로 보다 수월한 ‘강제추방’ 가능한 법안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3 호주 주택 1sqm 당 프리미엄 가장 높은 광역시드니 교외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2 호주 할리우드 스타덤의 화려했던 순간, 그 기억을 간직한 영화 촬영 여행지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1 호주 자동차 절도-파손 및 가택침입 등 전국에서 ‘household crime’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0 호주 ‘충격적’ 일자리 급증... 실업률, 지난해 9월 이전의 낮은 수준으로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9 호주 World Happiness Report... 호주인 ‘행복감’, 상위 10위에 올랐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8 호주 호주 당국, 프랑스 방문 여행자들에게 ‘높은 수준의 주의’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7 호주 COVID-19 전염병 대유행으로 전 세계 기대수명, 1.6년 감소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6 호주 “유아기의 스크린 시청 시간, 부모와의 상호 언어형성 기회 빼앗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5 호주 ChatGPT-기타 인공지능 활용한 고등교육 부문의 부정행위 ‘극성’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4 호주 시니어 대상 pension 및 Jobseeker payments 등 복지수당 인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63 호주 NSW 예산계획, “바람직한 사회적 결과-투명성 향상에 목표 둘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62 호주 올들어 두 번째의 RBA 통화정책 회의, 이자율 4.35% 유지 결정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61 호주 2023년 NSW-VIC-QLD 주의 매매 부동산 4개 중 1개는 ‘현금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60 호주 tap-and-go 확대... 호주인들, 신용카드 수수료로 연간 10억 달러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9 호주 주택 부족 심화... 부동산 가격, ‘적정 가치’에 비해 얼마나 치솟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8 호주 “화석연료 산업에 보조금 지급하면서 대학 학업에는 비용 청구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7 호주 NSW 교육부 장관, 주 전역 공립학교서 ‘영재교육 프로그램’ 제공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6 호주 연방정부의 새 이민전략 이후 주요 대학 국제학생 입학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5 호주 대다수 전문가들이 우려했던 ‘long COVID’,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4 호주 2024 럭비 시즌... CB City의 그린키퍼, ‘Bulldog’ 홈구장 관리 ‘만전’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3 호주 부유한 은퇴 고령자들, ‘Aged Care’ 비용 더 지불해야 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6752 호주 최대 220만 명 ‘기본 권리’ 변경 위한 ‘Work-from-home’ 논쟁 본격화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