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ation 1.jpg

대부분 경제학자들의 예상과 달리 올해 1월 인플레이션 수치는 12월 수치와 같은 3.4%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21년 11월 이후 통계청(ABS)의 월간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 지표에 기록된 연간 인플레이션 상승속도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이다. 사진 : ABC 방송 뉴스화면 캡쳐

 

지난 12개월 사이 소비자 물가상승폭 3.4%... 12월과 같은 수치로 ‘안정세’ 이어가

통계청의 월간 Consumer Price Index 지표 기록 중 가장 낮은 인플레이션 수치

 

올해 1월까지 지난 12개월 사이 소비자 물가가 12월 수치와 같은 3.4%로, 안정세를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21년 11월 이후 통계청(ABS)의 월간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 지표에 기록된 연간 인플레이션 상승속도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이다.

경제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이 12월 3.4%에 이어 1월에는 3.6%로 다소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었다.

2월 마지막 주 나온 ABS의 인플레이션 수치에 대해 펀드회사 ‘Betashares’의 데이빗 바사니스(David Bassanese) 선임 경제연구원은 “ABS의 1월 CPI 수치는 중앙은행(RBA)을 안도하게 할 것이며, RBA가 앞으로 몇 달 안에 또 한 번의 금리인상을 고려할 위험을 줄여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인플레이션 상승,

식량-주택-보험이 주도

 

전반적으로 물가지수가 이전에 비해 낮은 수치를 이어간 가운데 ABS의 물가통계 담당자인 미셸 마쿼트(Michelle Marquardt) 국장은 1월까지 인플레이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주택(+4.6%), 식품 및 무알코올 음료(+4.4%), 주류 및 담배(+6.7%), 보험-금융서비스(+8.2%)를 꼽았다.

그녀는 “식품 및 무알코올 음료의 연간 인플레이션은 12월 4.0%에서 올 1월에는 4.4%로 증가했다”며 “예를 들어 육류, 해산물, 과일, 채소의 연간 인플레이션은 더 낮거나 마이너스 수치”라고 설명했다.

 

Inflation 2.jpg

펀드회사 ‘Betashares’의 데이빗 바사니스(David Bassanese. 사진 오른쪽) 선임 경제연구원은 “ABS의 1월 CPI 수치는 중앙은행(RBA)을 안도하게 할 것이며, RBA가 앞으로 몇 달 안에 또 한 번의 금리인상을 고려할 위험을 줄여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사진 : Shore Financial 사가 업로드한 유투브 동영상 캡쳐

   

주택 부문에서는 1월 연간 임대료 인상률이 7.4%로 안정세를 보였으며 신규 주택구입 비용은 12월 5.1%에서 1월에는 4.8%로 하락을 보였다.

주요 물가하락은 레크리에이션 및 문화(-1.7%), 휴가여행 및 숙박(-7.1%)에서 나타났다. 커먼웰스 은행(CBA) 스티븐 우(Stephen Wu) 연구원은 지난 10월 측정된 가격에 비해 가구(-5.6%), 소형 전자제품(-4.5%), 이동의류(-3.8%), 신발(-0.3%에서 -4.5% 사이) 가격도 하락했다고 전하면서 “높은 인플레이션, 세금 인상, 모기지(mortgage) 이자상환 등으로 압박을 받는 실질 가계 가처분소득에 대응해 비재량 지출(non-essential spending)이 줄면서 재량 인플레이션(discretionary inflation)이 빠르게 낮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ABS의 마쿼트 국장에 따르면 이처럼 변동성이 큰 일부 품목의 상당한 가격변동을 제외하면 1월 인플레이션은 4.1% 상승해 12월의 4.2%보다 낮으며, 1년 전 최고치인 7.2%에서 크게 하락했다.

RBA가 선호하는 ‘trimmed mean rate of inflation’(해당 분포의 양쪽 끝에서 가격 변동 분포의 특정 비율을 절사한 후의 평균 인플레이션 비율을 의미) 측정치는 2022년 3월 이후 처음으로 4%(3.8%) 아래로 떨어졌다.

‘Betashares’의 바나니스 연구원은 “계절조정 기준으로 변동성이 큰 품목과 휴가여행을 제외한 CPI는 0.2% 상승에 그쳤는데, 이는 5차례 연속 0.2% 연속 상승한 수치로 연간 인플레이션은 2.4%에 불과하다”며 “그 기준만으로도 인플레이션은 이미 RBA의 목표치인 2~3% 가까이 떨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Inflation 3.jpg

투자은행 AMP의 다이아나 무시나(Diana Mousina. 사진) 경제연구원. 그녀는 가계소비와 경제 성장(GDP로 측정한)의 지속적 약화가 이미 최저치인 3.4%에서 4.1%로 높아진 실업률의 추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 : ABC 방송 뉴스화면 캡쳐

   

RBA의 이자율 인하,

그 시작 시기는?

 

바사니스 연구원은 올해 말, 서비스 부문 인플레이션이 전염병 대유행 이전 수준으로 냉각될 것으로 보임에 따라 RBA가 “올해 마지막 몇 개월 동안 기준금리를 최소 두 차례 인하할 수 있는 여력을 갖게 될 것”으로 진단했다.

또한 투자은행 AMP의 다이아나 무시나(Diana Mousina) 경제연구원은 현재까지 호주경제가 상당히 회복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RBA가 더 일찍 금리인하를 단행할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무시나 연구원은 ABS의 인플레이션 수치가 발표된 직후 한 미디어와의 인터뷰에서 “경제는 실제로 대부분 사람들이 기대했던 것보다 금리인상을 훨씬 잘 견뎌냈다”며 “생활비 부담에 대해 이러한 우려가 있었음에도 지난 2년 동안 소비자들은 대부분 취업을 하고 저축해 높은 자금을 인출함으로써 이런 우려를 상쇄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녀는 “하지만 올해에는 이 저축 파이프라인이 훨씬 약해 보인다”며 “특히 높은 이자율과 인플레이션에 가장 취약한 그룹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는 우려를 덧붙였다.

 

Inflation 4.jpg

KPMG 선임 경제학자 브렌던 린(Brendan Rynne. 사진) 연구원은 RBA 이사회 구성원을 포함한 다수의 경제학자들이 예상하는 것보다 ‘더 빨리’(sooner and faster) 이자율은 낮추어야 할 수도 있다고 믿고 있다. 사진 : KPMG International

   

무시나 연구원은 가계소비와 경제 성장(GDP로 측정한)의 지속적 약화가 이미 최저치인 3.4%에서 4.1%로 높아진 실업률의 추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올해 중반이 되면 호주 실업률은 약 4.5%이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전망은 경제컨설팅 회사 KPMG 선임 경제학자 브렌던 린(Brendan Rynne) 연구원의 시각도 마찬가지이다. 그는 RBA가 자체 분석가와 이사회 구성원을 포함한 다수의 경제학자들이 예상하는 것보다 ‘더 빨리’(sooner and faster) 이자율은 낮추어야 할 수도 있다고 믿고 있다.

그는 “이달 초 나올 것으로 보이는 지난 12월 분기 GDP 수치를 통해 호주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으로 역전되고 있는지 여부가 면밀하게 조사할 것”이라는 의견을 보였다. 다만 그는 “윤년(leap year)으로 인해 올해 2월은 하루가 더 있게 됨으로써 약 66억 달러의 경제활동이 추가되어 올 3월 분기 경제는 위축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Inflation 1.jpg (File Size:69.8KB/Download:5)
  2. Inflation 2.jpg (File Size:78.9KB/Download:5)
  3. Inflation 3.jpg (File Size:46.1KB/Download:5)
  4. Inflation 4.jpg (File Size:74.9KB/Download: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1 호주 NSW 주, 호주 내 경제 부분에서 ‘선두’ 달려 호주한국신문 14.05.01.
100 호주 시드니, ‘유학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도시’ 포함 호주한국신문 14.05.01.
99 호주 시드니 부동산 활황, 저소득 계층에게는 ‘재앙’ 호주한국신문 14.05.01.
98 호주 동포화가 수향 선생 작품, ‘Berndt Museum’서 초대 호주한국신문 14.05.01.
97 호주 ‘세월호 참사’ 애도 분위기 속 ‘탁구대회’ 성료 호주한국신문 14.05.01.
96 호주 애보트 정부 ‘인종차별금지법 개정’ 관련 호주한국신문 14.05.01.
95 호주 ‘세월호 참사’ 관련, 시드니한인회 합동분향소 마련 호주한국신문 14.05.01.
94 호주 시드니 부동산 활황기, 북서부 지역 가장 많이 올라 호주한국신문 14.05.01.
93 호주 맹견 공격으로 91세 여성 치명적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4.04.24.
92 호주 NSW 노동당의 우상, 네빌 랜 전 수상 타계 호주한국신문 14.04.24.
91 호주 광역 시드니 및 주변 지역 거주민 기대 수명은... 호주한국신문 14.04.24.
90 호주 각 부처 최고 공무원들, 연봉 5% 이상 올라 호주한국신문 14.04.24.
89 호주 시드니 소재 유명 사립학교들 ‘시설 경쟁’ 과열 호주한국신문 14.04.24.
88 호주 중국, 호주 주요 대학에서 스파이 활동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4.04.24.
87 호주 배어드 신임 주 수상, 차기 선거 겨냥한 개각 단행 호주한국신문 14.04.24.
86 호주 부동산 분석가들, 시드니 부동산 ‘안정기’ 분석 호주한국신문 14.04.24.
85 호주 호주판 ‘늙은 군인의 노래’, ‘And the Band Played Waltzing Matilda’ 호주한국신문 14.04.24.
84 호주 갈리폴리 상륙 99주년 ‘안작 데이’ 호주한국신문 14.04.24.
83 호주 “그날 이후-금기가 시작되었고... 깨졌다” 호주한국신문 14.04.24.
82 호주 한국 방문 호주 교장들, “뷰티풀, 멋있어요” 호주한국신문 14.04.24.
81 호주 시드니 시티, 대대적인 아파트 건설 붐 호주한국신문 14.04.24.
80 호주 경전철 연장으로 마로브라 부동산 가격 ‘들썩’ 호주한국신문 14.04.24.
79 뉴질랜드 로드 머펫 인형 3000달러에 판매 굿데이뉴질랜.. 14.04.22.
78 호주 청정 호주? 일부 해변들, 불법 폐기물 투기로 ‘몸살’ 호주한국신문 14.04.17.
77 호주 애보트 수상 인기도 하락, 녹색당 지지도 급상승 호주한국신문 14.04.17.
76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 유지키로 호주한국신문 14.04.17.
75 호주 NSW 주 오파렐 수상, 고가 와인 수뢰 시인하고 사임 호주한국신문 14.04.17.
74 호주 호주 자동차 제조업 붕괴로 20만 개 일자리 사라져 호주한국신문 14.04.17.
73 호주 호주인들 공화제 지지 비율 42%로 낮아져... 역대 최저 호주한국신문 14.04.17.
72 호주 벨뷰 힐(Bellevue Hill), 전국 최고 주택투자 지역으로 꼽혀 호주한국신문 14.04.17.
71 호주 조 호키 장관, ‘노인연금 수령 70세로 상향’ 검토 호주한국신문 14.04.17.
70 호주 애보트 수상, 시드니 제2공항 부지로 ‘뱃저리스 크릭’ 결정 호주한국신문 14.04.17.
69 호주 “일상의 스트레스, 통기타로 날려버려요~~” 호주한국신문 14.04.17.
68 호주 K‘POP’ the Concourse!, 채스우드서 야외공연으로 호주한국신문 14.04.17.
67 호주 시드니 ‘슈퍼 새터데이’... 판매-구매자들, ‘샴페인’ 호주한국신문 14.04.17.
66 뉴질랜드 한국 전체에서 2명, 호주 전체에서 2명의 학생만이 합격 file 굿데이뉴질랜.. 14.04.14.
65 뉴질랜드 뉴질랜드 결국은 공화정(共和政)으로 갈 것인가 file 굿데이뉴질랜.. 14.04.14.
64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갱들의 전쟁... ‘표적공격’ 잇따라 호주한국신문 14.04.10.
63 호주 시드니 공항, 국내 4대 주요 공항 가운데 ‘최악’ 평가 호주한국신문 14.04.10.
62 호주 ‘The Star’ 카지노, 700명 이상 ‘출입금지’ 조치돼 호주한국신문 14.04.10.
61 호주 X 세대들, 부모 세대인 ‘베이비부머’보다 ‘뚱뚱’ 호주한국신문 14.04.10.
60 호주 브리즈번 프랑스 유학생 살해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4.10.
59 호주 어번 가정집 앞에 유기된 아기 발견 호주한국신문 14.04.10.
58 호주 호주-한국 정상, 양국 간 FTA 협정문 서명 호주한국신문 14.04.10.
57 호주 뒤따라온 남성, 냄비로 가격한 여성 화제 호주한국신문 14.04.10.
56 호주 도요타 ‘Yaris’ ‘Hilux’ 모델, 안전 문제로 리콜 호주한국신문 14.04.10.
55 호주 경매시장 활황... 피어몬트 한 아파트, 5분 만에 낙찰 호주한국신문 14.04.10.
54 호주 시드니 경매 시장, 10주째 낙찰률 80% 이상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4.10.
53 뉴질랜드 오클랜드공항 활주로 추가건설등 확장공사 file 굿데이뉴질랜.. 14.04.06.
52 뉴질랜드 금세기안으로 뉴질랜드 해수면 50cm 상승할 것 굿데이뉴질랜.. 14.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