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erties purchased 1.jpg

2023년 한 해 동안 NSW, 빅토리아(Victoria) 및 퀸즐랜드(Queensland) 주에서 거래된 주거용 부동산 4개 중 한 개 이상이 담보대출 없이 현금으로 거래된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시드니 도심 인근의 주택가. 사진 : AB C 방송 'Business' 프로그램 캡쳐

 

‘Property Exchange Australia’ 조사... 2022년 대비 1.5%(19억 달러) 증가

 

지난해 NSW, 빅토리아(Victoria), 퀸즐랜드(Queensland) 주에서 매매된 주거용 부동산 4개 중 1개 이상이 전액 현금 지불로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 부동산 판매를 통해 재정을 확보한 이들의 현금 거래는 금리상승에 다른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써 견고한 주택시장을 지탱하는 데 일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부동산 시장 전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Property Exchange Australia’(PEXA)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호주 동부 주에서는 4,547억 달러 상당의 주거용 부동산이 매매됐으며, 이 가운데 1,296억 달러의 주택이 현금으로 거래됐다. 즉 주거용 부동산 구입 비용을 금융기관의 담보대출(mortgage) 없이 전액 현금으로 지불한 것이다.

이는 지난해 3개 주에서 거래된 전체 부동산의 28.5%가 모기지 없이 거래됐음을 의미하며 또한 전년도인 2022년의 현금 거래 규모에 비해 1.5% 증가(19억 달러)한 수치이다.

PEXA의 수석 경제학자 줄리 토스(Julie Toth) 연구원은 “모기지 압박 없이, 그리고 실제로 금리 인상에 전혀 취약하지 않은 재정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현금구매 비율은 부동산 시장 회복력이 지속되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이 데이터를 가시화한 지난 3~4년 동안 현금구매 그룹은 세 지역(NSW, VIC, QLD)의 주요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최소 25%를 차지했다”는 토스 연구원은 “이는 우리가 앞으로 계속해 (시장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구조적 특징으로 보여진다”고 덧붙였다.

지난 2년여 이어진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생활비 압박이 더해졌음에도 불구하고 현금구매 비율이 증가한 것에 대해 토스 연구원은 금리상승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이들의 수가 늘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PEXA의 조사 보고서는 호주 중앙은행(RBA)의 잇따른 이자율 인상을 언급하며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위한 통화정책의 한계”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높은 기준금리가 일반적으로 나이 많고 은퇴한 현금구매자에게 유리할 가능성이 있으며, 은행이 제공하는 더 높은 저축금리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는 게 토스 연구원의 말이다.

이어 그녀는 “이들(현금구매자)은 가계소득이 낮은 경향도 있지만 부양가족이 적고 다음 구매 자금으로 축적된 재정, 저축, 연금 등 ‘여유 있는 자산가’(asset-rich)일 가능성이 더 높다”면서 “호주 인구통계를 볼 때 노년층이 증가하고 있기에 현금구매도 늘어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현금 구매자 비율,

QLD 주에서 가장 높아

 

지난해 거래된 주거용 부동산 가운데 현금구매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퀸즐랜드로 전체 주택매매 가운데 29.6%에 달했으며 NSW(27.7%), 빅토리아(25.2%) 순이었다.

반면 NSW는 현금구매의 총 가치가 가장 높았다. NSW에서 모기지 없이 거래된 주택의 중간가격은 77만 달러로 조사됐으며, 빅토리아 60만4,500달러, 퀸즐랜드는 57만 달러였다.

 

properties purchased 2.jpg

지난해 3개 주의 현금 거래 부동산 수를 조사한 ‘Property Exchange Australia’(PEXA)의 줄리 토스(Julie Toth) 수석 경제연구원. 그녀는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현금거래는 부동산 시장 회복력이 지속되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사진 : Linkedin / Julie Toth

   

토스 연구원은 NSW 데이터를 통해 “시드니가 호주 전역에서 가장 비싼 부동산 시장임을 확인했다”면서 “현금구매 비율이 낮더라도 크게 상승한 부동산 가격으로 인해 총 가치는 높아진다”고 말했다.

그런 한편 현금구매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은퇴를 앞둔 노년층에게 인기 있는 지역, 그리고 부동산 가격이 여전히 상대적으로 저렴한 교외지역이었다.

브리즈번(Brisbane)에서 서쪽으로 약 300km 거리에 있는 타라(Tara)에서는 지난해 매매된 부동산의 86%가 현금으로 거래됐다. 인구 약 2천 명의 시골 타운인 타라의 현재 중간 주택가격은 8만2,500달러로 상당히 낮은 편이다. PEXA의 이 현금구매 데이터는 지난 한 해, 동안 최소 80건의 현금 거래가 이루어진 우편번호 지역을 포함했다.

또한 퀸즐랜드 모어턴베이(Moreton Bay)에 있는 러셀 아일랜드(Russell Island)는 2023년 거래된 부동산의 70%가 현금으로 지불됐다. 이 지역의 중간 주택가격 또한 타라와 비슷한 8만5,000달러이다.

 

여러 부동산 특성으로

도시의 현금거래 증가

 

퀸즐랜드 지방 타운의 저렴한 부동산과 달리 대도시 지역은 크게 치솟은 주택가격과 보다 많은 거래 건수로 인해 현금구매 총 가치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높았다.

골드코스트의 서퍼스 파라다이스(Surfers Paradise, Gold Coast)에서는 지난해 부동산 매매에서 14억 달러의 현금 거래가 이루어졌으며, 이 도시에서 현금으로 지불된 매매 주택 중간가격은 80만 달러였다.

골드코스트 시의회에 따르면, 이 도시의 최고 인기 지역인 서퍼스 파라다이스에는 거의 2만 채의 유닛, 아파트, 타운하우스가 밀집되어 있다.

PEXA 보고서는 “이들 대도시 우편번호 지역의 현금 구매자는 매우 다양했으며 소유자 점유와 투자자(국내 및 해외)를 포함해 다양한 가격대에서 여러 부동산 유형을 구매한다는 점을 눈여겨 보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퀸즐랜드와 마찬가지로 멜번(Melbourne)은 지난해 13억 달러 이상의 현금을 통한 주택매매를 기록했지만 서퍼스 파라다이스와 비교했을 때 현금으로 지불된 주택의 중간가격은 60만3,500달러로 더 낮았다.

토스 연구원에 따르면 현금구매 시장에서 빅토리아 주의 성과는 다른 주에 비해 빈 토지 구매 비중이 높기에 다소 왜곡되었다. 그녀는 “구매자들은 나중에 건축할 주택과 토지 패키지를 준비하고자 비어 있는 부지를 구입하는 이들”이라며 “반면 퀸즐랜드에서는 이미 지어진 주택에 더 집중된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properties purchased 3.jpg

NSW, 빅토리아, 퀸즐랜드 주의 가격대별 현금구매 규모를 보여주는 그래프(단위- billion). Source : PEXA

   

골드코스트 카운슬의 대런 테일러(Darren Taylor) 시 의원은 “COVID 전염병 대유행으로 인해 ‘글리터 스트립’(Glitter Strip. 호주인들에게 인기 있는 골드코스트의 해안 주거 지역을 뜻하는 용어. 이는 매콰리 사전에도 추가된 새 단어이다)으로의 주간 이주(interstate migration)가 급증했으며 서퍼스 파라다이스의 판매용 주택 공급이 많아 이주자들의 주택구매 선택지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골드코스트에는 지난 수년 사이 아주 큰 변화가 있었다”며 “몇 년 전만 해도 다른 주(State)에서 온 부동산 투자자가 압도적이었지만 지금은 퀸즐랜드에 거주하는 다운사이저(downsizer)들의 구매도 눈에 띄게 늘어났다”고 덧붙였다.

 

■ 각 주별 현금구매 상위 10개 교외지역

(Suburb : 현금 거래 비율 / 현금구매 중간가격)

▲ NSW

Gloucester : 63.9% / $530,000

Laurieton : 57.8% / $580,000

Macksville : 55.9% / $590,000

Maclean : 54.9% / $693,750

Merimbula : 54.7% / $787,500

Lake Cathie : 53.3% / $756,500

Milsons Point : 52.6% / $2,500,000

Narooma : 52.3% / $802,500

Bowral : 51.9% / $1,590,000

Lismore : 51.8% / $350,000

 

▲ QLD

Tara : 86.0% / $82,500

Russell Island : 76.0% / $85,000

Gin Gin : 72.3% / $275,000

Magnetic Island : 68.2% / $365,001

Port Douglas : 66.4% / $445,000

Nanango : 65.0% / $292,500

Mission Beach : 60.9% / $307,500

Ingham : 60.7% / $188,500

Childers : 59.6% / $385,000

Cooloola Cove : 57.1% / $555,000

 

▲ VIC

Paynesville : 58.0% / $505,000

Mansfield : 54.9% / $715,000

Maryborough : 54.3% / $317,500

Carlton : 52.3% / $235,000

Point Lonsdale : 51.9% / $940,000

Wonthaggi : 51.8% / $527,500

Lakes Entrance : 51.6% / $390,000

Melbourne : 50.6% / $603,500

Loch Sport : 50.4% / $234,000

Inverloch : 48.7% / $941,000

Source: PEXA

 

■ 각 주별 현금구매 기준 상위 10개 교외지역

(Suburb : 현금구매 총액-$m / 현금 거래 주택 수 / 현금구매 중간가격)

▲ NSW

Marsden Park : $971.9 / 724 / $675,000

Mosman : $944.2 / 223 / $2,900,000

St Leonards : $789.3 / 474 / $1,400,000

Sydney : $709.2 / 347 / $1,235,000

Darling Point : $703.3 / 84 / $3,350,000

Bellevue Hill : $660.1 / 80 / $3,625,000

Bondi Beach : $620.9 / 179 / $1,925,000

Waterloo : $543.1 / 289 / $1,070,000

Sanctuary Point : $501.0 / 534 / $751,000

Kellyville : $480.7 / 375 / $900,000

 

▲ QLD

Surfers Paradise : $1,427.7 / 1,232 / $800,000

Broadbeach : $1,198.0 / 785 / $1,100,000

Caloundra : $737.5 / 798 / $762,950

Hope Island : $710.9 / 490 / $1,055,900

Hervey Bay : $658.8 / 1,056 / $565,000

Runaway Bay : $594.5 / 545 / $830,000

Brisbane City : $557.4 / 577 / $702,000

Burleigh Heads : $533.7 / 437 / $970,000

Coolum Beach : $526.1 / 306 / $1,122,500

Southport : $491.4 / 620 / $695,000

 

▲ VIC

Melbourne : $1,323.6 / 1,697 / $603,500

Toorak : $641.2 / 159 / $2,300,000

Brighton : $614.4 / 247 / $2,018,000

Craigieburn : $499.8 / 873 / $340,000

South Yarra : $473.6 / 331 / $746,500

Kew : $466.6 / 209 / $1,675,000

Hawthorn : $445.9 / 286 / $779,500

Glen Waverley : $426.0 / 260 / $1,544,000

Tarneit : $350.5 / 691 / $390,000

Southbank : $347.1 / 424 / $618,750

Source: PEXA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properties purchased 1.jpg (File Size:127.6KB/Download:13)
  2. properties purchased 2.jpg (File Size:48.7KB/Download:12)
  3. properties purchased 3.jpg (File Size:37.3KB/Download: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551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5월 이후 다시 ‘오름세’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0 호주 아프가니스탄 파병 호주 군인 사고로 사망 호주한국신문 14.07.03.
6549 호주 비만 및 과체중, “천식 유발과 깊은 관련 있다” 호주한국신문 14.07.03.
6548 호주 베트남 전쟁 난민에서 남부 호주 주 총독 지명자로 호주한국신문 14.07.03.
6547 호주 호주 10대 2명, 중동 지역 반군 세력에 합류 ‘추정’ 호주한국신문 14.07.03.
6546 호주 ACT, ‘호주에서 가장 살기 좋은 지역’ 꼽혀 호주한국신문 14.07.03.
6545 호주 연방정부, “가정폭력 가해자, 숨을 곳 없다” 호주한국신문 14.07.03.
6544 호주 호주 최고 부자들은 누구... 호주한국신문 14.07.03.
6543 뉴질랜드 주택구매 능력 하락, 건설승인은 최고치 기록 굿데이뉴질랜.. 14.07.09.
6542 뉴질랜드 경찰 피해 수영으로 강 횡단… 맞은편서 기다리던 경찰에 결국 검거 file 굿데이뉴질랜.. 14.07.09.
6541 호주 시드니, 고층 건물 건축 경쟁에서 멜번에 뒤져 호주한국신문 14.07.11.
6540 호주 “아베는 세계 악의 축”... 한-중 교민들, 항의 시위 호주한국신문 14.07.11.
6539 호주 OKTA 시드니, 오는 8월 차세대 무역스쿨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7.11.
6538 호주 한국대사관, ‘한국음식 소개의 밤’ 마련 호주한국신문 14.07.11.
6537 호주 주택임대 수요 지속, 임대료 상승으로 이어져 호주한국신문 14.07.11.
6536 호주 ‘One-punch’ 사망 가해자, 검찰 항소심서 추가 실형 호주한국신문 14.07.11.
6535 호주 기차 안서 특정 승객에 폭언 퍼부은 여성 기소돼 호주한국신문 14.07.11.
6534 호주 호주 상위 7명의 부, 173만 가구 자산보다 많아 호주한국신문 14.07.11.
6533 호주 웨스트필드 쇼핑센터 살인사건, ‘삼각관계’서 비롯된 듯 호주한국신문 14.07.11.
6532 호주 NSW 교정서비스, 재소자 ‘자체 생산’ 프로그램 ‘결실’ 호주한국신문 14.07.11.
6531 뉴질랜드 2014 Korean Culture Festival 500여 명 열광의 밤 file 굿데이뉴질랜.. 14.07.11.
6530 뉴질랜드 노동당 총선공약 교육분야에 총력전, 10억불 소요예상 file 굿데이뉴질랜.. 14.07.11.
6529 뉴질랜드 NZ방문-日총리 아베, 집단 자위권 이해 구해 굿데이뉴질랜.. 14.07.11.
6528 뉴질랜드 NZ 우유가격, 캐리 트레이드에 '역풍'될 수도 file 굿데이뉴질랜.. 14.07.11.
6527 뉴질랜드 NZ텔레콤-SK텔레콤, 사물인터넷 MoU 체결 file 굿데이뉴질랜.. 14.07.11.
6526 호주 파라마타 고층 빌딩 건설, 계속 이어져 호주한국신문 14.07.17.
6525 호주 시드니 이너 웨스트 지역 임대료, 크게 치솟아 호주한국신문 14.07.17.
6524 호주 동포 자녀 탁구 꿈나무들, 전국대회서 기량 뽐내 호주한국신문 14.07.17.
6523 호주 상공인연 강흥원 부회장, 17대 회장에 호주한국신문 14.07.17.
6522 호주 김봉현 대사, 호주 정계 인사 면담 호주한국신문 14.07.17.
6521 호주 이스트우드 추석 축제, 오는 9월6일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7.17.
6520 호주 호주-한국 대학 공동 ‘현대 한호 판화전’ 개막 호주한국신문 14.07.17.
6519 호주 한인회, ‘문화예술 전당 및 정원’ 건추위 구성 호주한국신문 14.07.17.
6518 호주 호주 정치인, 노조 관계자도 ‘세월호 특별법’ 청원 동참 호주한국신문 14.07.17.
6517 호주 주택 소유 또는 임대, 어느 쪽이 더 경제적일까 호주한국신문 14.07.17.
6516 호주 육아 전문가들, ‘부모환경 따른 육아 보조금 제한’ 비난 호주한국신문 14.07.17.
6515 호주 호주 수영계의 전설 이안 소프, “나는 동성애자” 호주한국신문 14.07.17.
6514 호주 호주 수영(자유형) 간판 이먼 설리번, 은퇴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7.17.
6513 호주 센트럴 코스트서 ‘위기의 남자’ 구한 영화 같은 장면 호주한국신문 14.07.17.
6512 호주 NSW 스피드 카메라 단속, 1억5천만 달러 벌금 부과 호주한국신문 14.07.17.
6511 호주 자유민주당 레이온젬 상원의원, 동성결혼 법안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7.17.
6510 호주 상습 무면허 운전 남성, 2153년까지 ‘운전 금지’ 호주한국신문 14.07.17.
6509 호주 길거리서 인종차별 폭행, 두 캔버라 주민에 ‘유죄’ 호주한국신문 14.07.17.
6508 호주 호주국적 이슬람 전도사, 테러리스트로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7.17.
6507 호주 시드니 부동산 경매 시장, 2주 연속 낙찰률 ‘순조’ 호주한국신문 14.07.24.
6506 호주 SIFF, 제2회 영화제 앞두고 도심서 ‘Art Market’ 마련 호주한국신문 14.07.24.
6505 호주 ‘독도 알리기’ 5km 단축 마라톤 열린다 호주한국신문 14.07.24.
6504 호주 인문학자가 들려주는 ‘삶의 지혜’... 호주한국신문 14.07.24.
6503 호주 ‘한상대회’ 인적교류, 비즈니스 성과로 이어져 호주한국신문 14.07.24.
6502 호주 ‘월드옥타 시드니’ 차세대 무역스쿨 강사진 구성 호주한국신문 14.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