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 후보 사퇴, 6월 민주당 예비선거서 당선 가능성 커져
 
▲ 앤디 김 뉴저지주 연방 하원의원. <사진: 위키피디아>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뉴저지주를 대표하는 연방 상원의원에 도전한 한국계 앤디 김 의원이 선거에서 유리한 자리를 차지하게 됐다.

뉴저지주 상원의원 선출을 위한 민주당 경선에서 앤디 김 연방 하원의원과 경쟁하던 태미 머피 후보가 24일 후보직에서 사퇴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민주당 공식 상원의원 후보를 선출하는 6월 4일 민주당 예비선거에서 김 의원이 당선될 가능성이 커졌다.

머피 후보는 24일 소셜미디어 X에 올린 영상에서 “바쁘고 활력이 넘치며 도전이 되기도 했던 몇 개월을 보낸 끝에 나는 오늘부로 상원 선거 캠페인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머피 후보는 이어 “그동안 나는 진실하고 사실에 충실했다”라며 “하지만 이 경주를 계속하는 것은 매우 분열적이고 부정적인 선거운동을 수반할 것임이 분명하며, 나는 그럴 생각이 없다”라고 밝혔다.

머피 부호는 사퇴를 선언하면서 김 의원에 대한 공식 지지 의사를 밝히지는 않았다. 하지만 당의 단결을 호소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투표용지에 오르고 우리나라의 많은 것이 걸려있는 상황에서, 나는 양심상 동료 민주당원을 무너뜨리는 데 자원을 낭비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성명을 통해 “태미 (머피) 후보와 나는 이 의석과 상원을 민주당의 통제하에 두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동의한다”라고 밝히고 “우리는 트럼프가 추진하는 위험한 의제에 맞서기 위해 단결하는 한편, 뉴저지의 민주주의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김 의원 외에도 다른 두 후보가 있긴 하지만, 지지도 면에서 김 의원이 가장 유력한 상황이고, 김 의원이 민주당 경선에서 최종 후보로 확정될 경우, 11월 선거에서 첫 한국계 연방 상원의원이 탄생할 수도 있다. 뉴저지주에서는 1972년 이래 상원의원 선거에서 모두 민주당 후보가 승리했다.

머피 후보가 사퇴 의사를 밝히긴 했지만, 사실 경선 과정에서 가장 유력한 후보였다. 머피 후보는 필 머피 현 뉴저지 주지사의 부인으로, 각 카운티 민주당 지도부의 지지를 쉽게 확보할 수 있었다. 선거 자금 모금에도 어려움이 없었다.

하지만 머피 후보에 대한 비판도 적지 않았다. 민주당 내 풀뿌리 세력을 중심으로 부부가 너무 많은 권력을 차지하고 당 주류가 머피 후보를 ‘톱다운’ 방식으로 선택했다는 불만이 일었다. 특히 뉴저지주 민주당의 투표 방식 덕에 머피 후보가 부당한 이득을 본다는 비판이 많았다.

뉴저지주 민주당은 당의 후보를 선출하는 경선을 진행할 때 이른바 ‘카운티 라인’ 방식으로 투표한다. 당 지도부가 지지하는 후보들의 이름은 투표용지에서 가장 잘 보이는 위치에 배치하고, 나머지 후보들은 투표용지 하단에 이름을 배치하는 형식이다. 김 의원은 이런 독특한 관행은 비민주적이며, 당 지도부가 특정 후보를 다른 후보보다 부당하게 선호하도록 허용한다며 지난 2월 주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김 의원이 도전하는 상원의원 자리는 재판을 앞둔 민주당 소속 밥 메넨데스 현 상원의원을 대체하는 자리이다. 메넨데스 의원은 아내와 함께 사업가들로부터 수십만 달러 상당의 뇌물을 받고 이집트와 카타르에서 미등록 외국 대리인 역할을 함 혐의로 기소됐다. 관련 재판은 5월에 시작될 예정이다. 메넨데스 의원은 당내에서 퇴진 압박을 받고 있음에도 무죄를 주장하고 있고, 민주당이 아닌 무소속으로 출마하겠다고 밝힌 상태이다.

 

  • |
  1. andy.jpg (File Size:81.9KB/Download:5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410 미국 조지아주 재검표서 2600표 새로 발견 file AtlantaK 20.11.17.
3409 미국 차세대 한국어 교육 위해 통큰 후원 file AtlantaK 20.11.17.
3408 미국 'K-팝 딕셔너리' 작가, 이번엔 '코리안 컬쳐 딕셔너리' 펴내 file 코리아위클리.. 20.10.26.
3407 캐나다 한-캐나다 양국 국방장관, 코로나19 대응 협력 다짐 옥자 20.10.23.
3406 미국 BTS·미 참전용사들, 코리아소사이어티 '밴플리트상' 수상 file 코리아위클리.. 20.10.19.
3405 미국 제 5회 동주해외작가상 한혜영 시인. 동주해외작가특별상 손용상 작가,동주해외신인상 김소희 시인. file 뉴욕코리아 20.10.14.
3404 미국 제5회 동주해외작가상에 플로리다 한혜영 시인 수상 file 뉴욕코리아 20.10.14.
3403 미국 제 43회 유타아시안페스티벌(virtual festival)에 한국팀 참가 사서고생하자 20.10.12.
3402 미국 뉴욕한인회 주관, 2020 코리아 위크 트롯 경연대회 성료 file 뉴욕코리아 20.10.12.
3401 미국 뉴욕총영사, 사랑 나눔 캠페인에 금일봉 전달 file 뉴욕코리아 20.10.09.
3400 미국 트럼프 대통령 퇴원후 기자회견, 리제네론 약 , 전 국민에게,무료 보급 약속 file 뉴욕코리아 20.10.09.
3399 미국 주 애틀랜타총영사관, 10월 한달 간 한국공연예술 온라인 상영회 file 코리아위클리.. 20.10.04.
3398 미국 한국 외교부, 해외여행에 대한 특별여행주의보 3차 발령 코리아위클리.. 20.10.04.
3397 미국 대한민국 외교부, 영사민원24 모바일 앱 서비스 개시 file 코리아위클리.. 20.09.27.
3396 미국 시집 '토네이도' 출간 신지혜 "인생 노정, 토네이도 같다" file 뉴욕코리아 20.09.26.
3395 미국 이수혁 주미대사, 재미한국학교협의회 회장단 면담 file 뉴욕코리아 20.09.23.
3394 미국 토비 앤 스타비스키 뉴욕주상원의원, 뉴욕한인회에 개인방호용품 전달 file 뉴욕코리아 20.09.23.
3393 미국 노동절에도 한인단체들, 센서스 독려활동 전개 file 뉴욕코리아 20.09.23.
3392 미국 한인 센서스 참여위한 한인사회 주요 단체들 회동 file 뉴욕코리아 20.09.23.
3391 미국 미국 가을학기 대학들 등록금 올라 학생들 초비상 file 뉴욕코리아 20.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