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대학 1).jpg

호주 주요 대학 내에서 페이스북 등 온라인 게시판을 통해 여학생을 대상으로 성적 비하, 폭력적 위협이 가해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학교 측의 대책은 극히 미온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사진은 캠페인을 통해 멜번 대학의 여성 비하 페이스북인 ‘Hotties of Melbourne University’ 폐쇄를 이끌어낸 동 대학 법학과 로라 블랜드손(Laura Blandthorn)씨.

 

‘Hotties’라는 이름의 페이스북 등에 여성 비하 글 난무

 

최근 대학 캠퍼스 내에서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상의 무차별적 공격이 빈발하는 가운데 호주 최상위권 대학들이 가해자 처벌에 대한 학교의 개입 권한조차 분명히 하지 못한 채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지난 주 토요일(16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전했다.

현재까지 페이스북 페이지 상에서 멜번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들을 상대로 매우 모욕적인 언행 등의 공격들이 이어졌음에도 불구, 이에 대해 학교 측으로부터 징계를 받은 학생은 단 한명도 없다.

1만3천명 이상의 막강한 지지층을 보유하고 있던 해당 온라인 사이트는 지난 금요일(15일) 삭제를 요구하는 청원이 시작된 지 4일만에 폐쇄됐다.

RMIT 대학의 유사 페이스북 페이지도 최근 삭제됐다. 하지만 비슷한 이름으로 다시 만들어져 여학생에 대한 성적 공격이 계속되고 있다.

모나시 대학의 ‘Monash Hotties’ 페이지 또한 폐쇄됐으나 이와 유사한 ‘Hotties of Monash Malaysia’는 여전히 존재하고 다양한 여성비하 글들이 게시되고 있다.

멜번 대학의 ‘Hotties’ 페이지에는 ‘이 여자는 10점 만점에 0점. 돈 준다 해도 잠자리 안함’, ‘남자와 잠자리 했을 가능성 100%’, ‘여자 사냥 나가기 전 누가 내게 진정제 좀 줘’ 등 입에 담기조차 민망한 외설적이고 공격성을 띤 표현들이 난무해 있다.

‘Hotties’ 페이지에 업로드 된 사진은 게시자가 집전 찍은 것도 있지만 다른 사람의 페이스북에 몰래 로그인 하여 만들어낸 외설적인 ‘frape’ 사진(‘facebook’과 ‘rape’라는 단어를 합성한 것), 타인의 블로그에서 무단 도용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최근에는 퀸즐랜드 대학 ‘Hotties’에서는 여학생에 대한 온라인 상의 폭력적인 위협이 제기됐으며 NSW 대학 ‘prestigious college’의 남학생 사이에는 ‘hunting song’(사냥 관련 은유적 표현을 통해 여성을 성적으로 비하한 노래,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됨) 동영상이 유포되기도 했다.

최근 교내 학생들 사이의 이 같은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자 멜번 대학교는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 구상 차원에서 유사한 페이스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다른 대학들과 접촉을 시도하고 있다.

여학생에 대한 이 같은 온라인 상의 공격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측은 가해 학생 징계에 대한 학교의 권한에 대해 여전히 불확실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멜번 대학 교무처장인 수잔 엘리엇(Susan Elliott) 교수는 대학 측이 문제가 된 온라인 페이지를 폐쇄한 것에 대해 반가움을 표하며 피해 대상이 됐던 여학생의 정신적 고통에 대해 우려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엘리엇 교수는 “대학은 다양한 출신과 배경, 성적 취향을 가진 사람들의 집합체로 우리는 언제나 타인에 대한 존중을 우선한다”며 “이런 사이버 상의 성적 공격은 존중과 거리가 먼 행위”라고 지적했다.

‘change.org’라는 사이트를 통해 관련 온라인 페이지 삭제 청원운동을 시작한 멜번 대학 법학과 로라 블랜드손(Laura Blandthorn)씨는 “바로 이런 행위가 성폭력 문화, 성차별을 영속시켜 왔다”고 규탄했다.

블랜드손씨는 이어 온라인 페이지 폐쇄 조치에 대해서는 “대학 내에서 야만적 행위는 설 자리가 없음을 분명히 보여주는 계기”라며 “여성의 성적 비하 페이지가 존재한다는 것, 그리고 이와 관련된 모든 문제들은 각 대학들 사이에 보다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엘리엇 교수는 “통상적으로 어떤 문제에 대한 불만 제기가 학교 측 징계 절차의 계기가 된다”고 전제한 뒤 “문제가 된 사이트의 희생자들로부터 제기된 불만 사항은 아직 접수된 바 없다”면서 “대학 내 성차별주의와 공격 행위는 항상 존재해 왔지만, 온라인과 특히 스마트폰으로 이런 행위가 더욱 많이 노출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NSW 대학 Baxter College의 남학생들은 여성을 ‘작고 빨간 여우’에 비유하며 어떻게 ‘shoot them in their boxes’(여성의 생식기를 지칭하는 은어)를 하는지 상세히 묘사하는 노래 장면을 게시하기도 했다.

퀸즐랜드 대학에서도 지난달 성별 임금격차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촉구하는 ‘컵케잌 판매’ 행사가 열리자 인터넷 상에서는 욕설과 폭력 위협이 난무했고 학교 공개 게시판에 익명으로 올라온 글에서조차 강간과 살인 위협이 언급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퀸즐랜드 대학 대변인은 “이 게시글과 관련돼 처벌받은 학생은 아무도 없으며 대학은 익명으로 글을 올리는 학생들에 대해서는 모른다”는 입장이다.

전국 대학생연합의 여성부 총무인 헤이디 라 파글리아(Heidi La Paglia) 씨는 “대부분 학교들이 가해자에 대한 조치라던가 신고 및 불만접수 절차 등을 명확히 하지 못하는 등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 문제 해결에 충분힌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다.

파글리아 총무는 “이제 이 같은 문제가 사회적으로 노출되어 사람들 사이에 회자되고 있으며, 이 문제를 이슈화하는 것이 용납되었다”며 “범죄 건수가 늘어난 것이라기보다는 페이스북 게시글들과 같은 인터넷 행위를 통해 현재 여성들이 받고 있는 처우가 세상에 공개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월 공개된 전국 대학생연합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조사 대상 여성 중 73%가 대학 재학 중 성폭력이나 성희롱을 당한 적이 있다는 답변이었다.

 

강세영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대학 1).jpg (File Size:20.1KB/Download:4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01 뉴질랜드 강창희 국회의장 주최 동포 초청 간담회 굿데이뉴질랜.. 14.03.11.
6800 뉴질랜드 더니든 남성 99글자짜리 이름으로 개명 성공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9 뉴질랜드 주오클랜드분관 청사 이전 안내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8 뉴질랜드 2014 한인의날 Korean Day 안내 (3월 15일)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7 뉴질랜드 제34회 한국어능력시험(TOPIK) 대비 오리엔테이션 및 문제해설 특강 (4주)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6 뉴질랜드 총선 끝난 후 ‘뉴질랜드 국기 교체 여부’ 국민투표 굿데이뉴질랜.. 14.03.12.
6795 뉴질랜드 청소년 백일장 우리말 글쓰기 예선 합격자 굿데이뉴질랜.. 14.03.13.
6794 뉴질랜드 A형 간염 주의보 ‘감염자 접촉 사과, 복숭아 리콜’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3 뉴질랜드 대한민국 하키 여자국가대표팀, 뉴질랜드 하키 여자국가대표팀과 공식 경기 예정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2 뉴질랜드 다음 정권은 9월 20일에 결판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1 뉴질랜드 기업체, 고유식별번호로 통합 관리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0 뉴질랜드 뉴질랜드, OECD중 단연 경제 성장률 높아 굿데이뉴질랜.. 14.03.18.
6789 뉴질랜드 웰링턴 박지관 교수, 여왕메달(QSM) 수여 굿데이뉴질랜.. 14.03.18.
6788 호주 시드니 대학들, 건물 증축에 수십억 달러 쏟아 부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7 호주 호주, 아동빈곤 늘어나고 자선단체 기부도 줄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6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총기 사건, 공원 주차장서 또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5 호주 NSW 주 재무장관, “경제 성장의 강한 탄력 확신...”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4 호주 총기공격 사건 수사 경찰, 펀치볼서 총기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3 호주 코만체로 조직원 총기살해 사건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2 호주 호주의 ‘Generation Y’, 그들의 젊음과 불안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1 호주 한류의 또 다른 바람 ‘한국의 후라이드 치킨’ file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0 뉴질랜드 2014 오클랜드 한인의 날 성공리에 개최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9 뉴질랜드 외국인 주택매매중 1/4은 중국인이 사들였다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8 뉴질랜드 뉴질랜드 낮은 실업률, 고용시장 안정화 국면 file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7 뉴질랜드 뉴질랜드 경제 상승곡선위에서 주춤주춤 굿데이뉴질랜.. 14.03.24.
6776 뉴질랜드 교육부, 학생성적에 따라 학교운영비 지원 추진 굿데이뉴질랜.. 14.03.24.
6775 호주 한국, 호주·오만·쿠웨이트와 조별리그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4 호주 메디뱅크 매각 추진..주식 공모 방식, 40억불 가치 추산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3 호주 “홈론 대출기준 완화하지 말라”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2 호주 한국인 박씨, 파경으로 약혼 비자 만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1 호주 권혜승 '나비부인' 데뷔로 올해 시즌 개막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0 호주 애보트 총리 “첫 방한 고대하고 있다”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69 뉴질랜드 혹스베이지역 돼지독감 발생, 주의보 발령 굿데이뉴질랜.. 14.03.28.
6768 뉴질랜드 한-뉴질랜드 경제공동위, 양국간 협력 강화 합의 굿데이뉴질랜.. 14.03.28.
6767 호주 72억불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약 완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6 호주 2000년 이후 이민자 설문조사 3%만 긍정 평가, 40% “1년간 차별 경험”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5 호주 송 한인회장, 스트라스필드시에 건의안 제출 계획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4 호주 애보트 총리, 영국 왕실 작위 부활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3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2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1 호주 AFC 아시안컵축구, 북한 중국 우즈베키스탄 C조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0 호주 애보트 총리 “봉쇄 작전 큰 효과” 선언 file 호주동아일보 14.03.31.
6759 호주 합참의장 출신.. 애보트 총리 측근 file 호주동아일보 14.03.31.
6758 호주 2.5%.. 호주달러 미화 93센트 육박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1.
6757 뉴질랜드 국민 3분의 1 "수입 격차 점점 벌어지고 있다" file 굿데이뉴질랜.. 14.04.02.
6756 호주 여야, 군소정당 총력전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5 호주 바이키단체 변호사 ‘명예훼손’ 보상 청구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4 호주 스트라스필드시 연방, 주정부 입장 청취 후 처리 방침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3 호주 BP, 필립모리스 "호주 생산 중단" 발표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2 뉴질랜드 유아교육은 뉴질랜드가 미국보다 앞서 굿데이뉴질랜.. 14.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