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중국계경찰 흑인청년 발포 사망사건

 

뉴욕=임지환기자 newsroh@gmail.com

 

경찰의 총격으로 사망한 흑인청년 사건을 놓고 한인판사의 소신판결에 대한 찬반(贊反)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 논란은 지난 2014년 11월 신참 경관 중국계 피터 량이 지난 2014년 11월 브루클린의 한 건물에서 실수로 발사해 아카이 걸리(28)를 사망케 하면서 시작됐다. 그해 스태튼아일랜드와 미주리주에서 경찰이 비무장 흑인을 사살한 사건이 불기소 처분을 받아 흑인 커뮤니티가 시위를 벌이는 등 인종갈등이 심화된 상황에서 발생했기 때문이다.

 

피터 량은 지난 2월 배심원 평결에서 유죄가 선고됐으나 "백인경관 대신 아시안경관이 단죄를 받고 있다. 과도한 인종갈등의 희생양(犧牲羊)"이라며 중국계 등이 반발하면서 전국적인 이슈로 급부상했다. 이 때문에 선고공판을 맡게 된 한인 전경배(54 대니 전 사진) 판사가 어떤 판결을 내릴지 비상한 관심이 모아졌다.

 

 

스타이브센트 동창회사진.jpg

 

 

지난 19일 뉴욕 지방법원에서 열린 선고공판에서 전경배 판사는 피터 량(28) 전 경관에게 적용된 과실치사 혐의를 '부주의에 의한 살인'으로 조정하고 보호관찰 5년과 800시간 사회봉사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컬리의 가족을 비롯한 흑인커뮤니티는 "정의가 사라졌다"며 강력 반발하고 데일리 뉴스 등 일부 매체도 전 판사의 판결이 잘못됐다고 지적해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데일리뉴스는 "판사와 피의자가 공교롭게도 같은 아시안이다. 인종에 의해 정의가 왜곡(歪曲) 됐다"며 자칫 이번 판결을 인종갈등으로 몰고 갈 수도 있는 사설을 올렸다.

 

데일리뉴스는 배심원단과 검찰이 적용한 '과실치사'는 량 경관이 '순찰 중 손가락을 방아쇠에 올려 놓아선 안된다'는 경찰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부주의에 의한 살인'으로 낮춘 전판사의 판결은 치명적 오류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중국계 등 아시안커뮤니티는 "량 경관이 불빛이 없는 아파트 계단에서 한손엔 플래시를 들고 다른 한손에 총을 들고 있는데 갑작스런 소리에 놀라 실수로 방아쇠를 당겼다. 또한 총을 직접 겨눈 것이 아니라 벽을 맞고 굴절된 총알이 희생자 가슴에 맞았기때문에 부주의에 의한 살인이 맞다"고 옹호했다.

 

 

<꼬리뉴스>

 

Sentencing for Peter Liang

The former New York Police Department officer will not spend a day in prison

 

http://www.theatlantic.com/national/archive/2016/04/peter-liang-sentenced/478248/

 

 

 

  • |
  1. 스타이브센트 동창회사진.jpg (File Size:11.3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0 캐나다 캘거리 제일감리교회 부흥회 열려 file CN드림 19.06.11.
509 캐나다 만나봅시다) 캘거리 한인합창단 김하나 지휘자 file CN드림 19.06.11.
508 캐나다 캘거리 한글학교 교내 글짓기대회 시상식 열려 file CN드림 19.06.11.
507 미국 마홀라 댄스컴퍼니 워싱턴공연 file 뉴스로_USA 19.06.12.
506 미국 뉴욕서 카루나 불교 합창단 찬불음악회 file 뉴스로_USA 19.06.14.
505 미국 영사관 사칭 보이스피싱 주의 안내 코리아위클리.. 19.06.16.
504 미국 김태경 개인전 ‘Morning Melody’ 뉴욕 오프닝 file 뉴스로_USA 19.06.17.
503 미국 뉴욕서 K-POP Academy 수강생 모집 file 뉴스로_USA 19.06.18.
502 캐나다 한인아트클럽, 블랙 다이아몬드 스탬피드 퍼레이드에 참가 CN드림 19.06.18.
501 캐나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75주년 CN드림 19.06.18.
500 캐나다 그리즐리 곰, 밴프 국립공원 교통사고로 죽음 CN드림 19.06.18.
499 캐나다 캘거리, 인구와 언어 등 지역별로 살펴보니 CN드림 19.06.18.
498 캐나다 의사 조력 자살 허용, 3년간 6천명 사망 CN드림 19.06.18.
497 미국 카루나합창단 뉴욕 찬불음악회 file 뉴스로_USA 19.06.19.
496 미국 9월 UN총회 코리아국제평화대회 추진 file 뉴스로_USA 19.06.20.
495 미국 ‘소녀상 성지’ KAFC 갈라 디너 file 뉴스로_USA 19.06.22.
494 캐나다 캘거리 한인합창단 창단 10주년 기념 공연 성대히 열려 CN드림 19.06.25.
493 캐나다 캘거리 한인산악회 시산제 행사 가져 CN드림 19.06.25.
492 캐나다 캐나다 원주민 선교사들 선교 포럼 열려 CN드림 19.06.25.
491 캐나다 에드먼튼 한인회 회관 기념식 가져 CN드림 19.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