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시간과 싸우고 있다" 반총장 개막 연설

 

뉴욕=뉴스로 노창현기자 newsroh@gmail.com

 

 

존 케리 손녀와 함께 사인.jpg

 

 

역사적인 ‘파리 기후협정’ 서명식이 22일 유엔본부에서 175개국이 참여한 가운데 열렸다.

 

이날 개막 연설에서 반기문 사무총장은 "모든 회원국들이 최대한 빨리 기후변화(氣候變化)에 대한 국가차원의 노력을 실행해야 한다. 우리는 시간과의 싸움을 벌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반총장은 "기후변화 협정에 참여하는 것은 우리에게 부담이 아니라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우리의 경제에서 탄소를 분리해야 하는 노력을 강화하는 것은 특히 개발도상국들이 기아와 가난 대신 녹색산업 일자리를 늘리고 여성들의 삶의 질도 높이는 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672996.jpg

 

 

반총장은 "오늘 여러분의 서명은 미래와의 약속"이라며 지난해 12월12일 파리에서 197개국이 채택한 기후협정을 상징하는 197명의 어린이들이 참여한 행사를 소개하기도 했다.

 

반기문 총장의 소개로 등단한 탄자니아 출신 16세의 기자 게트루드 클레멘트(아래 사진)는 "기후협정을 위한 노력은 내일이 아니라 오늘 당장 행동해야 한다. 어린이와 청소년에 대해 중요한 이유를 역설해 박수를 받았다.

 

 

Getrude Clement, 16-year-old radio reporter from Tanzania and youth representative and climate advocate with the UN Children’s Fund (UNICEF.jpg

 

 

줄리아드 스쿨의 5중주단이 비발디의 '사계(四季)'를 연주하는 은은한 분위기속에 시작된 서명식엔 우리나라의 윤성규 환경부장관과 북한의 리수용 외무상 등 175개국이 참여, 유엔 역사상 가장 많은 나라들이 한 자리에서 동참한 기록을 세웠다.

 

미국의 존 케리 국무장관은 기후협정이 미래세대를 위한 것이라는 상징임을 알리기 위해 손녀딸을 안고 나와 서명해 눈길을 끌었다. 유엔 평화메신저인 할리우드 스타 레오나드 디카프리오가 특별 연사로 연설했다.

 

이날 서명한 국가들은 협정발효를 위한 국내 비준(批准)에 들어가게 된다. 협정은 비준국의 국제기준 온실가스 배출량 총합이 전 세계 배출량의 55% 이상이 되면 발효된다. 각국은 평균기온 상승을 1.5도 이하로 제한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5년마다 상향 목표를 제출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지구 평균 기온이 2도가량 상승하면 20억 명이 물 부족에 시달리고 30%의 생물종이 멸종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또한 몰디브와 같은 섬나라들은 2도만 올라가도 해수면이 1m 이상 상승해 생존에 위협을 받을 수 있다.

 

 

673121Leonardo.jpg

레오나드 디카프리오가 연설을 하고 있다 <이상 사진 UN본부 제공>

 

<꼬리뉴스>

 

‘We are in a race against time,’ says Ban, as leaders sign landmark Paris climate accord

 

http://www.un.org/apps/news/story.asp?NewsID=53752#.Vxn6cU32bI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677 미국 바이든 국정연설, 경제 성과 강조… "인프라 1위, 13위로 떨어져" file 코리아위클리.. 23.02.18.
8676 미국 미 국방부 중국 풍선 격추, 잔해 수거 작전 돌입 file 코리아위클리.. 23.02.18.
8675 캐나다 인구 당 살인사건 수로 안전한 국가 순위 매기면 캐나다와 한국은? file 밴쿠버중앙일.. 23.02.18.
8674 캐나다 밴쿠버 주택렌트비 전국 최고 오명 유지 밴쿠버중앙일.. 23.02.18.
8673 캐나다 코퀴틀람 재산세 전년보다 5.48% 인상 file 밴쿠버중앙일.. 23.02.17.
8672 캐나다 트라이시티에서 암약하던 대규모 마약단 검거 file 밴쿠버중앙일.. 23.02.17.
8671 캐나다 물가가 뛰는데 팁도 덩달아 뛰면서 외식하기 겁난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2.17.
8670 캐나다 데이케어 버스 테러 현장에 임시 분향소 설치 file Hancatimes 23.02.17.
8669 캐나다 르고 주 총리, 연방정부의 ‘모욕적인’ 의료지원 기금에 대해 비판 file Hancatimes 23.02.17.
8668 캐나다 부알로 공중보건국장, 백신 추가 접종 관련 변경사항 발표 file Hancatimes 23.02.17.
8667 캐나다 퀘벡 주, 교사 인력 부족 해결을 위해 “패스트트랙 프로그램” 계획 file Hancatimes 23.02.17.
8666 캐나다 퀘벡 주, 5월부터 최저임금 $15.25로 인상 file Hancatimes 23.02.17.
8665 캐나다 퀘벡 주, 2023년도 경제 보고서 발표 file Hancatimes 23.02.17.
8664 캐나다 퀘벡 주, 푸드뱅크에 600만 캐나다 달러 긴급 지원 file Hancatimes 23.02.17.
8663 캐나다 몬트리올, 차기 경찰청장 발표…“지역사회와 소통 강조” file Hancatimes 23.02.17.
8662 캐나다 몬트리올, 2023년 7월부터 65세 이상 모든 노인에게 대중교통 무료 지원 file Hancatimes 23.02.17.
8661 캐나다 몬트리올, 2023년부터 주차 위반 벌금 인상 file Hancatimes 23.02.17.
8660 캐나다 퀘벡주, 12월부터 물가 상승률 대비 1인당 최대 $600 지원 file Hancatimes 23.02.17.
8659 캐나다 퀘벡주 보건당국, 아플 때는 집에 머물고 마스크 착용 촉구 file Hancatimes 23.02.17.
8658 캐나다 르고 주 총리,신규 이민자 확대에도 퀘벡주는 X…. 여전히 연간 5만 명 유지 file Hancatimes 23.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