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jpg

박수길 유엔협회세계연맹 회장이 캐나다 한국전 참전용사를 위한 환영만찬에서 건배를 제안하고 있다(사진 = 표영태 기자)

 

한·카 협회 주최 환영만찬 열려

 

'한국의 오늘'이 있기까지의 수 많은 희생 중 한 부분을 차지하는 캐나다 한국전 참전용사를 위한 의미 있는 행사가 열렸다. 

 

한·카 협회(Korea-Canada Society, KCS, 회장 김항경 대사)는 캐나다 한국전 참전 용사와 가족 환영만찬을 지난 21일(목) 오후 6시 30분 그랜드 앰버서더 홀테 웨스트 펠리스 홀에서 개최했다.

 

캐나다 한국전 참전용사들은 국가보훈처가 주관하고 있는 임진강 및 가평전투 65주년 기념 행사에 초대받아 한국을 방문 중이다. 

 

KCS 환영만찬에는 에릭 월슨 주한 캐나다 대사를 비롯해 임성남 외교부 제1차관, 박수길 유엔협회세계연맹 회장이 참석해 캐나다 참전용사에 대해 경의를 표했다. 

 

주 캐나다 대사와 외교통상부 차관을 역임한 김항경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캐나다가 아시아에서 최초로 FTA를 맺은 국가가 바로 한국”이라고 강조하며 “캐나다 한국전 참전 용사의 고귀한 희생으로 한국이 지금처럼 크게 발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윌슨 대사는 “자유는 공짜로 얻어지지 않는다”는 명언을 인용하며 “한국이 1988년 올림픽, 2002년 월드컵, 2018년 동계 올림픽까지 유치하는 등 크게 발전하는데 헌신한 참전용사에게 깊이 감사한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최초로 국제학부에 캐나다학과를 개설한 강남대학교 이동휴 학생이 한국 청소년을 대표해 “얼굴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태평양을 건너와 참전을 한 용기에 경의를 표한다.”고 감사 인사를 했다.

 

38명의 캐나다 한국전 참전용사를 대표해 답사를 한 헨리 마티낙(Henry Martinak) 참전용사는 “전혀 알지도 못했던 한국에 참전을 했다”며 “이렇게 한국의 발전한 모습을 보고 평화를 지킬 수 있었던 사실을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임성관 차관은 “1951년 봄 캐나다 군 등 영연방군이 가평에서 중공군의 공격을 막아냄으로써 서울을 사수할 수 있었다.”고 말하고 “지금의 한국의 완벽한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고 경제를 발전시키는데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이날 참석한 주요 인사들은 "워킹홀리데이로 매년 4천 명 이상의 한국 젊은이들이 밴쿠버에 오고 있다"며 "경제와 문화 교류가 활발한 현실이 가능한 이유는 희생을 아끼지 않은 캐나다 한국전 참전 용사들의 고귀한 희생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 목소리를 냈다. 

 

캐나다 참전용사들은 23일(토) 부산에 있는 유엔국립묘지를 참배하고, 24일에는 가평 캐나다 전투 기념비를 방문할 예정이다.

 

또 가평 북중학교에 장학금도 전달할 예정인데, 캐나다 프린세스 파트리샤 연대와 에어캐나다, 주한캐나다상공회의소, 한카협회가 장학금을 마련했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0 캐나다 캘거리 제일감리교회 부흥회 열려 file CN드림 19.06.11.
509 캐나다 만나봅시다) 캘거리 한인합창단 김하나 지휘자 file CN드림 19.06.11.
508 캐나다 캘거리 한글학교 교내 글짓기대회 시상식 열려 file CN드림 19.06.11.
507 미국 마홀라 댄스컴퍼니 워싱턴공연 file 뉴스로_USA 19.06.12.
506 미국 뉴욕서 카루나 불교 합창단 찬불음악회 file 뉴스로_USA 19.06.14.
505 미국 영사관 사칭 보이스피싱 주의 안내 코리아위클리.. 19.06.16.
504 미국 김태경 개인전 ‘Morning Melody’ 뉴욕 오프닝 file 뉴스로_USA 19.06.17.
503 미국 뉴욕서 K-POP Academy 수강생 모집 file 뉴스로_USA 19.06.18.
502 캐나다 한인아트클럽, 블랙 다이아몬드 스탬피드 퍼레이드에 참가 CN드림 19.06.18.
501 캐나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75주년 CN드림 19.06.18.
500 캐나다 그리즐리 곰, 밴프 국립공원 교통사고로 죽음 CN드림 19.06.18.
499 캐나다 캘거리, 인구와 언어 등 지역별로 살펴보니 CN드림 19.06.18.
498 캐나다 의사 조력 자살 허용, 3년간 6천명 사망 CN드림 19.06.18.
497 미국 카루나합창단 뉴욕 찬불음악회 file 뉴스로_USA 19.06.19.
496 미국 9월 UN총회 코리아국제평화대회 추진 file 뉴스로_USA 19.06.20.
495 미국 ‘소녀상 성지’ KAFC 갈라 디너 file 뉴스로_USA 19.06.22.
494 캐나다 캘거리 한인합창단 창단 10주년 기념 공연 성대히 열려 CN드림 19.06.25.
493 캐나다 캘거리 한인산악회 시산제 행사 가져 CN드림 19.06.25.
492 캐나다 캐나다 원주민 선교사들 선교 포럼 열려 CN드림 19.06.25.
491 캐나다 에드먼튼 한인회 회관 기념식 가져 CN드림 19.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