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을 기억합니다. 우리는 잊지 않을 것입니다

 

최근 몇 달 동안 북한의 김정은 정권은 핵 실험과 미사일 실험을 통해 아시아 및 전 세계에 긴장 상태를 증가시키고 있으며 미국과 연합군 나라들에게 이루 표명할 수 없는 끔찍함에 대한 미사여구를 갖다 대고 있습니다.

 

비극적으로, 북한의 세습 독재 정권은 남한, 미국 그리고 연합군을 향한 도발을 포식하고 있으며 그동안 기본적 인권 및 자유를 포함한 근본적 필요물들을 박탈당한 북한의 국민들을 60 년이 넘은 세월 동안 억압하고 있습니다.

 

3 월 2 일, 유엔 연합 안정 보장 이사회는 김정은 정권에 대한 새로운 대북제재 결의안을 채택하였습니다. 이번 제재안은 핵무기 프로그램의 포기를 중점으로 전체주의 국가를 압박하는 가장 강력한 제재 조치들이 담겨있습니다.

 

캐나다는 다시 한번 북한의 활동들에 대한 비난을 전 세계와 함께 할 것입니다. 65 년 전 한국 전쟁 당시 세계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캐나다인들이 맞선 던 것처럼 말입니다.

 

1950 년 6 월 25 일 러시아와 중국의 지원과 함께 북한이 남한을 침범하였을 때 캐나다는 지구 반대편에 있는 잘 알지 못한 나라로부터 도움을 들었고 그 도움에 귀를 기울였습니다.

 

서부에서 동부까지 캐나다 전역의 군부대에서 26,791 명의 캐나다인들은 역사적인 가평지구 전투를 (1951 년 4 월 22-25 일) 포함해 한국전쟁의 많은 전투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1951 년 2 월과 4 월 사이 미 제 8 군단이 한강 북쪽으로 공산당 군들을 밀어냈던 것과 함께 유엔군의 반격은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하지만 북한과 중국의 지도자들은 1951 년 봄을 위한 자신들만의 계획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첫 중국의 봄 공세는 각각 새개의 중국과 북한의 군부대가 한강 위쪽의 미 제 1 군 단과 미 제 4 군단의 격멸을 그렸습니다. 서울 점령을 목표로 4 월 22 일 중공군의제 40 군 부대는 남한 국군 제 6 사단의 격멸과 가평에 있는 임진강을 향한 유엔군의 증강 병력을 막기 위한 임무를 위해 두 전방을 향하여 공세를 시작했습니다.

 

가평에서의 공산군의 총 공격은 한국군과 뉴질랜드군을 후퇴시키게 하였습니다. 엄청난 공격으로 국군 6 사단은 큰 피해를 받았고 전선은 무너졌습니다.

 

군인들은 극심한 압박에도 불구하고 호주군의 엄호 사격의 간격을 통해 후퇴하였습니다. 영연방 27 여 단의 특히 호주 왕실 3 대대 그리고 캐나다 프린세스 패트리샤 2 대대는 공산군의 전진을 막는 임무가 주어졌습니다.

 

단시간 안에 그들은 각각 504 고지와 677 고지를 사수할 수 있었습니다.

 

초기 공산군의 공격은 23 일 밤부터 24 일까지 504 고지에 호주 대대와의 전투를 그렸습니다. 중공군의 대규모 공격이 잇달았습니다.

 

포위되기 직전 호주 왕실 3 대대 지휘관은 504 고지에 서로부터 철수토록 하였습니다. 이제 캐나다인들의 차례였습니다.

 

중공군의 제 118 대대 전체는 677 고지로 집중의 방향을 틀었습니다. 24 일 오후 10 시, 제 118 사단은 캐나다 군의 우측방을 공격했습니다.

 

저녁 내내 끊임없이 전투를 벌였고 총검 돌격과 함께 근접 전투로 자주 확대되었습니다. 4 월 25 일 오전 캐나다 프린세스 패트리샤 2 대대는 완전히 포위되었으며 D 중대의 Mills 대위는 적군의 장악을 막기 위해 본인의 위치에 포격 발포 명령을 내려야만 하였습니다.

 

포위되며 탄약과 군물자가 점점 부족해지면서 그들은 보급품 공중투하에 기대며 항복하는 대신 677 고지를 계속 방어하였습니다.

 

새벽이 돼서 캐나다군을 향한 공산군의 공격이 멈추었고 25 일 오후 607 고지로 통하는 길들에 적 군인들은 사라졌습니다.

 

그제야 캐나다 프린세스 패트리샤 2 대대는 철수할 수 있었습니다. 중공군과 북한군의 전진을 사수한 공을 인정받아 캐나다는 (그리고 참전한 연합군) 대통령 부대표창을 받았습니다.

 

안타깝게도 오늘까지도 한국은 아직 분단국가입니다.

 

오타와에 위치한 캐나다 전쟁 박물관에서 가평지구 전투 65 주년을 맞이하였습니다.

 

아마도 오타와 기념식이 열리고 캐나다 참전용사 분들이 한국 정부의 초청으로 가평지구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전달하고 있을 때 북한은 지속적으로 한반도의 평화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공격적인 선언들을 하고 있다는 것은 상징적인 것 같습니다.

 

1951 년에도 그러하였듯이 오늘도 캐나다는 북한의 압제와 공격에 맞서 함께 맞설 것이며 핵 무기 기술에 대한 적나라한 추구로 인해 피해를 가하는 정권에 대한 제재를 옹호할 것입니다. 우리는 잊지 않을 것입니다. 

 

 

연아마틴

캐나다 연방 상원의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90 폴란드, 우크라이나 사태로 정치와 경제 모두 불안 유로저널 14.03.20.
3589 난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국가, 독일 file 유로저널 14.03.25.
3588 G7 정상,러시아 고립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file 유로저널 14.03.26.
3587 스페인 천주교신자들,낙태와 동성결혼에 찬성 file 유로저널 14.03.28.
3586 세계 웨어러블 컴퓨터 시장, 향후 5 년이내 302억 달러 전망 file 유로저널 14.04.08.
3585 캐나다 밴쿠버중앙일보, 캐나다한인상공실업인총연합회와 MOU 체결 file 밴쿠버중앙일.. 14.06.03.
3584 캐나다 [캐나다] 밴쿠버에서 대한테니스협회장배 대회 개최 옥자 14.06.18.
3583 캐나다 [캐나다] 밴쿠버 중앙일보·한남수퍼마켓, BC 한인축구협회와 조인식 옥자 14.09.03.
3582 미국 현경대 민주평통 수석부의장 “달라스 찾는다” KoreaTimesTexas 15.02.10.
3581 미국 북텍사스 한인 간호사협회 2015 정기총회 개최 KoreaTimesTexas 15.02.13.
3580 미국 “세월호 유가족 달라스 찾는다” file KoreaTimesTexas 15.02.27.
3579 미국 만18세 국적포기, 3월 31일 놓치면 “병역의무져야" file KoreaTimesTexas 15.03.21.
3578 미국 추신수, 세월호 1주기 추모 “노란리본 달았다” file KoreaTimesTexas 15.04.17.
3577 미국 다운타운에 퍼진 ‘신명나는 우리 가락’ file KoreaTimesTexas 15.04.17.
3576 미국 중소기업 진출, “달라스 무역관이 돕는다” file KoreaTimesTexas 15.04.23.
3575 미국 한국전 참전용사 위한 ‘감사 음악회’ file KoreaTimesTexas 15.04.24.
3574 캐나다 캐나다 한인 노인회 전국대회, 캘거리에서 열려 file 밴쿠버중앙일.. 15.05.15.
3573 미국 미주 호남향우회 총회 달라스에서 개최 file KoreaTimesTexas 15.05.16.
3572 미국 성영준, 시의원 도전 '실패'… 513표 차이로 낙선 file KoreaTimesTexas 15.05.16.
3571 미국 텍사스 레인저스, “한국의 날” 행사 개최 file KoreaTimesTexas 15.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