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프너 시장, "정원 초과해야 예산 제공하는 주정부 규정 바뀌어야"

 

밴쿠버와 리치몬드 등 BC 주의 여러 지역들이 학생 인구 감소로 인해 폐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런데 정반대 상황에 놓인 지역도 있다. 메트로 밴쿠버 지역에서 미성년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써리다.

 

써리의 린다 헤프너(Linda Hepner) 시장은 “주정부 규정에 맞추느라 학생 수에 비해 교실과 자리가 부족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며 정책 변경을 촉구했다.

 

현재 주정부 정책에 따르면 BC 주 학교들은 학생 수가 정원을 초과했을 때 교육부에 시설 확장 예산을 요청할 수 있다.

 

헤프너 시장은 “현재 써리에는 확장 공사 중에 이용되는 컨테이너 교실이 대략 270개 있다. 고등학교 4 곳은 학교 운영 시간을 늘려 더 많은 수업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새 학생 인구가 등교하기 이전에 시설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래야 지금과 같은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써리의 학생 인구는 매년 1천 명 가량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써리 교육청은 지난 주, 현재 예정되어 있는 시설 확장 계획을 전면 중단한 바 있다.

 

‘주정부로부터 필요한 예산을 받기 이전에는 공사를 시작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한편 이에 마이크 버니어(Mike Bernier) 교육부 장관은 “밴쿠버 시는 교실 빈 자리가 많으니 써리 거주하는 학생들이 밴쿠버로 등교하는 것은 어떠한가?”라고 제안했다.

 

그러나 써리 교육청과 학부모의회는 “비현실적 제안”이라고 비난했다. 한 학부모는 “이제 다섯 살인 내 아이를 집에서 40 킬로미터 떨어진 학교로 보내란 말인가?”라며 분개했다.[밴쿠버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77 미국 미국내 대규모 공격사건 절반, 개인적 원한과 갈등 때문 file 코리아위클리.. 23.02.09.
876 미국 흑인 운전사 무차별 구타 사망 사건에 미 전역 ‘들썩’ file 코리아위클리.. 23.02.09.
875 미국 선레일과 고속철 활용한 '선샤인 코러도어' 논란 이유는? file 코리아위클리.. 23.02.09.
874 미국 "플로리다 약국에서 낙태약 취급은 불법" 코리아위클리.. 23.02.09.
873 미국 의료 과실 소송 어려운 플로리다… 변호사들 수임 꺼려 file 코리아위클리.. 23.02.09.
872 미국 플로리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연구' AP과목 불허에 '술렁' file 코리아위클리.. 23.02.09.
871 미국 탬파에 시속 168마일로 달릴 수 있는 트랙 생긴다 file 코리아위클리.. 23.02.09.
870 미국 플로리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연구' AP과목 불허에 '술렁' file 옥자 23.02.09.
869 캐나다 높은 물가에 캐나다인 절반 일일 지출 걱정이 앞서 밴쿠버중앙일.. 23.02.10.
868 캐나다 노스밴 9일 새벽 주택 화재로 한 가족 남녀 2명 사망 file 밴쿠버중앙일.. 23.02.10.
867 캐나다 한인 실업률, 아랍 빼고 모든 민족 중 가장 높아 file 밴쿠버중앙일.. 23.02.11.
866 캐나다 10대들이 무서워 - 3명 청소년 집단 폭행 혐의 입건 file 밴쿠버중앙일.. 23.02.11.
865 캐나다 버나비 도시수색구조대도 지진 참사 현장 도착 file 밴쿠버중앙일.. 23.02.11.
864 캐나다 캐나다 여성 출산 의지 점차 줄어들어 file 밴쿠버중앙일.. 23.02.15.
863 캐나다 세계 주요 도시 경쟁력에서 밴쿠버의 취약점은? file 밴쿠버중앙일.. 23.02.15.
862 캐나다 정병원 전 밴쿠버 총영사, 주스웨덴 대사로 file 밴쿠버중앙일.. 23.02.15.
861 캐나다 캐나다, 이민 수용 목표 상향…2025년까지 연간 50만 명 file Hancatimes 23.02.17.
860 캐나다 르고 주 총리,신규 이민자 확대에도 퀘벡주는 X…. 여전히 연간 5만 명 유지 file Hancatimes 23.02.17.
859 캐나다 퀘벡주 보건당국, 아플 때는 집에 머물고 마스크 착용 촉구 file Hancatimes 23.02.17.
858 캐나다 퀘벡주, 12월부터 물가 상승률 대비 1인당 최대 $600 지원 file Hancatimes 23.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