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당 3월 발의 입법안 자유당이 재정비, 아쉬움 토로 목소리도

 

BC 주정부가 모든 대학들로 하여금 교내 성폭력에 대한 학생 보호 규정을 정비하고 이에 대해 주정부에 의무적으로 보고 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명칭은 ‘성범죄 및 2차 피해 예방법(Sexual Violence and Misconduct Policy Act)’으로, 27일(수) 주의회에서 정식 발의되었다.

 

이 법안은 지난 달, BC 녹색당의 앤드루 위버(Andrew Weaver, Oak Bay-Gordon Head) 당수가 발의한 ‘고등학교 졸업 이후 입학 하는 모든 교육 기관으로 하여금 성범죄 예방 규정을 의무화하는 법안(Post-Secondary Sexual Violence Policies Act)’을 여당 자유당이 재정비한 것이다. 

 

클락(Christy Clark) 수상과 BC 자유당은 위버 MLA 발의 직 후 반대 의사를 보였으나, 일주일만에 입장을 바꾸고 “두 당의 협의를 통해 법안을 마무리짓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본지 3월 18일 기사 참조>

 

클락 수상은 정비된 최종 법안을 발표하며 “피해자 침묵은 성폭행 가해자의 가장 친한 친구고, 두번 째로 친한 친구는 범행 사실이 공개될 때 피해자가 느끼는 수치심”이라고 말했다. 또 “여성들은 스스로 안전하다고 느껴야하며, 이를 위해서 반드시 신고해야 한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어른이 되어가고 있는 여성들에게 특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앤드루 윌킨슨(Andrew Wilkinson) 고등교육부 장관은 “앞으로 BC주의 모든 대학들은 캠퍼스 내 성범죄 발생과 관련해 주기적으로 주정부에 보고해야 할 것”이라며 “모든 범행이 신고되지는 않더라도 신고율이 현재보다 높아질 것을 기대한다. 피해자들이 수치심을 느끼지 않고 시스템에 대한 신뢰를 가지고 신고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한편 입법안에 대한 반응은 다소 갈리고 있다. 교내 성범죄 사건에 대한 학교 측의 자세를 문제삼았던 전 UBC 학생은 “사생활 침해 가능성이 높은 입법안이다. 피해자를 포함해 그 누구의 사생활도 보호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빅토리아 대학(UVic)의 학생회 관계자 한 사람은 “일단은 법안이 마련된 것이 큰 변화다. 모든 대학들이 이 문제와 관련해 주정부의 관리를 받게 되었다”며 입법안을 반겼다.

 

그러나 그 역시 “위버 MLA가 발의한 최초 법안의 내용이 더 좋았다”며 아쉬움을 표했다.[밴쿠버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77 미국 미국내 대규모 공격사건 절반, 개인적 원한과 갈등 때문 file 코리아위클리.. 23.02.09.
876 미국 흑인 운전사 무차별 구타 사망 사건에 미 전역 ‘들썩’ file 코리아위클리.. 23.02.09.
875 미국 선레일과 고속철 활용한 '선샤인 코러도어' 논란 이유는? file 코리아위클리.. 23.02.09.
874 미국 "플로리다 약국에서 낙태약 취급은 불법" 코리아위클리.. 23.02.09.
873 미국 의료 과실 소송 어려운 플로리다… 변호사들 수임 꺼려 file 코리아위클리.. 23.02.09.
872 미국 플로리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연구' AP과목 불허에 '술렁' file 코리아위클리.. 23.02.09.
871 미국 탬파에 시속 168마일로 달릴 수 있는 트랙 생긴다 file 코리아위클리.. 23.02.09.
870 미국 플로리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연구' AP과목 불허에 '술렁' file 옥자 23.02.09.
869 캐나다 높은 물가에 캐나다인 절반 일일 지출 걱정이 앞서 밴쿠버중앙일.. 23.02.10.
868 캐나다 노스밴 9일 새벽 주택 화재로 한 가족 남녀 2명 사망 file 밴쿠버중앙일.. 23.02.10.
867 캐나다 한인 실업률, 아랍 빼고 모든 민족 중 가장 높아 file 밴쿠버중앙일.. 23.02.11.
866 캐나다 10대들이 무서워 - 3명 청소년 집단 폭행 혐의 입건 file 밴쿠버중앙일.. 23.02.11.
865 캐나다 버나비 도시수색구조대도 지진 참사 현장 도착 file 밴쿠버중앙일.. 23.02.11.
864 캐나다 캐나다 여성 출산 의지 점차 줄어들어 file 밴쿠버중앙일.. 23.02.15.
863 캐나다 세계 주요 도시 경쟁력에서 밴쿠버의 취약점은? file 밴쿠버중앙일.. 23.02.15.
862 캐나다 정병원 전 밴쿠버 총영사, 주스웨덴 대사로 file 밴쿠버중앙일.. 23.02.15.
861 캐나다 캐나다, 이민 수용 목표 상향…2025년까지 연간 50만 명 file Hancatimes 23.02.17.
860 캐나다 르고 주 총리,신규 이민자 확대에도 퀘벡주는 X…. 여전히 연간 5만 명 유지 file Hancatimes 23.02.17.
859 캐나다 퀘벡주 보건당국, 아플 때는 집에 머물고 마스크 착용 촉구 file Hancatimes 23.02.17.
858 캐나다 퀘벡주, 12월부터 물가 상승률 대비 1인당 최대 $600 지원 file Hancatimes 23.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