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뷰] 해당국가가 없는 경우, 기타에 올려주세요. (5회이상 등록시 카테고리별도 부여)



이준구 선생 “태권도 철학은 현실을 살아가는 데 나침반과 같아…”




      -7번째로 방문한 카자흐스탄, 나날이 발전하는 모습에 감탄 - 




 


  지난 11일 카자흐스탄 알마티시 ‘인테르팍스’ 통신사 기자회견장. 


  우리에게는 전 헤비급 세계챔피언 무하마드 알리에게 일명 '액큐 펀치'라고 불리는 주먹 쓰는 법을, 무술인이자 영화배우인 이소룡에게는 발차기를 가르친 것으로 유명한 이준구 총재(미국명 준 리)가 현지 기자들을 대상으로 그의 태권도 철학을 강의하고 있었다. 


  ‘하바르’방송과 채널 ‘카자흐스탄’ 등을 비롯한 현지 언론인들 뿐만 아니라 “그랜드 마스터”라고 그를 부르는 알렉산드리 리 카자흐스탄 준리태권도협회장 등 그의 많은 제자들과 러시아에서 온 태권도 관계자들도 함께 특강을 들었다. 


  다음날부터 알마티에서 열리는 ‘준리태권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카자흐스탄에 온 그는 태권도가 지닌 속도와 지구력, 타이밍, 유연성 등 7가지는 인간이나 사업가에게 두루 적용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83세라는 나이가 믿기지 않을 정도로 우렁찬 목소리로 이를 ‘챔피언의 7가지 요소’로 풀이한 뒤 “건강이 뒷받침돼야만 인간이 누구나 추구하는 행복을 누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건강하고 올바른 몸에다 덕을 쌓은 뒤 지식을 겸비해야 세상을 이롭게 할 수 있다”며 ‘체덕지’가 조화된 전인교육의 중요성을 말했다. 


강연 내내 진실한 삶의 자세를 강조한 이 총재는 태권도 인생을 통해 터득한 행복의 원리를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원리에 빗대어 흥미롭게 설파했다.


 알려진 데로 그는 68년 동안 태권도 외길인생을 걸어왔다. 험난한 과정을 거쳐 미국 태권도의 대부가 된 이 총재는 워싱턴DC에서만 연인원 25만여명에게 태권도를 가르쳤으며 현재 미국과 러시아에 130여 개의 태권도장을 운영하고 있다. 그는 이 같은 공로를 인정 받아 2000년 '미국 역사상 가장 성공한 이민자 203인’에 선정됐고 유엔에서 반기문 사무총장을 비롯한 각국 외교사절 앞에서 태권도 정신에 대한 특별 강연을 펼치기도 했다. 


충남 아산 태생인 그는 어려서부터 많이 맞고 다녔다. 자신보다 어린 여자아이에게도 맞고, 힘센 학생들로부터도 맞았다.


 "내가 태권도를 열심히 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해준 셈이다. 이것이 나를 태권도의 길을 택하게 한 것이다."


  그는 16살 때이던 1947년 9월, 청도관에서 당수도(현재 태권도)를 배우기 시작하여 한국전쟁이 터진 1950년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태권도부가 있는 동국대에 입학했고 이후 온갖난관을 극복하고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텍사스주립대 오스틴캠퍼스에 입학해 수학했지만 졸업을 반 학기 앞둔 그는 당시 강도를 당했던 상원의원이 태권도를 가르쳐달라는 부탁을 받고 과감히 학업을 포기했다.


  그가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태권도 역사를 쓰기 시작한 시기는 1962년. 당시 그는 '태권도를 배우면 당신의 자녀를 우등생으로 만들어 주겠다'는 내용의 편지를 직접 써 189개국의 주미 대사들에게 발송하고 워싱턴D.C.에 태권도 도장을 열었다.


  이어 1965년 미 하원에 도장을 개설해 정치인들에게 태권도를 가르쳤고, 1968년 양국 국가에 맞춰 '태권무'를 만들었다. 태권도 안전기구(보호구)를 개발해 태권도의 국제대회 개최 발판을 마련한 이도 이 총재였다.


구(舊)소련 내 '준리태권도장'을 합법화해 65개의 도장을 열어 태권도로 '냉전의 벽'을 뚫기도 했다. 이런 공로로 미국 건국 200주년 기념일에 '세기의 무술상'을 받은 것을 비롯해 구소련 외무부가 주는 '가장 훌륭한 기사상', 러시아 평의회로부터 '세계 평화상'을 수상했다.




이소룡과의 인연


 


이준구 총재가 이소룡에게 태권도를 가르친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필자는 초등학생 시절 나의 우상이었던 이소룡과의 인연에 대해 질문을 던졌다. 


이 총재는 "이소룡과 만나게 된 것은 1964년이다. 롱비치 캘리포니아에서 열리는 가라테 시합이 계기가 됐다.


 이준구 총재에 따르면 당시 태권도 시범을 보였고, 이소룡은 쿵푸를 했는데, 서로 감동을 했다. 이준구 총재는 발을 잘 썼고, 이소룡은 주먹을 잘 썼다. 그래서 서로 호감을 갖고 자신의 장점을 서로에게 가르쳤다. 서로가 선생님이자 학생인 것이다.


 이때 인연을 계기로 이소룡은 추후 이준구 총재가 영화를 찍을 수 있도록 소개해 주연을 맡은 두 편의 영화를 찍기도 했다. 1973년 제작된 <태권도가 타격할 때: When Taekwondo Strikes>와 1980년에 제작된 <돌아온 용쟁호투>가 그것이다.


 이 총재는 영화 촬영 당시 이소룡과의 일화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이소룡은 불고기를 너무 좋아했다"며 "내가 영화촬영을 하면 촬영장으로 꼭 데리러 와 끝나고 난 뒤 함께 불고기로 저녁을 먹곤 했다"고 회상했다.




 ‘트루토피아’


이 총재가 태권도를 통해 꿈꾸는 이상적인 세상을 표현한 단어가 바로 '트루토피아'(TRUTOPIA)다. 


'내가 진실하면 내 마음이 아름다워지고, 내 마음이 아름다우면 모두가 나를 사랑하고, 모두가 나를 사랑하면 나는 행복하다'는 뜻을 담고 있다.


  즉 '진실한 사회가 오면 범죄도 없고, 법도 필요 없으며, 모두가 행복하게 살 수 있다'는 것이다. 


이총재는 '트루토피아'를 알리기 위해 전 세계를 돌며 수없는 강연을 갖기도 했다.  그래서 이번 카자흐스탄 방문에서도 ‘줄리태권도 세계 선수권대회’에 대한 언론 브리핑 후 현지 기자들을 상대로 특강의 시간을 마련한 것이었다. 


이 총재는 "진실한 사회, 아름다운 사회, 사랑이 넘치는 지구촌을 만들고 싶다”면서 "태권도의 세계화는 트루토피아 운동의 연장선에 있다.”고 했다.




"동포 여러분 ,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카자흐스탄을 7번째 방문한 이준구 총재는 끝으로 카자흐스탄에 살고 있는 동포들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며 동포들에게 인사를 전했다. 


"저도 고향을 떠나 타향살이를 해 보았기 때문에 동포여러분들의 애환을 누구보다 잘 압니다. 특히, 올해로 이주 150주년을 맞는 고려인 동포들은 제게 더욱 특별하게 다가옵니다. 고난을 극복한 선조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오늘날 고려인에 대한 높은 위상이 만들어 졌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이준구 준리태권도 협회 의장 약력




48년간 미국워싱턴 국회의사당에서 국회의원 태권도 특별지도


현)「JHOON RHEE 태권도 협회」창설자이자 의장.


현)「세계무술협회」창설자.


현)「JHoon Rhee 재단」의 창설자이자 의장.


현)「대한민국국회태권도클럽」상임고문.


1964년 8월 이소룡 발차기 전수


1973년 흑권출연, 용쟁호투출연


1975년 무하마드 알리 애큐펀치 기술전수


2007년 태권도의 명예의 전당에 오름




<포상 및 저서>


1970 「Chon-Ju」,「Tan- Gun」,「Won-Hyo」,「Chung-Gun」,「Hwa-Rang」등 5권의 책.


1970 태권무를 클래식 및 세미클래식에 맞춰 창안, 안무.


1970 무술상「Black Belt Hall of fame」(명예의 전당)에 선정.


1974 워싱턴 터치다운 클럽의 「스포츠 상」수상.


1975 무술상「프로 가라데 전당」에 선정.


1976. 1.18 미국독립200주년「세기의 무술인」으로 선정.


1983 Black belt MAgazine에서 「올해의 인물」선정.


1992. 3.17 조지부시 미국대통령에 의해 721번째「Daily Point of Light」상 수상.


1992. 5.29 조지부시 미국대통령에「Excellence in Community Service」상 시상(백악관)


1993. 5.11 범 아시아 상공회의소에 의해 「Excellence 2000 Award」수상.


1998. 3.25 「A Vision for the 3rd Milennium」선언문 미국 국회의사록 기록


1999. 6.19 Professional Martial Arts Magazine'「A Life Time Achievement Award」수상


1999. 1999 미국 「올해의 이민상」수상 (8名中1人)


2000. 1 미국 정부 발표「미국 역사상 가장 성공한 이민자 203인」에 선정.


2003. 6.28 워싱턴D.C 매년 6월28일을 준리의 날(Jhoon Rhee Day) 로 선포


2007. 4.12 UN초청 특별강연


2007. 4.26 러시아 세계평화의회로 부터「2007 세계평화상」수상.


2007. 5. 16 한국 5.16 민족상 재단으로부터「5.16민족상(사회부문)」수상.


2007. 8. 8 미주동포후원재단으로부터 「자랑스런한국인상」수상.


2008. 9. 26 전 미 무술인 연맹으로부터 「살아있는 전설인상」공로상 수상.



  • |
  1. IMG_1151.jpg (File Size:77.4KB/Download:122)
  2. IMG_7041.jpg (File Size:72.9KB/Download:1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 미얀마 외국계 외식업 1호점 - 롯데리아 file

    국내 토종 햄버거 브랜드 '롯데리아'는 지난 4월 글로벌 외식기업 최초로 미얀마 양곤에 1호점을 본격 오픈 했다 이번에 오픈 한 롯데리아 1호점은 미얀마 최대 쇼핑몰인 양곤의 정션스퀘어(Junction Square)에 자리해 있으며, 1, 2층 200석 규모다 특히 매장이 위치한 정션스퀘어는 쇼핑몰, 식당가, 영화관 등이 입점한 대...

    미얀마 외국계 외식업 1호점 - 롯데리아
  • 미얀마를 강타한 토종음료 - 박카스 file

    국내 판매량 1위 박카스, 글로벌 박카스가 되기위한 전초기지 미얀마에 발을 디디다. 미얀마에 발을 디딘 젊은 사장 처음 미얀마에 오게된 것은 군대를 가기전 어머니와 함께 여행삼아 오게 된 것이 계기였습니다. 하지만 현지 시장을 보고 난 후엔 앞으로 2년후 지금과 같은 시장이 이미 없어지고 난 후라고 판단하여 사업...

    미얀마를 강타한 토종음료 - 박카스
  • 창립 20주년 인터뷰 - 미얀마국제항공(MAI) file

    미얀마의 개방에 따라 많은 항공사들이 미얀마로 오는 노선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얀마국제항공은 국내항공사인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과의 상호 협력강화를 위한 양해 각서를 체결하였고, 전세계로 날아가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다. 올해 20주년을 맞아 미얀마 국제항공의 Khin Maung Latt 회장을 만나 미얀마국제...

    창립 20주년 인터뷰 - 미얀마국제항공(MAI)
  • 미얀마 축구 국가대표 감독 - 박성화 감독 file

    동남아시아 축구는 동·서아시아 축구에 밀려 변방 취급을 받고 있다. 특히 미얀마 축구는 2013년 10월 FIFA 랭킹 162위의 약팀이다. 하지만 미얀마축구가 처음부터 약팀이었던 것은 아니다. 미얀마 축구대표팀은 1960년대부터 1970년 까지 아시아 축구강자였다. 1968년 제4회 아시안컵에서 준우승, 1966년과 1970년 아시안 ...

    미얀마 축구 국가대표 감독 - 박성화 감독
  • 한류 화장품을 알리는 일등공신 - 한윤복대표 file

    아쿠아랜드를 설립하게 된 배경과 소개부탁드립니다. 2000년 아쿠아랜드를 설립할 당시 1970년 경의 한국 상황을 학습하며 적용을 하면 미얀마인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으리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시작한 품목이 전기가 필요 없는 자연 여과식 정수기와 애경 산업의 생필품인 2080 치약/치솔, 샴푸, 비누 등을 ...

    한류 화장품을 알리는 일등공신 - 한윤복대표
  • 재미얀마 봉재협회 서원호 회장 file

    2003년 7월 발표된 미국의 미얀마 제재법안으로 인해 당시 봉제산업이 최대의 위기에 봉착했지만, 2011년 나라를 개방하고 미국의 미얀마 경제제재도 점차 완화되고 있는 추세다. 5700만에 달하는 인구를 기반으로 한 저임, 양질의 노동력이 최고의 무기인 미얀마의 봉제산업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현 봉제협회 서원호회...

    재미얀마 봉재협회 서원호 회장
  • 인야레이크 호텔 총지배인 Sukhdee Singh file

    양곤 인야 호수 안에 위치하고 있는 인야 레이크 호텔은 면적 약 27에이커의 열대 정원이 있는 고급 호텔이다. 인야 레이크 호텔은 공항과 다운타운 중심쯤에 위치하고 있어, 호텔에서 양곤 공항(Yangon International Airport)까지 차로 25분, 술레 파고다(Sule Pagoda)까지는 차로 30분에 쉽게 이동할 수 있는 등 편리한 ...

    인야레이크 호텔 총지배인  Sukhdee Singh
  • 미얀마 기아자동차 총매니저 nelson Sim file

    “car is my blood” 자동차는 내 혈액과 같은 존재 미얀마의 자동차 시장은 그동안 매우 낙후되어 있었다. 연간 2000대 수준으로 1000가구당 7가구만 차량을 보유하고 있을 정도다. 미얀마에는 그동안 신차를 살 수 있는 쇼룸이 없었다. 하지만 2012년 하반기 신차 수입이 전면 허용되면서 2013년 5월 19일 미얀마 최초로 우...

    미얀마 기아자동차 총매니저 nelson Sim
  • '조국 교향곡'의 작곡가 정추선생 file

    “지칠 줄 모르는 창작열은 조국에 대한 그리움에서 나와” 모스크바 유학생 망명사건의 주인공 10진(眞)중 한 명 지난 12월 26일, 알마티 시내의 모 식당에서는 올해 86회 째 생일을 맞이한 동포 작곡가의 조촐한 생일잔치가 열렸다. 20세기 격랑의 한국 현대사를 몸에 간직하고 계신 분 중에 한 분인 정추 선생이 이날의 주...

    '조국 교향곡'의 작곡가 정추선생
  • 카자흐스탄 가전유통업계 1인자, 김 에두아르드 테크노돔 대표 file

    카자흐스탄 가전유통업계 1인자, 김 에두아르드 테크노돔 대표 "한국 대기업의 경험과 노하우를 많이 배웠고 앞으로도 계속해서 동반자 관계를 구축해 나갈 것" - 지난 14일, 창립 11주년 기념행사 가져 - - 20명으로 시작하여 225배 성장시켜 - 이번 인터뷰는 고려일보 창간 90주년 기념 특별 인터뷰로 기획되었으나 때마...

    카자흐스탄 가전유통업계 1인자, 김 에두아르드 테크노돔 대표
  • 김문수 경기도지사를 만나서 대한민국에서 예측 가능한 정치를 ... file

    김문수 경기도지사를 만나서 대한민국에서 예측 가능한 정치를 듣는다. ◆1951년 경북 영천 출생 영천 초, 경북 중,고등학교 졸업 ◆1970년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영학과 입학 ◆1974년 민청학련 사건으로 제적 후 산업현장에 투신하여 시민·노동운동 전개 ◆1978년 전국금속연맹 도루코노조위원장 선출 ◆1985년 전태일기념사...

    김문수 경기도지사를 만나서 대한민국에서  예측 가능한 정치를 듣는다.
  • 손차룡 화백, 옹플뢰르의 백조가 되어 날아 오르다 file

    파리에서 서쪽으로 190Km 떨어진 칼바도스 주의 아름다운 항구도시 옹플뢰르. 지금은 작고 조용한 항구지만 한 때는 프랑스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던 도시다. 15세기 백년전쟁 때는 요새화된 전쟁의 전초기지로, 그 후엔 신대륙을 찾아나서는 탐험가들의 전진기지였다. 지금은 그 모든 영화를 뒤로 한 채 한가로이 요트...

    손차룡 화백, 옹플뢰르의 백조가 되어 날아 오르다
  • 우리의 영원한 친구, 윤항기 가수와 함께

    우리의 영원한 친구, 윤항기 가수와 함께 흰눈이 내리는 남산자락에서 행복한 취재 시간을 가지다 70년대 통기타 시절부터 우리 한국 가요사에 주축이 되어온 윤항기,송창식,서유석,이장희,어니온스,김정호 등등 셀 수 없는 많은 가수들은 지금도 그 시절을 살아온 이들은 물론이고 현재의 젊은 세대들까지 그들을 기억하게 ...

    우리의 영원한 친구, 윤항기 가수와 함께
  • 박현 선생 회고 글 file

    겸손과 성실로 걸어온 고독한 길 - 박현 선생을 추억하며 - 우리는 누구나 자기만의 운명을 안고 태어나 제각기 자기만의 길을 간다. 그 길이 험난하든 평탄하든, 높은 낮든, 혹은 밝든 어둡든 어느 누구도 대신해서 걸어주지 못한다. 감히 이 세상에 어느 누가 남의 운명 길을 대신 걸어줄 수 있으랴! 그래서 세상에는 살...

    박현 선생 회고 글
  • 이종국 회장 조선일보 인터뷰 file

    2014 재외동포언론인대회 이종국회장 조선일보 인터뷰 입니다

  • [사람, 사람들] 태권도 68년 외길인생, 이준구 그랜드 마스터 file

    이준구 선생 “태권도 철학은 현실을 살아가는 데 나침반과 같아…” -7번째로 방문한 카자흐스탄, 나날이 발전하는 모습에 감탄 - 지난 11일 카자흐스탄 알마티시 ‘인테르팍스’ 통신사 기자회견장. 우리에게는 전 헤비급 세계챔피언 무하마드 알리에게 일명 '액큐 펀치'라고 불리는 주먹 쓰는 법을, 무술인이자 영화배우인 이...

    [사람, 사람들] 태권도 68년 외길인생, 이준구 그랜드 마스터
  • 21세기 세계초일류 융복합 연구중심대학 DGIST 신성철 총장으로부...

    21세기 세계초일류 융복합 연구중심대학 DGIST 신성철 총장으로부터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새로운 교육 철학을 듣는다 신성철 총장님에 대한 인터뷰 내용의 용량이 너무 커서 기사를 올리기가 어렵습니다. 내용중에 유로저널이라는 말이 있는 데 그 부분만 수정해 회원사들이 알아서 회원사 인터뷰로 게재해 주었으면 합니다...

  • [인터뷰] 재외동포언론인 협회 김훈 신임 회장 file

    재외동포언론인 협회 김훈 신임 회장 [인터뷰] 재외동포언론인 협회 김훈 신임 회장 재외동포언론인협회(이하재언협)가 지난 달 22일 대구수성관광호텔에서 정기총회를 열어 5대회장을 선출했다. 재언협은 재외동포언론들의 구심체 역할을 하는 단체로 지난 4월 20일부터 25일까지 서울과 대구에서 13회 재외동포언론인대회...

    [인터뷰] 재외동포언론인 협회 김훈 신임 회장
  • [인터뷰 : 김종일 신임 알마티한국교육원장] file

    “한국어교육의 내실화에 중점 두겠다” 92년, 카자흐스탄 교육부차관 초청으로 첫 방문 카자흐스탄은 제2의 고향과 같은 곳, 마지막 인생의 의미를 이곳에서 찾고 싶어 이 땅에 한국교육원이 진출한 지 24년이 된 올해, 새로 부임한 김종일 알마티한국교육원장은 지금이야 말로 한국어 교육의 양적 성장보다 질적인 발전을 ...

    [인터뷰 : 김종일 신임 알마티한국교육원장]
  • 재미화가 유수자 씨, "예술은 흐르는 물과 같이" file

    청명한 색감과 살아있는 듯 생동감 넘치는 붓 터치, 움직이는 입체화 같은 느낌들이 마치 현대적 인상파라는 수식어가 떠오르게 한다. 워싱턴에 거주하는 재미작가 유수자(바르바라 한) 화백이 개인전을 위해 파리를 찾았다. 유 작가는 과거 언론사 사진기자 출신답게 주변의 사물을 재빠르게 캐치하는 능력이 있다. 젊은 ...

    재미화가 유수자 씨, "예술은 흐르는 물과 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