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젤라 김 교육칼럼]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이끄는 주요 길잡이

지난 주에는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위해 습관화하고 몸에 배도록 해야 할 시간관리, 규칙적인 학습, 책읽기, 쓰는 훈련 등에 대해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 오늘은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위해 학습 방면에서는 어떻게 훈련해야 할 지에 대해 말씀드리기를 원합니다.

12학년들이 마지막 학기를 대학에 가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한 준비 기간으로 삼을 것을 제안하고 싶습니다. 성공적인 학습에 영향을 주는 많은 요소들이 있겠지만 그 요소들 중에 하나가 강의 노트라고 생각합니다.

대학에서의 강의 노트 필기는 그저 수업에 들어가서 교수가 가르치는 동안 노트에 몇 자 쓰는 것 훨씬 그 이상입니다.

첫째, 교실에 들어가기 전에 배울 내용을 미리 읽어 보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이미 익숙한 내용을 수업 시간에 배우게 되면 더욱 자신감을 가지고 조리 있게 노트 필기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 수업 시간에 배울 내용을 아주 깊이 공부하지 않더라도 한 번 훑어 보는 것만도 노트 필기에는 커다란 도움이 됩니다.

교수가 막 강의 하고 있는데 중간에 뭐가 뭔지 모르기 시작 하면 노트 필기는 불가능해지게 됩니다. 그렇게 쓴 강의 노트는 결국 시험 때가 되어도 있으나 마나 한 것이 됩니다.

그러므로 예습은 노트 필기의 첫 스텝입니다. 다음 수업 내용을 미리 읽으며 개요를 적어보고 중요한 내용을 필기합니다.

두 번째로 다음 수업에 들어가기 전에 전 수업에 쓴 필기 노트를 꼭 복습합니다. 이 일은 수업하기 전 날 밤에 도서실에서 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렇게 하면 더 효과적이겠지만, 적어도 수업 시작 전에 쉬는 시간에라도 잠시 훑어 볼 수는 있을 것입니다.

전에 배운 강의 노트를 보는 것은 강의를 듣기 전에 지적으로 자극되어있는 상태가 되도록 돕고 그만큼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는 만반의 준비가 되는 것입니다.

강의 노트를 쓰는데 크게 도움이 될 또 다른 조언은 강의실에서 맨 앞줄에 앉으라는 것입니다. 다른 학생들 때문에 산만해질 필요도 없고 강의에 훨씬 더 집중을 잘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노트 필기도 잘 할 수 있습니다.

노트 필기 시 중요한 점은 교수가 강조하는 주요점을 잘 파악해서 노트의 여백에 써 놓던지 특별히 표시해 놓아야 하는 것입니다. 노트를 너무 짧게 적어서 정작 중요한 점을 간과하고 적지 않는 것보다 차라리 너무 많이 적는다시피 할 정도로 쓰는 것이 더 낫습니다. 나중에 복습하며 편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셋째로 강의 후에는 반드시 쓴 노트를 자기의 것으로 소화하며 편집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강의 내용이 아직 학생의 머리에 생생히 남아 있도록 수업 후에 될 수 있는 한 빨리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강의 중에 미쳐 적어 놓지 못한 것을 복습하며 잘 정리 해 놓고, 진짜 중요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잘 가려서 강조할 것은 강조해 두고, 간결하고 정확하고 일목요연하게 다시 노트 정리를 하는 과정을 통해 수업시간에 배웠던 내용이 머리에 확실하게 자리잡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생길 수 있는 질문내용도 써보고, 스터디 그룹에서나 동료 학생들과 의견을 나누고, 또는 다음 수업이나 그 전에 교수에게 질문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주가 끝날 때마다 정리해 놓은 노트를 한 번씩 복습해 보면 좋습니다. 그렇게 하면 시험 직전에 “묵은”노트를 한꺼번에 읽는 것보다 훨씬 효과적이고 시험에 나올 중요한 포인트가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것이다.

이런 식으로 공부한다면 결국 한 내용을 강의 전에 두 번, 강의 후에 두 번, 결국 강의 시간 까지 합치면 다섯 번을 공부한다는 뜻입니다.

시간을 너무 많이 들이는 것 같지만 나중에 몰아서 벼락 치기 공부하는 것에 비해서 효과면에서는 확실히 우월한 방법일 것이라 믿습니다. 꼭 실천해 보아서 대학에서의 공부에서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엔젤라 유학/교육 상담 그룹, www.angelaconsulting.com
  • |
  1. angela.jpg (File Size:7.9KB/Download:2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10 미국 마이애미 한인회, 아시안 문화 페스티벌 참여 코리아위클리.. 19.03.02.
609 미국 마이애미 한류클럽, 코리안 엑스포 열어 코리아위클리.. 19.03.02.
608 미국 “회원.투표권 제한해야” vs “모두에게 허용해야” 코리아위클리.. 19.03.02.
607 미국 미국서 삼일절 ‘아리랑 플래시몹’ 연다 file 뉴스로_USA 19.03.03.
606 미국 일본계여성 뉴욕서 3.1만세운동 동참 file 뉴스로_USA 19.03.04.
605 캐나다 에드몬턴 한인회 총회 열려 CN드림 19.03.05.
604 캐나다 에드몬턴 한국어 학교 3.1절 행사 가져 CN드림 19.03.05.
603 미국 故 곽예남할머니 추모제 file 뉴스로_USA 19.03.06.
602 미국 총영사관 순회영사 업무 4월 18일부터 이틀간 file 코리아위클리.. 19.03.08.
601 미국 만세 함성 100년 “동포야 이날을 길이 빛내자” 코리아위클리.. 19.03.08.
600 미국 알재단 한인작가 온라인 미술품경매 file 뉴스로_USA 19.03.08.
599 캐나다 에드몬턴 한인회, 3.1절 행사 CN드림 19.03.12.
598 미국 법안대종사 12주기추모제 file 뉴스로_USA 19.03.12.
597 미국 이노비 생일맞이 온라인기부캠페인 file 뉴스로_USA 19.03.14.
596 미국 마이애미 예술단 ‘세라픽 파이어’, 한국 합창 공연 코리아위클리.. 19.03.15.
595 미국 알재단, 9인 그룹전 ‘봄의 열병’ Vernal Fever 개최 file 뉴스로_USA 19.03.16.
594 미국 로창현대표 필라델피아 첫 방북강연 file 뉴스로_USA 19.03.16.
593 미국 마이아미 한인도매상가지역 신도시로 탈바꿈 된다. file Miami 19.03.16.
592 미국 뉴욕서 이순신동화책 어린이 워크샵 file 뉴스로_USA 19.03.18.
591 캐나다 캘거리 문협 주관 북카페 행사 열려 CN드림 19.03.19.